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말을 한국말로 번역하기> 원고를

어젯밤에 드디어 끝내고 
출판사로 보냈다.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서 읽은 책에
'가족'이라는 한자말이 나온다.

이런, 이 한자말은 이 원고에 안 넣었잖아?
어떻게 할까 한참 망설인다.

망설인 끝에 글을 더 써서 넣기로 한다.
그런데, 아침을 차리려고 부엌을 오가면서
살짝 들춘 책에 또 '가족'이라는 한자말이 나온다.

잇달아 글 몇 꼭지를 부랴부랴 보탠다.
히유 하고 숨을 돌린다.
이제 더 안 나타나겠지?

앞으로 더 나타날 얄궂고 알량한 말은
다음에 내놓을 책에 담기로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년 봄에 얼결에 알라딘서재에 첫 글을 올린 뒤

2008년을 지나 2009년 즈음부터 바지런히 글을 올렸지 싶다.


2014년 여름에 알라딘서재 '서재지수 1000245점'이 된다.

처음 글 몇 가지를 올릴 적에는

'서재지수 1만 점'이 까마득하구나 싶었고,

1만 점을 지날 적에는 '10만 점'이 까마득하구나 싶었는데,

10만 점을 지나면서 '100만 점'은 아득하구나 싶더니,

이제 100만 점을 지나며

무엇을 생각할 수 있을까.


하나에서 열이고, 열에서 온이니, 온에서 즈믄을 생각하면 될까.

알라딘저새 1000만 점은 언제쯤 닿을 수 있을까

가만히 내다본다.


못 이룰 만하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어제까지!


오늘 아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스24 파워문화블로그


  싸이월드가 한창 뜰 적에 미니홈피라는 것을 굳이 만들거나 챙기지 않았다. 네이버나 다음에 블로그가 생길 때에 블로그를 애써 만들거나 챙기지 않았다. 나는 ‘모임’을 좋아하기에, 모임을 인터넷에 열어 게시판을 차곡차곡 나누어 바지런히 글을 올리기를 좋아했다. 도메인을 사서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면 훨씬 수월할 텐데, 인터넷 도구 만지기에 마음을 쓰지 않겠노라 여기며 프리챌과 싸이월드와 네이버 카페 기능에 홈페이지를 빌어서 썼다. 2006년 가을이 되어서야 비로소 네이버 블로그하고 알라딘 서재를 썼다. 사람들이 흔히 드나드는 곳에 방을 마련하는 일이 괜찮겠다 여겼다. 오마이뉴스에 3000건이 넘는 기사를 썼지만, 정치와 경제로 돈벌이를 하는 매체에 글을 주는 일은 아무래도 아름답지 못하다고 여겨 그만두기로 했다. 이때가 2010년 겨울이다. 그런데 알라딘 서재도 서재를 지키는 사람들 마음을 알라딘 관리자가 알뜰히 헤아리지 못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인터넷책방 가운데 한 곳에만 글을 써서는 안 되겠다고 느꼈다. 2012년 여름이었다. 그래서 이때부터 예스24 블로그에도 글을 함께 쓰기로 했다.

  똑같은 글을 네 군데에 올리기란 만만하지 않다. 그렇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이녁이 자주 드나드는 곳이 아니라면 굳이 찾아가지 않는다. 내가 내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지 않은 탓에, 내 글을 읽는 분한테 익숙하다 싶은 곳에 스스로 찾아가서 글을 올리는 틀이 되었다.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이기에 카톡이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하지 않는다. 아이들과 시골에서 지내며 살림을 도맡는 터라, 그런 곳을 들여다볼 틈이 1초조차 없기도 하지만, 글을 쓰고 사진을 찍는 사람으로서 그런 곳까지 건사할 수 없다고 느낀다. 아무튼, 인터넷책방 알라딘과 예스24 두 군데에 글을 나란히 올리면서 여러모로 재미있는 모습을 보곤 한다. 이 가운데 하나는, 예스24에서 2014년 8월부터 나를 ‘파워문화블로그’로 뽑아 주었다. 나는 ‘문화’를 그리 달가이 여기지는 않으나, ‘문화블로그’라는 이름은 어쩐지 예쁘다고 느낀다. 앞에 붙은 ‘파워’라는 이름은 그야말로 창피하지.

