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알았겠어?
푸름 지음 / 키위북스(어린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3.

그림책시렁 1387


《누가 알았겠어》

 푸름

 키위북스

 2023.3.3.



  늑대는 나무를 타지 않거나 못 탑니다. 여우는 나무를 탈 수 있습니다. 이 땅에서 늑대도 여우도 자취를 감추었으니, 두 숲짐승 살림길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늑대도 여우도 새끼나 동무를 더없이 아끼고, 숲을 지키는 듬직한 지기입니다. 둘뿐 아니라 곰도 범도 사람을 굳이 안 건드리고, 사냥도 아무 때나 안 합니다. 더욱이 ‘사냥짐승’이라 하더라도 풀열매나 멧딸기를 무척 즐겨요. 그런데 이런 숲빛을 찬찬히 읽는 사람은 드뭅니다. 《누가 알았겠어》를 가만히 읽습니다. 털빛이 붉다면 ‘여우’일 텐데, 이 그림책에서는 ‘늑대’로 나옵니다. 짐승을 빗대기는 했으되, 곰곰이 보면 사람살이 이야기입니다. 아니, ‘서울사람’ 이야기입니다. 사람물결이어도 이웃이나 동무를 반기지 못 하는 바쁘고 메마른 곳에서 “누가 나를 ‘반기’는가?” 하고 묻는 줄거리입니다. 우리 삶을 숲짐승한테 빗댈 수 있지만, ‘숲’을 숲으로 그리는 이야기가 아니라면, 굳이 짐승 모습에 빗대지 않아도 되리라 느낍니다. 어린이부터 읽을 그림책인데 ‘반갑다·반기다’라는 우리말이 아닌, 일본스런 한자말 ‘환대’를 써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상냥해 보이는 탈”을 쓰면서 날마다 고달픈 서울살이란 그야말로 고달프게 마련인데, “탈을 벗은 맨몸으로 마주하는 오늘”을 바라보자면, 그냥 ‘사람’을 그리면 됩니다.


ㅅㄴㄹ


《누가 알았겠어》(푸름, 키위북스, 2023)


이 넓고 넓은 세상에서 나 혼자 초원을 떠돌게 될 줄 누가 알았겠어?

→ 이 넓고넓은 곳에 나 혼자 들판을 떠돌 줄 누가 알았겠어?

→ 이렇게 넓고넓은데 나 혼자 들을 떠돌 줄 누가 알았겠어?

2쪽


나무 그늘 아래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 나무 그늘에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 나무 밑에서 쉴 때를 노려야겠어

10쪽


달아나지 않는 걸 보니 속은 것 같아

→ 달아나지 않으니 속은 듯해

→ 안 달아나니 속았나 봐

17쪽


나를 진심으로 환대하는 거야?

→ 나를 참으로 반기니?

→ 내가 참말로 반갑니?

21쪽


혼자가 아닌 건 더 행복해

→ 혼자가 아니면 더 기뻐

→ 혼자가 아니라 더 신나

23쪽


이런 환대를 받게 될 거라곤 정말 생각하지 못했는데

→ 이렇게 받아들이리라곤 아주 생각하지 못했는데

→ 이렇게 반기리라곤 아예 생각하지 못했는데

2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 막대 파란 상자 Dear 그림책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글.그림, 이지원 옮김 / 사계절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2.

그림책시렁 1392


《파란 막대 파란 상자》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이지원 옮김

 사계절

 2004.12.20.



  뭘 해야 하거나 안 해야 한다고 가르면 괴롭습니다. 하루를 그리면서 하기에 가붓하면서 호젓합니다. 하루를 안 그리거나 못 그리는 채 심부름을 하거나 따라가야 하면 고달프면서 지칩니다. 가시내한테 이렇게 하라고 시키거나 저렇게 하지 말라고 막는 곳에서는, 사내한테도 이렇게 하라고 닦달하면서 저렇게 하지 말라고 끊습니다. 한쪽만 홀가분한 터전은 없습니다. 한쪽을 막는 터전은 다른 모든 쪽을 나란히 막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물길을 가두더라도 물은 흐릅니다. 빗물을 막더라도 비는 내립니다. 가로막는 담은 천천히 닳고 낡으면서 구멍나고 조각나지요. 냇물하고 빗물은 온누리를 부드럽게 찬찬히 다독이고 달래면서 새롭게 깨웁니다. 《파란 막대 파란 상자》는 두 사람 두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둘은 하늘빛을 닮은 파란 어느 살림으로 저마다 길을 열려고 합니다. 둘은 서로 다르게 닫히거나 갇힌 곳에서 스스로 마음을 다스립니다. 새롭게 서려는 뜻을 키우고, 새롭게 담으려는 꿈을 가꿉니다. 일어서는 뜻을 가로막는 무리는, 담으려는 꿈을 가로막겠지요. 가로막는 무리는 이쪽저쪽이 얼핏 달라 보여도 똑같습니다. 새길로 일어서고 담는 사람 또한 얼핏 다른 듯해도 나란합니다. 자, 손을 맞잡고서 함께 담을 녹여서 꽃뜰을 지어요.


