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3.7.22.

수다꽃, 내멋대로 47 다시, 돈



  살아가는 길에 꼭 있어야 한다면, ‘바람·해·비·숲’이 첫째라고 느낀다. ‘바람·해·비·숲’을 품고서 ‘별·새·메·바다’를 어우르는 하루라면, 언제나 스스로 빛나는 사랑으로 하루를 이루는구나 싶다. 이제 우리는 마을·고을·나라를 이루면서 높거나 커다란 집에 깃들어서 지내는 삶으로 바뀌는 사이에, ‘돈’을 쥐지 않으면 목숨을 잇기 어려운 흐름에 접어들었다. 곰곰이 보면, 사람들은 더없이 오래도록 돈 하나 없이 오직 살림살이로 오순도순 살았다. 누구나 돈없이 사랑으로 도란도란 지내었는데, 나라(정부)가 서고 우두머리에 벼슬아치에 먹물꾼이 늘면서 돈이 꼭 있어야 하는 얼거리로 뒤틀었다고 여길 만하다. 이런 얼거리를 똑똑히 읽거나 느끼기에, 또는 똑똑히는 아니어도 어렴풋이 읽거나 느끼기에, ‘돈 없이 목숨을 못 이을 듯한 나라’에서 ‘돈을 첫째로 삼아야 할 까닭이 없’는 줄 헤아리는 사람들이 ‘책’이라고 하는 종이꾸러미에 ‘마음·품·겨를·돈’을 옴팡지게 들여서 즐겁고 조촐하고 조그맣게 어깨동무를 한다고 느낀다. 돈을 벌거나, 이름을 얻거나, 힘을 쥐려는 속내로 책집을 차린 분도 곳곳에 있기는 하다. 그러나 돈바라기·이름바라기·힘바라기에 사로잡힌 몇몇 책집지기를 뺀, 훨씬 많은 책집지기는 ‘살림·사랑·숲’이라는 세 가지를 바라보고 품으면서, 서울(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바람·해·비·숲’을 고즈넉이 품고 나누는 길을 찾고 나누려는 마음을 꿈으로 그린다고 느낀다. 온누리는 더 많은 책으로 더 아름답게 가꿀 수 있지 않다고 느낀다. 나부터 책을 허벌나게 읽기는 하되,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책은 덜 읽거나 안 읽어도 얼마든지 훌륭하다’고 느낄 뿐 아니라, ‘종이꾸러미 책’을 넘어서 ‘바람이라는 책, 숲이라는 책, 하늘이라는 책, 바다라는 책, 풀꽃나무라는 책, 사랑 사이를 잇는 사랑이라는 책’처럼, ‘종이라는 덩이(물질)가 없어도 더없이 빛나는 책’이 둘레에 가득하다고 배운다. 스치듯 지나가는 사람이, 문득 하루 들르는 사람이, 책 한 자락 장만하는 나그네가, 작은책집을 돌보는 사람이, ‘돈을 하찮게 여기는 마음’일 수 없다. 돈은 돈대로 대수롭되, 서로 사랑으로 잇는 사이인 사람이라면, ‘빛나는 새길이 서로 살리는 숨결’이라고 여기기에, 즐겁게 온마음으로 책을 짓고 엮고 나누고 사고팔고 이야기한다고 느낀다. 보라! 돈을 보며 사람을 만나려는 이는, 사람 아닌 돈을 보기에, 이내 등돌리거나 속이거나 들볶는다. 이름값을 보며 사람을 사귀려는 이는, 사람 아닌 허울(이름값)을 보기에, 어느새 무리지어 작은이를 짓밟는다. 힘꾼한테서 떡고물을 얻으려는 이는, 사람 아닌 힘(권력)을 보기에, 처음부터 들풀에 들꽃을 함부로 밟고 나무를 함부로 베고 숲을 함부로 무너뜨린다. 돈이란, 나쁘지도 좋지도 않다. 돈을 만지거나 다루는 사람들이 ‘어떤 마음에 어떤 눈길이느냐’에 따라 돈을 다르게 굴릴 뿐이다. 스스로 착하고 참하며 곱게 하루를 짓고 펴는 사람은, 돈이 있거나 없거나 착하고 참하며 곱다. 스스로 안 착하고 안 참하며 안 고운 사람은, 돈이 넘치거나 없거나 늘 안 착하고 안 참하며 안 곱다. 다스리는 마음부터 닦고서 돈을 벌거나 얻거나 쓸 일이다. 나누는 눈빛부터 기르고서 돈을 바라보거나 건사하거나 건넬 일이다. 책부터 읽거나 글부터 쓰다가는 거짓말쟁이나 눈속임꾼이나 돈바치로 뒹굴기에 좋다. ‘책을 왜 읽느냐’에 ‘책을 어떻게 읽느냐’에 ‘책을 읽어서 얻은 낱조각을 살림살이에 어떻게 녹이느냐’ 같은 길부터 익히고 추스르고서야 느긋이 천천히 책 하나 쥘 노릇이다. 마음 한복판에 사랑을 그려서 사랑씨앗을 심었으면, 책집을 차리건 찻집을 차리건 모두 아름답게 꿈을 편다. 사랑을 안 심은 채 뭔가 해보려고 붙잡는 사람들이 스스로 무너지는 길을 치달으면서 돈·이름·힘에 얽매여 고꾸라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3.7.15.