  글을 쓰고 싶으니 글을 쓸 뿐이다. 네이버이든 알라딘이든 예스24이든 대수로울 것이란 하나도 없다. 자리를 마련해 주는 데가 있으니, 나로서는 멍석을 들고 내 자리를 살펴서 차곡차곡 글을 여미어 내놓는다.

  그나저나 예스24에서 파워문화블로그로 있으려면 ‘페이스북 글보내기’도 해야 한다고 하네. 얼결에 페이스북 계정을 꾸린다. 다만, 계정을 만들어도 ‘글보내기’만 할 뿐, 그곳을 들어갈 일은 없겠지. 더운 칠월이 저문다. 4347.7.3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서재에서

리뷰와 페이퍼 사이가

오락가락하는 

오류가 생긴 지

꽤 되었다.


그런데 아직까지 하나도 안 바뀐다.

왜 안 바뀔까?



'사진책' 리뷰 게시판에

'페이퍼'로 글이 올라가는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도 

조금 앞서 있었다.


리뷰 쓰기와

페이퍼 쓰기를

부디

하루 빨리 바로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재지기 2014-07-29 15:40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함께살기님.
서재 내 글쓰기와 관련해서 변경된 사항을 안내 드리고자 짧게 댓글을 남깁니다.
지난 5월 19일에 글 작성할 때 마이리뷰/마이페이퍼와 무관하게 모든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게 변경되어 마이리뷰와 마이페이퍼를 같은 카테고리에 저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서재 글쓰기의 일부분이 변경된 사항이 있으니 공지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지 보러가기)
 

사진액자 값 만만하지 않네



  다가오는 8월에, 서울 합정동에 있는 ‘국민티비 카페’에서 사진잔치를 열기로 했다. 국민티비를 돕는 어느 분이 30만 원을 ‘사진 인화비’로 보태어 주어 이럭저럭 사진을 뽑는데, 대형사진 석 장을 뽑자니, 30만 원에서 많이 모자란다. 대형사진을 그곳에 걸 크기만 하게 뽑으려니, 적어도 한 장에 7만 원부터 드는데, 석 장을 액자로 만들면 21만 원이 된다. 그나마 7만 원짜리 액자(520×740)도, 사진을 걸 자리를 헤아리면 좀 작아 보이지 싶다. 한쪽 길이가 1미터는 되어야 하는 사진을 만들어야 할 테지만, 이렇게 만들자면 사진 한 장에 15만 원이 든단다.


  시골에서는 액자집이건 사진관이건 찾아갈 수 없어 인터넷으로만 알아보는데 머리가 살짝 아프다. 잘 되겠지 하고 믿는다. 작은 크기로 뽑는 사진하고, 작은 크기 사진에 댈 나무판하고, 이밖에 여러 가지로 만들어야 할 것을 따지니, 모두 50만 원 남짓 들 듯하다. 사진잔치를 하면서 서울을 오가려면 찻삯이 들 텐데, 사진잔치를 알리는 엽서는 아예 엄두를 못 내겠구나 싶다. 사진잔치를 한 번 열면서 드는 돈이 여러모로 꽤 된다. 사진잔치를 열자면, 사진을 잘 팔아서 돈을 벌 생각까지 해야 하는가 보다 하고 새삼스레 생각한다.


  이번까지는 사진값을 벌자고 생각해 보자. 다음부터는 사진잔치를 열며 내거는 사진을 언제나처럼 모두 기부한다는 마음으로 홀가분하게 할 수 있기를 빌자. 4347.7.15.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