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3.


《별새의 꿈》

 샤론 킹 차이 글·그림/노은정 옮김, 사파리, 2022.2.15.



종이새뜸을 사려고 순천마실을 가려는데, 마을 앞 11:10 시골버스부터 안 온다. 어이없지만, 시골에서는 두 시간마다 지나가는 버스가 말없이 안 들어오기도 한다. 옆마을로 걸어가서 12:20 시골버스를 탄다. 그런데 순천버스나루에서 새뜸을 팔던 가게가 사라졌다. 헛걸음에 허방이지만 곰곰이 생각해 본다. “사람들이 종이새뜸을 안 산다”고 여기기보다는 “사람들이 사읽고서 건사할 만한 이야기를 종이새뜸이 안 담은 지 오래”라고 보아야지 싶다. 아직 종이책이 나올 수 있는 밑힘이라면, “그래도 종이책을 두고두고 읽다가 둘레에 물려줄 수 있다”이지 싶다. 마을책집 〈책방사진관〉을 들르고서 고흥으로 돌아간다. 《별새의 꿈》을 읽으며 옮김말이 몹시 아쉬웠다. 왜 어린이 눈높이를 안 헤아리는 옮김말일까 하고 돌아보다가 “Starbird”를 “별새”가 아닌 “별새의 꿈”으로 옮긴 줄 알아챈다. 꾸밈없이 나눌 말을 살피지 못 하니, 어린이 곁에서 들려줄 말빛을 놓치거나 모르게 마련이다. 낮에는 낮잠이고, 낮밥이며, 낮꿈이다. 새는 새꿈이고, 꽃은 꽃꿈이다. 별새는 그저 별새꿈이기도 하다. ‘꾸미’려 하면 망가진다. ‘꾸리’거나 ‘가꾸’려 해야 살아난다. 말끝을 하나하나 들여다볼 적에 낱말 하나가 씨앗으로 자란다.


#Starbird #SharonKingChai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만마리 고양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2
완다 가그 글 그림, 강무환 옮김 / 시공주니어 / 199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17.

그림책시렁 1372


《백만 마리 고양이》

 완다 가그

 강무환 옮김

 시공주니어

 1994.6.20.



  우리말 ‘숱하다’를 잊은 분이 무척 많아요. 한자 ‘수(數)’를 넣은 ‘수없이’만 쓰는 분이 많은데, ‘머리숱’처럼 셀 길이 없이 많다고 여길 적에 ‘숱하다’를 씁니다. ‘수두룩하다·수북하다’도 같은 얼거리이고, ‘숲’도 나란합니다. 마음을 틔우고서 말빛을 읽기에 서로 따사로우면서 즐거이 이야기를 짓습니다. 마음을 틔우지 않은 채 둘레에 휩쓸리는 말씨로 기울면 스스로 이야기를 여미지 않고서 자꾸 남을 쳐다보거나 바깥을 기웃거려요. 《백만 마리 고양이》는 놀랍도록 몹시 아름다운 그림책입니다. 얼핏 본다면 강샘(욕심)을 가볍게 나무란 줄거리일 텐데, ‘시샘하는’ 마음이란, 배고프지 않은데 자꾸 배고프다고 여기면서 다른 사람 밥그릇을 넘보거나 부러워하면서 눈이 먼 모습입니다. 이미 즐겁고 아름다이 가꾼 보금자리가 있으나 어쩐지 다른 곳을 부러워하는 바람에 ‘귀여운 고양이’를 찾아나서고, 모든 고양이가 귀여우니 몽땅 집으로 데려오고 마는 어리석은 아저씨예요. 꿈을 제대로 그리지 않은 채 ‘노리’기만 한 매무새입니다. 꽃과 나무로 일군 집이라면 새가 날마다 찾아들겠지요. 들고양이도 어느 날 문득 찾아올 테고요. 파랑새를 먼숲에서 잡아와야 하지 않아요. 새가 찾아올 숲집을 일구면 될 뿐입니다.


#WandaGag #MillionsofCats

1928


ㅅㄴㄹ


《백만 마리 고양이》(완다 가그/강무환 옮김, 시공주니어, 1994)


깨끗하고 좋은 집에서 외따로이 살고 있었어요

→ 깨끗하고 즐거운 집에서 외따로이 살아요

3쪽


언덕을 몇 개 오르고, 서늘한 골짜기를 몇 개 지나

→ 언덕을 몇 오르고, 서늘한 골짜기를 몇 지나

→ 언덕을 오르고, 서늘한 골짜기를 지나

5쪽


졸졸 따라오는 광경은 정말 우스꽝스러웠어요

→ 졸졸 따라오는 모습은 참말 우스꽝스러웠어요

14쪽


털이 보들보들해지고 자르르 윤기가 돌았어요

→ 털이 보들보들하고 자르르해요

→ 털이 보들보들 빛나요

2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은 힘이 세다 - 도서관에서 찾은 47가지 그림책 질문
박미숙 지음 / 책이라는신화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17.