ㅅㄴㄹ


#IwonaChmielewska


《파란 막대 파란 상자》(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이지원 옮김, 사계절, 2004)


자못 심각한 표정으로 말했습니다

→ 자못 골아픈 얼굴로 말합니다

→ 자못 끙끙거리며 말합니다

3쪽


할머니께 막대를 물려받았지요

→ 할머니가 막대를 물려줬지요

→ 할머니한테서 막대를 받았지요

3쪽


막대는 점점 더 비밀스럽고 특별하게 느껴졌습니다

→ 막대는 더 그윽하고 남다릅니다

→ 막대는 더 깊고 새롭습니다

3쪽


마치 자기가 중요한 사람이 된 것만 같았습니다

→ 마치 내가 큰 듯합니다

→ 마치 내가 높아 보입니다

3쪽


액자 속에 있는 가문의 여인들이 모두 자기를 향해 살짝 몸을 굽혀 웃어 주는 것 같았지요

→ 그림틀에 담긴 집안순이는 모두 저한테 살짝 몸을 굽혀 웃는 듯하지요

→ 틀에 담긴 우리 집 순이는 모두 나한테 살짝 몸을 굽겨 웃는 듯합니다

4쪽


눈밭 위에 여러 가지 크기의 완벽한 원을 그리는 것이었다

→ 눈밭에 여러 가지 동그라미를 곱게 그린다

→ 눈밭에 동그라미를 여럿 깔끔하게 그린다

10쪽


할머니의 어릴 적 취미는 하늘과 태양과 구름을 관찰하는 일이었지요

→ 할머니는 어릴 적에 하늘과 해를 구름을 즐겨보았지요

→ 할머니는 어릴 적에 하늘과 해를 구름을 늘 보았지요

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
다시마 세이조 지음, 고향옥 옮김 / 우리교육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1.

그림책시렁 1391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

 다시마 세이조

 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5.10.



  지난해인 2023년만 해도 비바람이 지나가면 이틀쯤 하늘빛이 맑았습니다. 올해인 2024년은 비바람이 씽씽 휘몰고 지나가도 이튿날조차 하늘빛이 안 맑습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하고 하늘을 보다가 깜짝 놀라는 나날입니다. “왜 이럴까? 무슨 일일까?” 하고 갸웃하면서 하늘바라기를 하던 어느 날, 문득 하늘소리가 마음으로 스밉니다. “얘야, 보렴. 서울(도시)은 서울대로 길바닥을 까맣게 덮고 잿더미(아파트)가 끝없이 솟느라 흙이 사라졌어. 서울을 비바람으로 씻어도 먼지가 돌아갈 흙이 없으니, 먼지는 다시 하늘로 퍼진단다. 시골은 예전에 흙과 풀밭으로 논둑이고 빈터가 흔했다면, 요새 시골은 논둑에 고샅에 도랑마저 잿빛으로 덮고서 다들 부릉부릉 모는구나. 이제는 시골에서도 먼지가 돌아갈 흙이 확 줄어드니, 너희가 사는 곳은 먼지투성이일밖에 없단다.”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을 물끄러미 넘기다가 생각합니다. 이 그림책을 펴는 어린이는 풀밭이나 풀숲에서 맨발로 뛰어 본 하루가 있으려나요? 풀이름을 다 알아야 하지 않고, 꽃이름을 모두 외워야 하지 않습니다. 풀놀이를 하고 풀노래를 부르면 즐겁습니다. 놀고 노래하는 사이에 스스럼없이 마음으로 스며서 이름을 붙입니다. 통통 튀는 공이 돌아다닐 풀밭이 왜 사라지는지 우리 스스로 돌아봐야지 싶습니다. 어린이는 뭘 해야 할까요?


ㅅㄴㄹ


#田島征三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다시마 세이조/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


풀숲에 커다란 꽃이 활짝 피어 있어

→ 풀숲에 꽃이 크게 활짝 피었어

24


덩굴들이 나를 붙잡으려고 해

→ 덩굴이 나를 붙잡으려고 해

29


어느새 내 마음은 친구들로 가득 찼어

→ 어느새 마음은 동무로 가득 찼어

3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O 마오 16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20.

