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27.

숨은책 904


《민주열사 이한열 추모집, 그대 가는가 어딜 가는가》

 편집부 엮음

 청담문학사

 1987.7.23.



  1987년 여름은 뜨겁고 어지러웠습니다. 그즈음 ‘대학생’인 이웃 언니는 거의 보기 어려웠어요. 한마을 동무 가운데 딱 한 아이는 ‘대학생 과외’를 받았습니다. 동무네 어머님은 동무가 비싼 곁배움을 받는 동안 딴짓을 안 하도록 저를 옆에 앉혔으나, 동무는 늘 딴짓을 했어요. 저는 어머니를 도와 새뜸나름이를 하면서 본 머릿글을 떠올리면서 “전경이 최루탄 쏘면 무섭지 않아요?” 하고 묻곤 했는데, 과외하는 대학생 언니는 “난 잘 몰라.” 하면서 말을 돌리기 바빴어요. 이해 7월 5일 이한열 님이 숨을 거둡니다. 새뜸나름이는 더 받은 호외까지 얹어 집집마다 돌립니다. 사람이 고꾸라져도 우두머리는 버젓하고, 들꽃 같은 사람들은 하루하루 입에 풀바르기 버겁습니다. 새뜸을 돌리는 어머니는 “신문만 돌려. 거기 글은 읽지 말고.” 하셨어요. 《민주열사 이한열 추모집, 그대 가는가 어딜 가는가》는 “부산직할시립 구덕도서관 1987.9.10. 등록번호 51561”가 찍히지만, 빌려읽은 자국이 없습니다. “정성스럽게 책을 대하고 깨끗하게 책을 쓰자”는 글씨가 쑥스럽습니다. 누구는 왜 힘을 거머쥐려 했고, 누구는 왜 허수아비가 되어야 했고, 누구는 왜 최루탄을 쏘아야 했고, 누구는 왜 등돌리거나 모르쇠여야 했나 곱씹습니다. 태어났으나 읽히지 못 한 책은 가까스로 헌책집 책시렁에서 한 자락 살아남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99


《Commentary Book :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편집부 엮음

 문학동네

 2023.



  책집마실을 하다가 한켠에 놓인 《Commentary Book》을 보고서 “뭐지?” 하고 혼잣말을 하면서 들추었습니다. 책자취조차 없이 나온 꾸러미는 ‘코멘터리 북’이라고 하는군요. 영어 ‘Commentary’를 ‘코멘터리’로 읽어야 맞나 아리송하지만, 이렇게 영어를 붙여야 사람들이 눈여겨보고서 좋아하는구나 싶군요. 2023년 7월에 나왔다는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장강명, 문학동네)을 알리려는 뜻으로 나왔을 《Commentary Book :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을 죽 들추는데, 손바닥책 하나를 내놓은 셈입니다. 큰 펴냄터라면 이만 한 알림책 하나도 푼돈으로 내놓고서 두루 뿌릴 수 있어요. 이른바 ‘풀이책·맛보기·미리보기’일 텐데, 장강명 씨 글이 어려워서 따로 풀이책이나 맛보기가 있어야 할까요? 문학동네에서 선보일 책을 더 알리고 싶기에 멋을 부리는 덤을 뿌리려는 뜻일까요? 글꽃마을을 가꾸는 길이란, 글을 짓는 손도, 글을 읽고 펴는 눈도, 글을 나누고 생각하는 마음도, 꽃빛으로 물드는 살림살이여야 곱다고 느낍니다. 몇몇 꾸러미로 뒤덮는 책마을이 아닌, 온갖 책이 무지개로 어우러지는 어울마을에 숲마을에 노래마을에 사랑마을로 바뀔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93