그림책시렁 1366


《그림책은 힘이 세다》

 박미숙

 책이라는신화

 2023.12.25.



  언제부터인가 “무엇은 힘이 세다” 같은 말씨가 번지고, 이런 이름을 단 책도 나옵니다. “무엇은 힘이 세다” 같은 말글을 듣거나 보면 깜짝 놀랍니다. 왜 이 삶을 힘겨루기로 마주하려는 셈일까요? 어릴 적에 워낙 고삭부리로 으레 앓아누울 뿐 아니라, 집 안팎과 마을과 배움터에서 늘 얻어맞으면서 들볶이던 아이였던 터라, ‘힘세다’를 내세우는 이름에는 확 주눅이 듭니다. 《그림책은 힘이 세다》는 나쁜책이지 않습니다만, ‘힘’을 자꾸 들추는 얼거리이다 보니, 오히려 멀리하고픕니다. 글쓴이는 오래도록 작은책숲을 아끼는 길을 걸으셨는데, ‘작은’책숲을 아낀 매무새로 왜 ‘힘’을 불쑥 앞장세워야 하는지 아리송해요. 곰곰이 보면, 이 꾸러미에서 다루는 그림책이 뜻밖에 퍽 좁아요. 사랑을 들려주거나 숲을 속삭이거나 살림을 짓는 슬기를 밝히는 그림책은 오히려 못 다루었다고 느낍니다. 아무래도 ‘힘센’ 그림책에 기우느라 ‘이름난’ 몇몇 그림꾼 책에서 맴돌다가 끝납니다. 저는 1999년에 처음으로 그림책을 만났습니다. 어릴 적에 제 곁에는 그림책이 한 자락조차 없었고, 1982∼87년에 다닌 국민학교에는 배움책숲도 없었으나 ‘학급문고’조차 마병(폐지)더미였을 뿐입니다. 쓸쓸합니다. “그림책은 사랑”이라는 눈길로 다가서야 그림책을 비로소 품고 나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ㅅㄴㄹ


《그림책은 힘이 세다》(박미숙, 책이라는신화, 2023)


시립도서관도 있었고

→ 고을책숲도 있고

→ 마을책숲도 있고

10


당장 재원이 없으니, 버는 돈의 일부를 떼어 책을 사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 눈앞에 돈이 없으니, 버는 돈을 조금 떼어 책을 사 모았습니다

→ 바로 밑돈이 없으니, 버는 돈을 푼푼이 떼어 책을 사 모았습니다

11


뒹굴뒹굴 책 속에 빠져 있는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 뒹굴뒹굴 책에 빠진 아이들을 보면

11


모두가 이용자라고 불리는 같은 사람이 되지요

→ 모두가 손님이라고 하는 같은 사람이지요

→ 모두가 같이 쓰지요

12


문화나 예술을 만끽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 살림꽃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해요

→ 온살림을 맛볼 수 있기도 해요

→ 삶멋을 즐길 수 있기도 해요

21쪽


작은도서관이라는 고유명사로 불리지요

→ 작은책숲이라고 이르지요

→ 작은책터이라고 하지요

→ 작은책밭이라는 홀이름이 있지요

26


호기롭게 나섰습니다

→ 거침없이 나섰습니다

→ 기운차게 나섰습니다

36


독학을 한번 해보세요

→ 혼자 익혀 보세요

→ 홀로 배워 보세요

38


아무것도 안 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이야기를 나누며 이 프로젝트는 시작되었습니다

→ 아무것도 안 한다고 느낀다고 이야기를 하며 이 일을 꾸렸습니다

→ 아무것도 안 한다고 느낀다고 이야기하며 이 밑그림을 폈습니다

43


조용하고 한적한 시골 풍경이 펼쳐져 있었습니다

→ 조용한 시골입니다

→ 한갓진 시골입니다

48


고민의 시작은 제가 일하고 있는 도서관의 강의실을 대관해 달라는 전화가 오면서입니다

→ 제가 일하는 책숲 익힘칸을 빌려 달라고 물어올 때부터 근심입니다 

→ 제가 일하는 책밭 배움칸을 빌리겠다고 여쭐 때부터 걱정스럽습니다

54


이런 안내문은 너무 과잉 아닐까

→ 이런 알림글은 너무하지 않을까

→ 이런 글자락은 지나치지 않을까

56


요즘 도서관은 정숙만을 강조하지는 않습니다

→ 요즘 책숲만 조용하라고만 시키지 않습니다

→ 요즘 책터는 가만 있으라고만 하지 않습니다

60


우리는 왜 시민을 민원인이라 부르게 되었을까

→ 우리는 왜 사람을 넋두리라 이를까

→ 우리는 왜 이웃을 목소리라 여길까

62


영아기에 책을 통해 아이와 애착을 맺으면

→ 갓난이 때 책으로 사귀면

→ 갓난아이 때 책으로 마음을 쏟으면

80


큰소리만 칠 게 아니라

→ 큰소리만 치지 말고

→ 큰소리는 그만 치고

117


우리 부모 세대 트라우마는 공부를 하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 우리 어버이 또래는 못 배워서 고름이 맺었습니다

