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7.29.

숨은책 852


《사회학적 상상력》

 C.라이트 밀즈 글

 강희경·이해찬 옮김

 홍성사

 1978.3.10.



  ‘한글’하고 ‘우리말’은 다릅니다. ‘한글’하고 ‘훈민정음’도 다릅니다. 그러나 무엇이 어떻게 왜 다른가를 또렷이 알면서 어린이한테 들려주는 어른은 참으로 드뭅니다. ‘글’은 ‘말’을 옮겼다고 여기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 떠도는 글 가운데 ‘말·우리말’을 옮긴 ‘소리무늬’인 글은 드뭅니다. 《사회학적 상상력》은 2004년에 이르러 고침판이 나오지만, 1978년에 옮긴 말씨를 그대로 읽혔고, 나중에라도 썩 안 바뀌었습니다. “우리 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직접간접으로 도움을 주신 여러분에게 감사를 드린다. 전체적으로는 일본어 번역본 《社會學的 想像力》(鈴木廣 譯, 紀伊國屋書店 刊, 1975년 제8판)을 많이 참고했으며(6쪽)”처럼 ‘일본책을 베낀 일’을 밝힌 머리말을 의젓하다고 보아야 할까요, 어리석다고 여겨야 할까요, 창피하다고 느껴야 할까요? 스즈키 히로시(1938∼2014) 님이 1965년에 일본글로 옮긴 책에 나온 ‘일본말씨·일본 한자말’을 1978년에도 2004년에도 2023년에도 그대로 쓰거나 퍼뜨리는 우리나라입니다. 삶터를 그릴 줄 모르면 삶을 읽지 못 할 테고, 마을·나라·곳을 헤아릴 줄 모르면 스스로 눈뜨지 않습니다. 무늬가 한글이라서 우리글이나 우리말이 아닙니다. 배움길은 무늬 아닌 삶길입니다.


ㅅㄴㄹ


#TheSociologicalImagination


다음과 같은 한 문제가 나를 약간 당황스럽게 만든다

→ 나는 다음에 들 보기 때문에 좀 어지럽다

→ 나는 이러한 보기 때문에 적잖이 놀란다

→ 이런 일을 볼 때마다 퍽 어리둥절하다

4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7.27.

숲집놀이터 284. 부채에 나무



2023년, 큰아이는 열여섯 살에 작은아이는 열세 살이다. 여태까지 두 아이랑 바람이(선풍기·에어컨) 없이 부채로 여름나기를 했다. 부채질을 신나게 했고, 아이를 자주 씻겼는데, 이제는 아이더러 스스로 자주 씻으라고 이야기한다. 푸른씨 나이로 자란 아이들을 씻길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 앞으로도 집안에 바람이를 들일 마음이 없다. 다만, 우리 보금자리가 ‘보금숲’에 ‘숲집’으로 자라나도록 나무를 늘리고, ‘나무를 심고 가꾸고 건사할 땅’을 꾸준히 늘리려는 마음이다. ‘나무가 없다시피 하던 시골집’을 처음 장만하던 2011년을 헤아리자면, 여름이 매우 고달팠다. 이듬해에 나무가 조금 자라며 조금은 덜 고달팠다. 해마다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는 동안 여름이 차츰 덜 고달팠고, 이제 집 둘레로 나무가 꽤 뻗어 지붕을 폭 덮으면서 제법 시원하다고 할 만하다. 그러니까, 살림집 둘레로 풀꽃나무로 숲을 이루면,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은 포근하다. 풀꽃이 자라고 벌나비가 깃들 흙이 있으면서, 나무가 마음껏 우거져 크고작은 새가 숱하게 내려앉고, 바깥에서 ‘우리 집을 못 알아볼 만큼 깊을’ 적에는, 부채조차 없이 지낼 수 있으리라 여긴다. ‘웹툰을 그려서 번 돈으로 1억 5천만 원짜리 포르쉐’를 몇 해 앞서 장만했다는 ‘주호민 집안’이다. 쇳덩이(자동차)를 사든 말든 대수롭지 않다. 그러나,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라는 길을 걷는다면, 쇳덩이에 앞서 ‘나무를 심어 돌보는 보금숲’부터 꾸릴 노릇이다. 아이뿐 아니라 어른도, 풀꽃나무를 곁에서 품고 숲을 보금자리에서 누릴 적에 착하고 참하며 곱게 마음을 돌보는 길을 스스로 사랑으로 찾고 알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7.27.