수다꽃, 내멋대로 46 모나미



  2014년부터였지 싶다. 그즈음부터 ‘모나미 볼펜’을 끊었다. 하루아침에 끊었다.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펴내고서 조촐히 책잔치를 서울 한켠에서 열었고, 그날 함께한 이웃님 한 분이 “숲노래 님은 늘 글을 많이 써야 하는데 ‘모나미 볼펜’ 말고 ‘좋은 볼펜’을 쓰셔야 하지 않아요? 제가 좋은 볼펜을 선물해 드려도 될까요?” 하고 얘기하셨다. “네? 좋은 볼펜이요? 좋은 볼펜이 어디 있어요? 좋은책 나쁜책이 따로 없듯, 좋은 볼펜과 나쁜 볼펜은 있을 수 없을 텐데요?” “아니에요. 아직 좋은 볼펜을 안 써 보셔서 그래요. 저는 문방구를 하는데요, 모나미 볼펜을 안 써요. 숲노래 님도 한번 모나미 말고 다른 볼펜을 써 보시고서 생각해 보셔요.” “에, 설마요? 그렇지만, 저는 글살림을 좋아하니까, 보내 주시면 써 볼게요.” 이웃님은 곧장 ‘일본 제트스트림 볼펜’ 12자루를 보내 주었다. 나는 여섯 달 동안 안 건드렸다. ‘제트스트림’ 한 자루이면 ‘모나미’ 열두 자루 값이다. 받은 글붓을 여섯 달 만에 처음으로 꺼냈다. 마침 ‘모나미’가 아주 말썽을 일으켜 쓸 수 없던 터라, “아, 그때 이웃님한테서 받은 글붓이 있었지. 그 글붓을 써 볼까?” 하고 쥐었다. 여섯 달을 묵힌 뒤에 꺼낸 글붓이지만 깜짝 놀랐다. 슥슥 글을 쓰고서 눈물을 흘렸다. 이날 저녁 곁님한테 얘기했다. “여보, 이제 모나미 볼펜을 다 버려야겠어.” 집에 있는 모든 모나미 글붓을 샅샅이 훑어서 작은 꾸러미에 담았다. 버리지는 않았다. 꾸러미에 담아 구석에 치웠다. 마흔 해를 쓰던 ‘모나미’는 다음처럼 몇 가지로 갈무리할 만하다. 첫째, 값싼 척하지만 새것인데 공(볼)이 빠져서 못 쓰기 일쑤라, 버림치를 헤아리면 하나도 값이 안 싸다. 둘째, 값싼 티를 낼 뿐이라, 대가 쉽게 휘고 먹물(잉크)이 쉽게 마르는 터라, 모나미 글붓 먹물을 마지막까지 쓴 일이 없다시피 하다. 셋째, 여름뿐 아니라 겨울에도 십 분 넘게 쥐고서 글을 쓰면 ‘손에서 나오는 기운(열)’으로 대가 휜다. 넷째, 겨울이 아닌 가을에도 ‘-5℃’나 ‘-10℃’가 아니라 ‘+5℃’에도 먹물이 굳어서 안 나온다. 다섯째, 여름이 아닌 봄에도 먹물이 쉬 퍼져서 갑자기 종이에 확 번진다. 여섯째, 싸구려 모나미 글붓에서 나오는 똥은 ‘글씨에 들어간 먹물’보다 많기 일쑤이다. 일곱째, 공이 빠지거나 꽈배기쇠(용수철)가 늘어나서 못 쓰는 일도 흔하지만, 톡톡 누르는 단추가 처음부터 먹통이라 못 쓰는 일도 수두룩하다. 여덟째, 글씨를 안 썼는데 저절로 먹물(잉크)이 새서 옷에 먹물자국이 번져 옷을 버리기 일쑤요, 수첩이나 책도 버리고, 가방까지 버린 적이 있다. 아홉째, 공도 꽈배기쇠도 톡톡이도 아닌, 앞머리가 툭 부러져 그냥 ‘속대’를 쥐고서 쓴 적도 흔하다. 열째, ‘하얀 대’보다 값을 더 받은 ‘노란 대’는 값만 더 받을 뿐, ‘하얀 대’하고 똑같은 말썽이 똑같이 있을 뿐이었다. 열한째, 어쩌다가 빗물이든 그냥 물이든 닿으면 먹통이 되어 버려야 한다. 열두째, ‘모나미 회사’가 사람들한테 고개를 숙여 숱한 말썽을 엎드려 빈 적이 없었지 싶다. 숲노래 씨는 이제 ‘일본 제브라 사라사’ 글붓을 쓴다. ‘제트스트림’도 꽤 좋으나 ‘제브라 사라사’가 훨씬 낫고, 빛깔이 골고루 있고, 굵기도 여러 가지가 있다. ‘나라사랑(애국)’이 나쁠 일이 없되, ‘나라미움’을 할 마음은 없다. 그저 한마디를 하고 싶다. ‘글붓 한 자루 제대로 만들지 못 하는 나라’에서 무슨 ‘과학기술’이나 ‘첨단산업’이나 ‘4차산업’이나 ‘메타버스’ 타령을 할 수 있는가? 웃기지 마라. ‘연필·볼펜’ 한 자루조차 이웃나라 발가락 때만큼도 흉내내지 못 하는 판이라면, 다른 무엇보다도 바탕(기본소양·기초실력)부터 엉터리라는 뜻이다. 이웃나라는 찰칵이(사진기)도 벼릴 줄 알 뿐 아니라, ‘연필·볼펜’에 ‘종이’도 정갈하고 훌륭히 선보인다. 아주 수수하고 흔한 글살림(문방구) 하나부터 찬찬히 짚고 돌볼 적에, 비로소 배움(교육)도 삶빛(인문학)도 꽃길(예술)도 벼슬(정치)도 피어나리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3.6.28.