《世界文藝思潮史》

 서라벌예술대학출판국 엮음

 한국교육문화원

 1955.12.20.첫/1962.4.10.4벌



  고을이름인 ‘서라벌’은 우리말입니다. ‘서라벌’이 바뀌어 ‘서울’입니다. 두 낱말은 어떻게 해도 한자로 바꾸지 못 하니, 온통 한자가 춤추던 지난날에도 ‘서라벌·서울’만큼은 다들 한글로 적었는데, 요새는 ‘Seoul’처럼 쓰는 분이 부쩍 늘었어요. 우리나라에서 우리글만 써야 할 까닭은 없더라도, 뭔가 얼이 나간 듯해요. 스스로 새롭게 배울 적에는 스스럼없이 나누면서 누구나 수월하게 듣고 배우는 길이어야 아름다울 텐데요. 《世界文藝思潮史》는 “서울大學校 敎育大學院 1年 李裕桓” 님이 얼추 1962년에 손에 쥐고서 바지런히 익힌 꾸러미입니다. 다들 새카맣게 한자를 써야 배울 수 있던 무렵이요, 한자 없이 한글로만 글을 적으면 “넌 무식하구나!” 하고 놀리거나 따돌리던 때입니다. 그러나 1920년에도 1950년에도 1970년에도 한글조차 모르던 사람이 수두룩하고, 한자는 더더욱 몇몇 사람만 겨우 읽던 글씨입니다. 많이 알거나 잘 안다면, 아직 모르거나 적게 아는 사람 눈금으로 맞출 적에 어질어요. 어린이한테 어떻게 풀이하려는 셈일까요? 어린이는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까요? 다 다른 말은 다 다른 마을에서 다 다른 사람이 지은 삶과 마음을 담는데, 높낮이로 가른 글은 굴레에 수렁으로 오래오래 흘러왔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92


《벙커깊수키 24》

 죽지않는돌고래 엮음

 딴지일보

 2016.11.



  시골사람은 ‘교통방송’을 들을 일도 까닭도 없습니다. 교통방송은 시골을 찾아가는 일도 까닭도 없습니다. 시골에서야말로 부릉부릉 무시무시하게 치달릴 뿐 아니라, 아침낮저녁으로 술을 머금은 채 달리는 쇳덩이가 넘치지만, 막상 시골 교통방송이 없는 나라입니다. 시골에서는 멧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고, 바닷물이 철렁이는 춤사위를 보고, 철마다 옷갈이를 하는 들숲메를 품습니다. 가만 보면, 시골에서는 굳이 책조차 읽을 까닭이 없습니다. 풀벌레 한 마리가 두툼한 꾸러미요, 나비 날갯짓이 어마어마한 낱말책이에요. 《벙커깊수키 24》을 서울 어느 헌책집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왜 싸움말(군대용어)을 책이름으로 삼았나 아리송하고, ‘깊수키’처럼 말장난을 할 수 있다지만, ‘싸움(군대) + 말장난’이 바로 〈딴지일보〉가 걸어온 뼈대일 테지요. 책 뒷자락뿐 아니라 곳곳에 ‘장사알림’이 있고, 잇물(치약)까지 팔기에 뭔가 갸우뚱했는데, 〈딴지마켓〉이라는 누리장사를 펴는군요. 누구나 뭘 사고팔 수 있고, 목소리를 낼 노릇입니다. 다만, 미움씨앗은 미움으로 치닫고, 싸움말은 그저 싸움불굿으로 달려갑니다. 아름나라는 미움이나 싸움으로 못 이뤄요. 비아냥과 말장난으로는 사랑이며 참길과 숲하고 그저 멀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87


《꽃이 사람보다 따뜻할 때》

 김진경·박복선 엮음

 푸른나무

 1992.2.20.



  요즈음 어린이는 배움터에서 안 가르치는 책이어도 홀가분히 읽을 수 있습니다. 푸름이는 아직 배움수렁 틀거리에서 못 벗어나느라, 배움터에서 안 다루는 책을 들출 짬을 내기가 버겁습니다. 1992년에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산문”이란 이름으로 《꽃이 사람보다 따뜻할 때》가 나왔습니다. 저는 이 책을 스무 살이 넘고 나서야 보았습니다. 한창 푸른배움터를 다닐 무렵에 이런 책을 알려주는 길잡이가 없었고, 배움수렁에 뛰어드는 책이나 글이 아니면 “읽지 마라”고 윽박지르곤 했습니다. 이제는 나라에서 “배움책 아니면 들추지 마라”고 못박거나 밀어붙이지는 않습니다. 이미 누구나 손전화로 모든 이야기를 살피고, 어느 책이건 사읽을 수 있습니다. 그저 “교과서에 없는 글까지 살펴서 마음밥으로 삼자”는 마음으로는 덜 뻗을 뿐입니다. 푸름이가 둘레를 헤아리는 눈길을 틔우자면, 먼저 어버이부터 배움수렁 아닌 살림길을 들려주고 함께 살필 노릇이요, 배움터 길잡이도 여러 이야기를 알려주고 같이 생각해야겠지요. 1992년 묵은 책에 글을 실은 분을 보면, 나중에 적잖이 엉뚱하거나 엉터리인 굴레로 치달립니다. 꽃은 꽃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곱게 꿈을 그리면서 피어나고 어우러지면 저마다 환할 텐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