숲집놀이터 283. 비날과 작은새



올해(2023)에는 비가 잦다. 지난해에도 꽤 잦았으나, 올해에 대면 아무것도 아니다. 볕날이 적고 비날이 잦으며 긴 올해 봄이며 여름을 가만히 돌아보노라면, 시골에서는 비가 멎을 적에 득달같이 곳곳에서 풀죽임물(농약)을 사납게 잔뜩 뿌리더라. 그런데 풀죽임물을 사납게 뿌리고서 10∼30분쯤 뒤에 어김없이 구름이 몰려들어 함박비를 쏟네. 비가 잦아서 풀죽임물을 뿌려 본들 덧없다면, 아예 풀죽임물에 죽음거름(화학비료)이 없이 흙살림을 할 만하다. 유난히 비날이 잦으면서 올해에는 그야말로 유난스레 ‘풀벌레도 매우 적’다. 다만, 우리는 몇 가지를 똑똑하게 알아야 한다. 작은새는 거미에 모기에 애벌레를 밥으로 삼는다. 작은새가 밥으로 삼을 거미에 모기에 애벌레가 사라지면, 갑작스레 풀벌레가 들끓으면서 모든 흙짓기(농업)가 무너진다. 사람이 사람으로서 논밭살림을 하자면, 씨앗을 심어서 가꾸어 얻은 낟알이며 열매를 ‘사람·새·풀벌레랑 숲짐승’이 하나씩 나눌 적에 아름답다. 새는 대단하면서 놀랍고 훌륭한 ‘흙살림 도움이’ 노릇을 한다. 그리고 ‘풀벌레’가 늘 어느 만큼 있어야 새가 한해살림을 꾸린다. 숲짐승도 어느 만큼 있어야 들숲바다가 푸르다. 숲빛을 읽고 나누는 눈썰미란, 아이랑 어른이 이 땅에서 함께 익히면서 품을 어진 삶길이라고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7.27.

숲집놀이터 282. 아무나 홈스쿨링?



“아무나 집배움(홈스쿨링)을 할 수는 없다”만 “누구나 집배움(홈스쿨링)을 할 수 있도록 어버이부터 스스로 배울 노릇”이라고 본다. 왜 아무나 집배움을 할 수는 없느냐 하면, 아이랑 집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보여주고 들려주고 알려주면서 함께하려면, 어버이로서 ‘온살림’을 먼저 스스로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레 익힐 노릇이다. 하루아침에 뚝딱 ‘집배움(홈스쿨링)’을 못 한다. 차근차근 오래도록 어버이에 어른으로서 살림빛을 익히는 매무새여야 한다. 그런데 “아이를 여느배움터(제도권학교)에 넣더라도, 어버이로서 집에서 함께 보여주고 들려주고 알려주면서 배우고 나누는 살림길과 사랑길은 늘 있어야 할” 노릇이다. 아이가 삶을 배우도록 이끄는 몫을 여느배움터(공공기관 학교)에만 맡길 수 없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는 “돈만 잘 벌면 어버이 노릇이 끝”이 아니다. 어버이는, 아이한테 밥을 먹이고 옷을 입히고 잠을 재운대서 ‘어버이 노릇’을 다했다고 여기지 않는다. 어버이로서 아이들이 물려받고 지켜보면서 배우는 ‘살림·사랑’에다가 ‘사람다움·숲빛’을 나란히 누리도록, 어버이란 자리를 늘 새롭게 돌아보고 스스로 갈고닦을 줄 알아야지. 2023년 7월 26일에 문득 불거진 ‘두 살 어린 9살 여학생한테 성추행·폭력을 일삼은 아이를 둔 주호민 집안’을 헤아려 본다. ‘주호민 집안’은 먼저 ‘어버이 되기 + 사람으로 사랑하는 살림을 짓기’부터 배우기를 바란다. 《아나스타시아 1∼10》(블라지미르 메그레) 같은 책을 장만해서, 제발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서 날마다 차근차근 읽어 주면서 스스로 삶을 돌아보시기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2023.7.23.