숨은책 836


《컴퓨터 전문교재 APPLE. MSX.》

 개발연구원 일동 엮음

 구미컴퓨터학원

 1986.3.21.



  여덟 살 무렵인 1982년에는 둘레에서 “주판만 놓을 줄 알아도 굶을 걱정이 없어. 어디에든 일자리를 얻지.” 하고 얘기하면서 ‘주산학원’에 넣었는데, ‘전자계산기’가 싼값에 퍼지더니 주산학원에 다니던 동무는 모두 그만둡니다. 구슬셈(주산)을 가르치던 분은 눈물을 흘리며 배움집을 닫았어요. 동무 하나만 남은 곳에서 마지막달을 배우고서 헤어졌습니다. 이윽고 ‘인천 중구 도원동 12번지’에 있던 ‘구미컴퓨터학원’을 다녔습니다. 주산학원에서 보던 동무가 다 여기 있더군요. 아이들로 바글바글한 컴퓨터학원은 ‘봉고’에 아이들을 꽉꽉 태우며 오가느라 바빴습니다. 배움삯(학원비)은 비쌌습니다. 어머니는 배움삯을 대느라 휘청였으나 어린배움터(국민학교)에서 저를 ‘컴퓨터 경진대회’에 보낼 ‘학교 대표’로 뽑았다고 하기에 “대표로 뽑으면 뭐 해? 학원비를 줄 것도 아니면서!” 하고 콧방귀를 뀌었습니다. 집과 배움터에서 눈치를 받으며 《컴퓨터 전문교재 APPLE. MSX.》를 달달 외웁니다. 영어를 모르는데 꼬부랑글씨부터 익힙니다. 우리는 ‘8비트 컴퓨터 게임’을 스스로 짜내야 합니다. 먼저 어른들이 보여주고, 우리 나름대로 틀을 바꾸어 엮는데 머리에 김이 풀풀 나기는 했으나 드디어 하나 해내면 매우 신났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3.6.28.

