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녀(潛女) 잠수(潛嫂) 해녀(海女) 동해 인문학
이동춘 지음 / 걷는사람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4.4.

사진책시렁 138


《잠녀潛女 잠수潛嫂 해녀海女》

 이동춘

 걷는사람

 2020.12.30.



  한자말로 ‘잠수(潛水·潛嫂)’가 있으나, 우리말로 ‘자맥·자맥질’이 있습니다. 물속에 ‘잠기’는 몸짓을 ‘자’라는 낱말을 밑동으로 나타냅니다. 물을 길어올릴 적에는 ‘잣다’라 하고, 예부터 ‘무자위(물자위)’라는 연장이 있어요. 물에 잠겨서 헤엄치는 몸짓은 마치 꿈길에 들어선, 곧 ‘잠’과 같다고 여길 만합니다. 여러모로 보면 한자 ‘잠(潛)’하고 우리말 ‘잠’은 소리까지 같은 다른 말씨입니다. 물질이나 바다질을 하는 사람을 일컬어 ‘잠네’라고도 합니다. “잠기는 네(사람)”라는 얼개입니다. 《잠녀潛女 잠수潛嫂 해녀海女》를 읽고서 이내 덮었습니다. 바닷일을 하는 이웃을 찰칵 담으려는 뜻은 나쁘지 않지만, 굳이 멋스러이 찍으려고 너무 애썼구나 싶고, 바다빛과 잠빛을 미처 못 느낀 듯싶어요. 한 해쯤 슥 돌아보아도 얼마든지 찍을 수 있으나, 책을 좀 섣불리 내지 않았을까요? 나무 한 그루를 알려면 “다 큰 모습”만으로는 알 길이 없습니다. 씨앗 한 톨이나 꽃송이만으로도 알 길이 없어요. 나무 한 그루하고 두고두고 이웃이자 동무로 지낸 뒤에라야 “나무 마음을 조금 엿보았다”고 하겠지요. 바다순이인 잠네 삶에 가닿기보다는 스친 모습 몇 자락을 뭉뚱그린다면, “아직 빛꽃이 아닙”니다.


ㅅㄴㄹ


《잠녀潛女 잠수潛嫂 해녀海女》(이동춘, 걷는사람, 2020)


상군 해녀는 물질을 가장 잘하는 해녀로 부러움과 대우를 받기도 한다

→ 웃잠네는 물질을 가장 잘해서 부러워하고 모시기도 한다

→ 웃비바리는 물질을 가장 잘하여 부러워하고 우러르기도 한다

3쪽


본인의 고장에서만 작업하는 게 아니라

→ 제 고장에서만 일하지 않고

→ 텃고장에서만 일하지 않고

8쪽


배로 이동하기도 하지만 해수욕장에서 직접 해엄쳐서 물질하기도 한다

→ 배로 다니기도 하지만 바닷가에서 헤엄쳐서 물질하기도 한다

→ 바로 옮기기도 하지만 바다놀이터에서 헤엄쳐서 물질하기도 한다

33쪽


해녀들의 고충에 대한 담소를 나누는 모습

→ 고된 잠네살이를 이야기하는 모습

→ 고단한 자맥살림을 얘기하는 모습

71쪽


유해 어종인 불가사리는 매해 가을, 해녀들에 의해 수확된다

→ 불가사리는 궂어서 가을마다 바다순이가 거둔다

→ 불가사리는 사나워서 가을이면 잠네가 치운다

15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부나가의 셰프 34
카지카와 타쿠로 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2.

책으로 삶읽기 919


《노부나가의 셰프 34》

 카지카와 타쿠로

 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3.8.31.



《노부나가의 셰프 34》(카지카와 타쿠로/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3)을 읽으면서 이 줄거리는 언제쯤 끝내려는지 자꾸만 생각한다. 끝을 낼 때가 한참 지났으나 자꾸 늘린다. 도무지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서 쳇바퀴를 돌거나 뒷걸음을 치기 일쑤이다. 조그마한 실마리 하나로 수수께끼를 풀 수 있되, 자칫 자그마한 꼬투리 하나로 맴돌면서 헤맬 수 있다. 서른넉걸음까지 그릴 만한 줄거리였을까? 열다섯이나 스물쯤에서 맺는 얼거리를 짰다면, 이처럼 질리게 늘어뜨리면서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지 그린이 스스로 잊어버린” 모습이 아닐 테지.