책으로 삶읽기 924


《마오 16》

 타카하시 루미코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10.25.



《마오 1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을 읽는다. 두 아이 ‘마오’하고 ‘나노카’ 사이에 이따금 피어나는 마음은, 둘을 비롯해 둘레에서 피어나는 마음하고 매한가지이다. 둘이 스스로 ‘남 아닌 나’로서 어떤 마음인지 또렷하게 읽고 밝힐 수 있을 때라야, 둘뿐 아니라 모두 앙금을 풀면서 굴레를 벗어나리라 본다. 그러나 둘은 아직 마음을 감추거나 가린다. 또는 마음을 들여다보려 하지 않는다. ‘내 마음’부터 읽지 않는데, ‘남 마음’을 어찌 읽을 수 있을까? 나부터 스스로 마음을 털어놓으려 하지 않는다면, 둘레에서 누가 마음을 털어놓을까? 다만 둘은 아직 머나먼 어느 곳으로 가야 한다. 이 삶도 보고 저 살림도 마주하면서 천천히 자라나려고 한다. 자라려니 아직 마음을 덜 드러낼 만하고, 느긋이 모든 바람을 마실 수 있다.


ㅅㄴㄹ


‘다이고 님은 도망치려던 두 사람을 도우려 했구나. 빈껍데기인데도, 사나 님과 함께 도망치려 한 자신을, 기억하고 있던 게 아닐까?’ (28쪽)


이 돌의 불길이 오오토리 가의 술사에게 힘을 내려준다. 즉 사용하는 자가 마음먹기에 따라, 이것은 구원의 불길도, 지옥의 불길도 될 수 있다. (117쪽)


“저기, 그 사람들 햣카의 진짜 친척인 거지? 이대로 헤어져도 괜찮아?” “뭐? 내가 어떻게 나서라고. 하즈키는 두 번 다시 나 같은 놈과 엮여선 안 돼. 평범하게 살아가고 행복해진다면, 그걸로 족해.” (188쪽)


#たかはしるみこ #高橋留美子 #MAO


+


나에게 다이고는 기분 나쁜 존재였다

→ 나는 다이고가 싫었다

→ 나는 다이고가 못마땅했다

24쪽


무슨 계략을 꾸미고 있지?

→ 무슨 짓을 꾸미지?

→ 뭘 꾸미지?

31쪽


실은 1년쯤 전에 일하던 중에 나는 사나운 개에 쫓기고 있었어

→ 그런데 한 해쯤 앞서 일하다가 사나운 개한테 쫓겼어

66쪽


이 불초한 것들을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 이 못난이를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 이 멍청이를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74쪽


오오토리 가의 피를 강하게 이어받은 불의 술사

→ 오오토리 집안 피를 짙게 이어받은 불잡이

→ 오오토리 집 피를 굳게 이어받은 불지기

75쪽


신고할 턱이 있나요

→ 알릴 턱이 있나요

→ 말할 턱이 있나요

8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 - 오늘은 괜찮은 날이라고 새가 말해주었습니다
방윤희 지음 / 생각정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19.

다듬읽기 203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

 방윤희

 생각정원

 2023.11.24.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방윤희, 생각정원, 2023)는 하루에 한 가지 새를 눈여겨보는 살림을 들려줍니다. 일본말씨를 따서 ‘일일일새’로 적었으나, ‘하루한새’처럼 우리말로 적을 만하고, “하루 한새 집구석 살피기”나 “하루 한새 집구석 이웃”이나 “날마다 집구석 새바라기”나 “하루하루 집구석 새구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새 곁에서 이웃으로 지내는 마음이니 ‘새’롭습니다. 새한테 모이를 준다면 ‘모이주기’입니다. 글님은 ‘-지다’ 같은 옮김말씨를 매우 자주 쓰는데, 새를 보는 마음뿐 아니라, 새가 노래하듯 마음을 노래하는 말결을 조금 더 살필 수 있기를 바라요. ‘꾸미기’가 아닌 ‘꾸리는’ 하루를 누리는 새처럼, 사람으로서 하루를 가꾸면서 생각을 일구는 길이라면, 새길도 말길도 삶길도 사랑으로 포근히 추스르리라 봅니다.