숨은책 831


《최신 주산 교본》

 편집부 엮음

 문영각

 1969.9.15.



  어릴 적에 ‘주산학원’을 다녔습니다. ‘주산·주판’은 1982년 어린이로서는 꼭 익힐 여러 가지 가운데 하나였어요. 어릴 적에는 셈놀이(산수)가 어쩐지 매우 마음에 들어 처음으로 ‘내 주판’을 할아버지한테서 물려받은 뒤에는 날마다 들고 다니면서 혼자 머릿셈(암산)을 하면서 걸어다녔어요. 슬슬 구슬셈(주산)을 빼어나게 해낼 뿐 아니라, 셈(문제)을 내는 길잡이한테 “선생님, 더 빨리 내주세요!” 하고 익살을 부리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주산경연대회’에 나간다는 꿈이 무르익을 즈음 “머잖아 컴퓨터 시대가 온다”는 얘기가 돌았고, 어린배움터(국민학교)에서는 “주산학원은 그만두고 컴퓨터학원을 다녀야 한다”고 시키더군요. 그래도 《최신 주산 교본》처럼 ‘옆으로 길다란’ 배움책을 으레 챙겨서 돌아다녔습니다. 같이 구슬셈을 배우는 동무는 ‘옆으로 길다란 주산학원 교재’를 둘둘 말아서 다녔고, 저는 ‘둘둘 말면 반듯하게 펼 수 없’기에 얌전히 들고 다녔습니다. ‘주산경연대회’에는 하루 가 본 적 있습니다. 이다음에 나가기 앞서 구경으로 삼아서 갔는데, 끝끝내 ‘이다음’은 없었어요. 셈틀(컴퓨터)에 앞서 ‘전자계산기’가 빠르게 퍼졌거든요. 가게에서 구슬셈을 놓던 분들부터 확 사라졌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3.6.28.

숨은책 830


《조선말 배우는 책 (로어)》

 공인현 글

 외국문도서출판사

 1989.5.25.



  우리는 글(책)로만 배우지 않습니다. 언제나 삶으로 배웁니다. 하루하루 배운 삶은 저마다 마음에 담는데, 날마다 배운 삶을 담은 마음을 서로 나누려고 말이라는 소리를 터뜨리고, 이 말을 주고받는 동안 ‘이야기’가 깨어나서 오래도록 잇는 삶빛이 흐릅니다. 글은 말을 담는데, 말은 마음을 옮겼고, 마음은 배운 하루를 나타내며, 배운 하루란 삶입니다. 이 얼거리를 읽는다면 글(책)이란 하나도 모르거나 안 읽더라도 스스로 눈뜨고 깨어나고 날개돋이를 하는 ‘한사람’으로 설 만해요. 《조선말 배우는 책 (로어)》은 북녘에서 펴냈는데, 북녘도 중국도 일본도 아닌, 남녘 헌책집에서 만났습니다. 저는 열린배움터(대학교)를 그만두고서 혼자 삶빛이며 말빛을 익히려 했습니다. 처음에는 배움책숲(학교도서관)에서 ‘배움일꾼(근로장학생)’으로 여섯 달 동안 지내며 “뭐야? 고작 여섯 달 만에 읽을 책이 더 없네?” 하고 느꼈어요. ‘책숲에 없는 책’을 챙겨 읽으려고, 또 책숲마다 책이 얼마 없고 낡았기에, 온나라 헌책집을 찾아다니면서 열린배움터에서 다 다르게 쓰는 책을 살피고 읽을 뿐 아니라, 배움터에서 안 가르치는 숱한 책을 만났습니다. 1994년 겨울부터 ‘대학졸업장 없이 살자’고 마음먹고 책집마실을 다녔기에 비로소 우리말을 삶으로 바라볼 수 있었구나 하고 돌아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