→ 우리 어버이 또래는 못 배운 멍울이 있습니다

119


굳이 데스크에 앉아 있는 저에게 와서

→ 굳이 자리에 앉은 저한테 와서

→ 굳이 일칸에 앉은 저한테 와서

124쪽


누군가 입장에 서 본다는 것, 그것은 그 대상을 들여다보고 이해하려는 마음이 있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 누구 자리에 서 보려면, 이웃을 들여다보고 살피려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 누구 눈길로 서 보려면, 둘레를 보고 헤아리려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165


햄버거 광고는 언제나 저를 패스트푸드점으로 달려가게 합니다

→ 고기빵 알림을 보면 언제나 빠른밥집으로 달려갑니다

29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너도 찾았니? 너도 찾았니? 2
시미즈 지음, 김숙 옮김 / 북뱅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17.

그림책시렁 1376


《또! 너도 찾았니?》

 시미즈

 김숙 옮김

 북뱅크

 2023.4.10.



  우리 집 아이들은 여느배움터를 안 다닙니다. 어린배움터나 푸름배움터에서 어떤 배움책을 쓰는지 모르고, 배움책숲(학교도서관)에 어떤 책이 꽂히는지 모릅니다. 이따금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로 이야기꽃을 펴러 찾아가서 배움책을 들여다보다가 깜짝 놀라요. 요새 나오는 배움책은 “배우는 책”이 아닌 “캐릭터 꾸러미” 같거든요. 어린이나 푸름이가 삶을 바라보면서 살림을 익히고 사랑을 스스로 찾아나서면서 숲을 품는 슬기로운 길을 짚거나 이끌거나 밝히는 줄거리를 담은 배움책을 여태 못 봤습니다. 예전에도 없다시피 했으나, 요새는 아주 “캐릭터 장난질”이 넘실거리니, 아이들을 어떻게 망가뜨리려는 나라입니다. 《또! 너도 찾았니?》는 나쁘다고 여길 그림책은 아니지만, “캐릭터 꾸러미”인 오늘날 배움책하고 마찬가지라고 느낍니다. 귀엽거나 이쁘장하고 꾸미거나 붙이는 그림으로 ‘무엇’을 ‘찾는다’는 얼거리인지 알쏭달쏭해요. 우리가 “어진 사람인 어른”이라면, 어린이한테 “캐릭터 꾸러미”가 아닌 “이야기 꾸러미”를 지어서 들려주고 읽힐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는 ‘귀염이’가 아닌 ‘아이라는 숨결’입니다. 제발 어린이를 어린이로 바라보고 마주하는, 어른스러운 어른으로 우리부터 스스로 거듭나기를 바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 속에 찰칵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유키 마사코 글, 서인주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3.15.

사진책시렁 137


《마음속에 찰칵》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유키 마사코 글

 서인주 옮김

 학산문화사

 2002.12.15.



  꼭 열 살이던 1984년에 처음 찰칵 하고 담았습니다. 심부름에도 지치고, 마을이며 집에서 두들겨맞은 몸도 쉬면서, 짐더미(숙제)에서 홀가분하고 싶은 마음에, 바깥마루에 기대어 하늘바라기를 하는데, 똑같은 구름이 하나조차 없이 놀랍게 하늘빛춤을 짓는 모습에 사로잡혔습니다. 집 어디에 우리 아버지가 안 쓰는 찰칵이가 굴러다닌다고 떠올랐고, 나중에 꾸지람을 들을는지 모르나, 구름결을 신나게 찍었습니다. 이러고서 1998년에 비로소 “빛꽃이란 무엇인가?”를 석 달 동안 허현주 님한테서 ‘보도사진’이란 이름으로 배웠는데, 배움칸에 1초라도 늦으면 닫아걸고서 들어오지 말라 하더군요. 저는 늦거나 빠진 적이 없으나, 신문방송학과 사람들은 으레 늦거나 빠져요. 이녁은 “네가 값싼 찰칵이를 쓴다고 해서 빛꽃이 값싸지 않아.”라는 말하고 “찰칵 찍을 마음이라면 찰칵이를 목걸이로 삼아.”라는 말을 들려주었습니다. 《마음속에 찰칵》은 어린이가 빛꽃이 왜 “빛으로 짓는 꽃”인지 사근사근 밝히면서, 봄여름가을겨울로 물들면서 마음에 사랑씨앗을 새롭게 남기는 길인지 보여줍니다. 사랑으로 보기에 쓰고 그리고 담습니다. 사랑으로 만나기에 반갑게 읽고 기쁘게 나눕니다. ‘추억’ 아닌 ‘사랑’을 새기는 빛꽃입니다.


#いわさきちひろ #松本知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