‘이 시대의 사람들은 무사든 농민이든, 명예에 흠이 가는 걸 그 무엇보다 싫어하니까.’ (13쪽)


‘앞으로 노부나가가 뒤집어쓰게 될 불명예를 자신이 쓰기 위해, 단순히 노부나가를 죽이는 게 아니라, 정권을 빼앗으러 올 거다!’ (99쪽)


+


불안하면 묶어도 좋습니다

→ 두려우면 묶어도 됩니다

→ 걱정스러우면 묶으십시오

8쪽


오늘날의 청주의 원형인 모로하쿠는

→ 오늘날 맑은술 밑동인 모로하쿠는

→ 오늘날 맑술을 이루는 모로하쿠는

84쪽


이로써 청주 제작 기술이 일본 각지에 전파되었다

→ 맑술 빚기는 이렇게 일본 곳곳으로 퍼진다

→ 맑은술 담기는 이렇게 일본으로 두루 뻗는다

84쪽


일본 풍토에 맞는 보존식이에요

→ 일본 살림에 맞는 건사밥이에요

→ 일본 터전에 맞는 도시락이에요

108쪽


나리 주위에 모반의 움직임이 있다고 합니다

→ 나리 둘레에서 뒤엎으려고 움직인답니다

→ 나리 곁에서 들고일어나려고 한답니다

157쪽


무식하다 할 만큼 성실한 남자다

→ 깜깜하다 할 만큼 바른 사내다

→ 바보같다 할 만큼 반듯하다

15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옆에 은하 6 - S코믹스, 완결 S코믹스
아마가쿠레 기도 지음, 박소현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2.

책으로 삶읽기 920


《내 옆에 은하 6》

 아마가쿠레 기도

 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3.12.20.



《내 옆에 은하 6》(아마가쿠레 기도/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3)을 가만히 읽어 본다. 처음부터 부드럽게 이야기를 열면서 상냥하게 줄거리를 이끌었고, 마무리도 나긋나긋 토닥이면서 맺는구나 싶다. 아예 없지는 않을 테지만, 보기 드문 “착한 그림꽃”이다. 이런 이야기나 줄거리는 “그림꽃이니까 있지!” 하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참하고 착하게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은 우리 둘레에 많다. 다만, 참하고 착하게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를 글이나 그림으로 담는 글바치가 드물 뿐이다. 다치거나 아픈 사람도 많지만, 포근히 달래면서 따스하게 품는 사람도 많다. 우리는 어떤 글이나 그림이나 책을 살펴서 읽고 새길 적에 스스로 빛날 만할까? 다치거나 아픈 사람 이야기를 다룬 책을 챙겨서 읽기에 “안 빛날 까닭”이 없다. 어떤 사람 이야기를 다루든, “다루는 사람 붓끝”에 따라서 우리한테 스미는 숨결이 다르다. 참하거나 착한 사람 이야기라 하더라도 “사랑이 아닌 미움이라는 틀”로 보면서 그리면 갑갑하게 마련이다. 사랑이라면, 사랑으로 그려야 사랑 이야기이지 않겠는가. 사랑을, 사랑이 아닌 다른 무엇으로 그릴 수 있겠는가.


ㅅㄴㄹ


“사실 나는요, 지금이 제일 재미있어요.” (56쪽)


“난 항상 좀 자신감이 떨어지는구나. 하지만 부모가 될 거야. 같이 좋은 부모가 되자.” (152쪽)


“나이를 먹어도 이렇게 너와 산책하고 싶어.” (221쪽)


#おとなりに銀河 #雨?ギド


+


대여료만으로도 마음껏 시착해 볼 수 있어요

→ 빌림삯만으로도 마음껏 입어볼 수 있어요

18쪽


학원에 다니기 전에 탈고하고 싶으니, 이사 준비도 하면서 집필을

→ 배움뜰 다니기 앞서 마감하고 싶으니, 옮길 짐 꾸리면서 글쓰기를

73쪽


하지만 부모가 될 거야. 같이 좋은 부모가 되자

→ 그렇지만 어버이가 될래, 같이 어버이가 되자

→ 그러나 어버이를 할래, 같이 어버이 노릇 하자

15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8.