수다꽃, 내멋대로 48 너 참, 피곤하다



  오늘을 이루는 몸짓은 으레 진작부터 했다. 아직 몸에 배지 않았으면, 오늘부터 다스려서 몸으로 풀어놓는다. 이를테면, 숲노래 씨는 어버이집에서 홀로서기를 한 1995년에도,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93년에도 수저를 챙기며 살았다. 예전에는 도시락을 챙겼으니 수저도 으레 챙길 만하지만, 도시락을 안 챙겼어도 ‘내 수저’를 들고 다니면서 한벌살림(1회용품)을 안 쓰려 했다. 1992년이나 1995년에도, 2002년이나 2005년이나 2012년에도, 이런 매무새를 지켜보는 둘레에서는 “너 참, 피곤하다.”라든지 “왜 이렇게 힘들게 살아?”라든지 “일회용품 안 쓴다고 지구가 죽냐?” 같은 말을 숱하게 들었다. “난 내 수저를 챙길 적에 즐거워.”라든지 “수저에 천바구니에 물병을 챙기는 사람을 힘들게 산다고 바라보는 네 눈길이야말로 힘들지 않아?”라든지 “난 푸른별을 살리려고 내 수저나 천바구니나 물병을 챙기며 다니지 않아. 이렇게 다니면서 스스로 즐겁고 넉넉하거든.” 하고 대꾸했다. 어마어마한 뜻(대의명분)을 품으면서 일을 하지 않는다. 우리말 ‘일’은 ‘일어나다·일으키다·일다’로 잇는 말씨앗이다. 모든 ‘일’은 물결이 일듯, 스스로 마음에서 일어나기에 하고, 너울이 일렁이듯, 스스로 몸짓이며 매무새를 새롭게 일으키려고 한다. 1992년부터 책에 눈을 떴고, 책에 눈을 뜬 그날부터 책집마실을 하면 으레 ‘차고 넘치도록’ 주머니를 탈탈 털어서 책을 장만했다. 1992년이나 2023년이나 수레(자동차)를 안 몬다. 걷거나 두바퀴(자전거)를 달린다. 좀 먼길이면 버스를 탄다. “아니, 책을 그렇게 많이 사는데? 왜 이렇게 힘들게 다 이고 지고 다녀? 차 좀 사. 차 살 돈 없어?” 하고 따지듯 묻는 분한테 “제가 건사하는 책은 스스로 품으면서 집으로 돌아가야 비로소 제가 온몸으로 읽을 꾸러미로 스며요. 손쉽게 수레에 실어서 나르려면, 아예 책집마실부터 안 하면 될 테지요. 책 몇 꾸러미를 이고 지면서 힘들거나 땀난다면, 뭣 하러 틈을 내어 책읽기부터 하나요? 책부터 안 읽으면 안 힘들지 않나요? 힘들게 살고 싶지 않으면 글을 안 써도 되어요. 아이도 안 낳으면 되어요. 아이를 낳았어도 천기저귀를 안 대고, 손빨래를 안 하면, 안 힘들겠지요. 그런데 우리가 스스로 마음을 들이고 힘을 들이고 사랑을 들이고 숨결을 들이면서, 이 모든 일을 물결이 일렁이듯 노래하면서 즐길 적에, 저부터 스스로 웃더라구요. 그리고 제가 웃으면서 신나게 책짐을 이고 지고 노래하면, 우리 아이들하고 이웃 아이들은 ‘삶이란 늘 노래’라는 대목을 물려받을 만해요.” 하고 대꾸한다. 이런 말을 듣는 분은 으레 “참말로 그대는 제멋대로 사네!” 하더라. 그래서 “저는 마땅히 ‘제 멋’을 그대로 살리며 살아야지요. 이녁은 ‘이녁이라는 삶멋’을 그대로 살리며 살아야 ‘산빛’일 테고요.” 하고 보탠다. ‘제멋대로’란, ‘함부로·아무렇게나’가 아니다. 우리는 누구나 ‘제 + 멋 + 대로’ 하루를 그리고 삶을 지으며 오늘을 노래할 노릇이다. 나는 내 하루를, 너는 네 하루를 살아야잖은가? 흉내를 낼 일도, 훔칠 까닭도, 따라갈 일도, 쳇바퀴를 돌 까닭도 없다.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멋을 보는 길대로’ 살아갈 적에 스스로 하늘빛이다. 그런데 ‘제멋대로’가 마치 ‘함부로·아무렇게나’라도 되는듯 밀어붙이는 이 나라이다. 우리가 스스로 ‘제멋대로’일 줄 알아야 ‘다 다른 눈빛과 숨빛과 삶빛으로 선’다. 제멋을 안 찾기에 흉내를 내다가 훔치거나 빼앗거나 괴롭힌다. 제멋을 누리고 나눌 줄 알기에 어깨동무를 하고, 손을 내밀어 함께 걸어간다. 마지막으로 그분들한테 한 마디를 보탠다. “제가 힘들게 산다고요? 제가 참 힘든 사람이라고요? 제 마음에는 ‘힘듦’이 없어요. 제 마음에는 ‘스스로 그리는 꿈하고 사랑’만 있어요. “너 참 피곤하다”하고 말씀하는 그대야말로 스스로 마음하고 몸에 ‘난 힘들어!’를 새기는 꼴이랍니다.” 나는 “힘든 일”이 아닌 “힘을 들이는 일”을 스스로 짓고 누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