ㅅㄴㄹ


그러니까 새는 하늘을 보게 하죠

→ 그러니까 쌔 때문에 하늘을 보죠

→ 그러니까 새가 있어 하늘을 보죠

7쪽


새를 보는 일에 시큰둥해졌습니다

→ 새보기가 시큰둥했습니다

→ 새바라기가 시큰둥했습니다

10쪽


나라는 존재를 잠시 잊게 되어요

→ 나를 한동안 잊어요

→ 나를 가만히 잊어요

→ 나를 문득 잊어요

26쪽


동정(관찰)하는 법

→ 보는 길

→ 바라보는 길

→ 살펴보는 길

34쪽


나도 버드피딩(Bird Feeding) 해볼까

→ 나도 새밥주기 해볼까

→ 나도 모이주기 해볼까

→ 나도 먹이주기 해볼까

35쪽


최소 세 마리다. 느낌적(?) 느낌으로는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 적어도 셋이다. 아마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 적어도 셋, 얼추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41쪽


깃털은 탄성이 있어서

→ 깃털은 탱탱해서

→ 깃털은 통통해서

42쪽


접힌 상태의 날개깃에서 푸른색 줄무늬가

→ 접한 갈개깃에서 푸른줄무늬가

44쪽


참새는 주로 인간 곁에 서식한다

→ 참새는 으레 사람 곁에 깃든다

→ 참새는 흔히 사람 곁에서 산다

51쪽


참새가 없는 곳엔 인간도 살 수 없지 않을까

→ 참새가 없는 곳엔 사람도 살 수 없지 않을까

51쪽


오늘이 바로 참새의 날이다

→ 오늘이 바로 참새날이다

51쪽


갑자기 두 눈의 동공과 코 평수가 넓어졌다

→ 갑자기 두 눈망울과 콧구멍을 키운다

→ 갑자가 눈을 크게 뜨고 콧구멍을 벌린다

55쪽


스토킹을 해보니 새들의 생태에 관해 잘 모르는 게 아쉽기만 했다

→ 구경만 하니 새를 잘 몰라 아쉽기만 하다

→ 보기만 하니 새를 너무 몰라 아쉽다

61쪽


새들에 대해 좀더 알아야 할, 어떤 책임감이 생겼다. 새들의 안부가 궁금해졌다

→ 새를 좀더 알아야겠다고 여겼다. 새가 잘 있는지 궁금하다

→ 새를 좀더 알자고 생각했다. 새가 잘 사는지 궁금하다

61쪽


동백이의 사생활이 파파라치에게 찍혀 공개된 듯한 느낌이었다

→ 동백이 삶이 거머리한테 찍혀 드러난 듯하였다

→ 내가 동백이를 괴롭혀서 하루를 밝힌 듯하였다

63쪽


안 그래도 심란한데

→ 안 그래도 싱숭생숭

→ 안 그래도 어수선

70쪽


야생동물이 우리 인간들 때문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지만, 그들은 나름대로 환경에 맞춰 열심히 살아간다

→ 우리 사람들 때문에 들짐승이 이만저만 괴롭지 않지만, 다들 제 나름대로 터전에 맞춰 힘껏 살아간다

→ 우리 사람들 때문에 멧짐승이 이만저만 힘겹지 않지만, 모두 제 나름대로 터에 맞춰 애써 살아간다

82쪽


근처에도 대벌레들이 군데군데 포진해 있어서

→ 둘레에도 대벌레가 군데군데 있어서

→ 둘레에도 대벌레가 군데군데 도사려서

110쪽


확인하니 푸른빛이 보인다. 파랑새다

→ 살펴보니 파랑이 보인다. 파랑새다

114쪽


더위 탓인지 새들의 방문이 줄었다

→ 더위 탓인지 새가 덜 찾는다

→ 더위 탓인지 새가 뜸하다

150쪽


참새 똥도 씻겨져 반들거렸다

→ 참새똥도 씻겨 반들거린다

158쪽


폭우가 내린 지 사흘이 지났지만

→ 소낙비 내린 지 사흘이지만

→ 큰비가 내린 지 사흘이지만

159쪽


상주하던 새들은 어디로 피했는지

→ 머물던 새는 어디로 갔는지

→ 깃들던 새는 어디로 날아갔는지

159쪽


새들에게 새삼 고마움을 느끼며

→ 새가 새삼 고맙다고 느끼며

→ 새가 새삼 고맙고

187쪽


오늘은 다행히 온전한 상태였다

→ 오늘은 그나마 멀쩡하다

→ 오늘은 좀 곱상하다

203쪽


특별히 관심 있게 보지 않았다

→ 더 들여다보지 않았다

→ 딱히 쳐다보지 않았다

→ 굳이 살펴보지 않았다

224쪽


시무룩해져서 걷는데 바위 위에 새처럼 보이는 물체가 낙엽에 반쯤 가려진 게 보였다

→ 시무룩해서 걷는데 바위에 새 같은 무엇이 가랑잎 사이로 살짝 보인다

→ 시무룩하게 걷는데 바위에 떨어진 잎 사이로 언뜻 새가 보이는 듯하다

28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