《월간 토마토 200》

 이용원 엮음, 월간토마토, 2024.3.



가벼이 여는 해날이다. 봄꽃이 피고 봄새가 노래하는 하루이다. 어떤 소리와 바람을 맞이하고 싶은 나날인지 돌아본다. 마음을 가락하고 소리에 얹어서 들려주기에 말이다. 마음을 담지 않을 적에는 외딴소리에 잔소리에 시끌소리로 기운다. 조금 더 빨리 갈 수 있다고 여기면서 부릉부릉 쇳덩이에 몸을 싣느라, 오히려 더 오래도록 부릉부릉 쇳덩이에 스스로 갇히면서 둘레를 잊고 등돌리지 싶다. 쉰 해쯤 살아오는 동안 여태껏 따로 ‘여행’을 안 다녔다. 책숲마실을 다니기는 해도 ‘여행’이 아니라, 이웃을 만나는 마실이었다. 사람들 스스로 새나 꽃을 찾아서 멀리 쇳덩이를 이끌고서 부릉부릉 달린다면, 이 나라는 자꾸자꾸 망가진다. 보금자리랑 마을에서 늘 새랑 꽃을 마주하고 나무를 돌볼 때라야 모두 살아난다. 《월간 토마토 200》을 손에 쥔다. 〈바이센테니얼 맨〉이라는 보임꽃이 2000년에 나온 적 있는데, ‘두온해(200년)’는 매우 뜻깊다. 사람으로서 철드는 나이는 ‘두온(200)’이지 싶다. 두온을 바라보고 천천히 느긋이 걸을 적에 사람으로서 사랑을 찾으면서 철이 드는 어진 사람으로 일어선다고 본다. 별바라기 밤을 맞이한다. 나는 우리 집 마당에서 별을 본다. ‘천문대’ 아닌 마당에서 별을 볼 때라야 삶이 아름답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7.


《여성운동역사만화 4 반성착취운동사》

 덕분 글·그림, 열다북스, 2022.5.6.



해가 나온다. 낮에 고깃국을 끓인다. 어릴 적 어머니가 으레 끓였다. 나는 시거나 김치나 찬국수나 웬만한 밥은 속에서 안 받아 모조리 게웠다. 곰국은 용케 받았다. 무가 맑게 녹을 만큼 뭉근히 끓이는 무국(고깃국)을 어릴 적부터 어머니 곁에서 심부름을 하며 익혔다. “넌 못 먹는 밥이 많으니, 네가 먹을 수 있는 국은 네가 끓여야지? 그래야 앞으로 네 색시가 안 애먹지.” 하는 말을 여덟 살 무렵부터 들었다. 막바지 글손질이다. 이제 열흘 넘게 붙잡는구나. 낱말 하나에 토씨 하나까지 추스르고 손보면서 낱말꾸러미를 여미자니 오래 걸린다. 오늘 밤은 별이 조금 밝다. 밤이 밤답다. 이제는 별자리를 내 나름대로 그린다. 시골살이 별바라기도 열네 해째이니까. 《여성운동역사만화 4 반성착취운동사》를 읽고서 한숨이 나왔다. 너무 성기게, 섣불리, 서둘러, 이런저런 다른 책과 글을 밑동으로 삼아서 엮느라 바빴구나 싶다. ‘성착취’는 “그짝 당” 놈들만 하지 않았다. “이짝 당 저짝 당”이 똑같고 “녹색당과 정의당과 운동권”도 나란하다. “사내가 우글거리는 곳”이 아닌 “힘꾼·돈꾼·이름꾼이 으스대는 곳”에서 어김없이 주먹질과 엉큼질과 노닥질이 춤춘다. 뿌리를 캐야 새나무를 심을 텐데, 뿌리를 안 건드리면 어떡하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