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0.9. 한글날 한글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해마다 돌아오는 한글날이지만, ‘한글’이란 이름을 지은 사람이 ‘주시경’인 줄 몰라보거나 잊어버리는 사람이 부쩍 늡니다. 10월 9일은 ‘훈민정음날’이 아닌 ‘한글날’입니다. 세종 임금하고 나란히 주시경 님을 기리고 헤아리고 떠올릴 노릇이지만, 우리는 가면 갈수록 “왜 훈민정음을 한글이란 이름으로 바꾸어서 모든 사람이 스스럼없이 즐겁게 말을 글로 담는 길을 틔우려 했는가?” 같은 대목을 모르거나 놓치거나 안 쳐다보고 맙니다.


  지난 2011년부터 전남 고흥에서 살아옵니다만, 숲노래 책숲에서 모임은 드물게 열었어요. 그동안 ‘고흥 화력발전소 반대운동’이라든지 ‘고흥 폐기물처리장 반대운동’이라든지 ‘고흥 군사드론시험장 반대운동’에 늘 앞장서노라니, 숲노래 책숲으로 나들이를 하는 ‘고흥사람’은 고흥군청·고흥교육청에 밉눈(블랙리스트)으로 이름이 오르더군요. 그래서 고흥에서 살아가는 이웃님이 저희 책숲에 오시겠다고 하면 되도록 손사래를 치고서 고흥읍에서 만났습니다. 고흥 아닌 서울이나 인천이나 부산처럼 멀리서 오는 손님만 받았습니다.


  유인촌이라는 분이 새로 문화부장관이란 자리를 맡으면서 밉눈(블랙리스트) 이야기가 새삼스레 불거지는데, 그곳에만 밉눈이 있을까요? ‘지자체 밉눈’을 다룬 글(신문기사·언론보도)은 아직 못 봤습니다. 바다살림으로 어마어마하게 돈을 버는 시골이 고흥인데, 핵발전소·화력발전소·폐기물처리장·군사드론시험장에다가 ‘나로도 우주발사기지’는 바다살림을 송두리째 망가뜨리는 끔찍한 짓입니다.


  고흥 나로섬에서 ‘미사일(우주발사체)’을 쏘면, 떨림(진동·소음)으로 갯살림이 떼죽음입니다. ‘우주발사체를 쏠 적마다 고흥 갯살림이 떼죽음’이라는 이야기는 2011년부터 2023년까지 글(신문기사·언론보도)로 딱 하나만 보았어요. 이마저도 어느 날 ‘찾기(포털 검색)’에서 사라지더군요.


  밉눈이든 꽃눈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느 누구도 미워하거나 좋아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밉눈을 뜬다면, 남이 아닌 나를 갉다가 죽이고 말아요. 우리가 꽃눈을 뜰 적에는, 남이 아닌 나를 살찌우지만, ‘화이트리스트’를 움켜쥘 적에는 바보눈에 사로잡혀서 그만 수렁에 잠겨요.


  우리는 왜 한글날을 맞이할까요? 하루만 말글을 돌아보아서 우리말하고 우리글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적어도 ‘한글달’이란 이름으로 달포쯤 말글을 살필 일이 아닌가요? 또는 ‘한글해’란 이름으로 한 해 내내 말글을 살피고 살찌우고 살리면서 생각을 틔울 노릇일 텐데요?


  우리나라가 바뀌려면 우두머리만 갈아치워서는 안 됩니다. 벼베개(콤바인)를 쓰지 말고, 낫으로 벼베기를 할 일입니다. 시골사람도 서울사람도 한가을에 논으로 두레를 오기를 바라요. 낫으로 논에서 벼를 베면서 들노래를 부르고, 새참을 누리면서 아이들이 맨발로 나무타기를 하면서 실컷 놀 수 있기를 바라요. 10월 한가을에는 서울도 시골도 ‘한글달’이라는 이름으로 논살림하고 말살림을 북돋우는 나날을 누리기를 바라요. 이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는 저절로 한나라(남북통일)를 이룰 테고, 어느새 아름나라(선진국)로 피어나겠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0.2. 집이라는 곳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9월 29일 새벽에 고흥에서 택시로 순천까지 달렸습니다. 순천 기차나루에서 이른아침에 기차를 타고서 서울에 닿았고, 바로 전철로 갈아타서 일산병원 주검터(장례식장)에 닿았습니다. 이틀밤을 보내고서 10월 1일 새벽에 불묻이(화장)로 뼛가루를 모으고서, 바로 경남 거창으로 달렸어요. 떠난 가시아버지(장인)를 거창 멧골마을 소나무 곁에 나무묻이(수목장)를 했습니다. 이렇게 사흘을 보낸 작은아이하고 남원에서 기차를 타고서 순천으로 왔고, 순천에서 고흥으로 시외버스를 탔고, 마지막으로 고흥읍에서 20시 마지막 시골버스를 타고서 집으로 돌아왔어요.


  몸을 내려놓은 가시아버지는 ‘몸을 벗은 넋’으로 홀가분하게 이곳저곳 돌아다니시더군요. 주검터에도 곧잘 찾아와서 사람들이 뭘 하는지 머리맡에서 지켜보시더군요. 처음에는 “이야, 사람들이 나를 생각하며 저렇게 노래(연도煉禱)를 해주는구나! 고마워라!” 하셨는데, 이 노래가 두벌 석벌 넉벌 이어가자 “아이고, 지겨워. 왜 또 하고 자꾸 해? 가만 보니 저거 헛것 아냐? 겉치레이네?” 하시더군요. 넋으로 우리를 지켜보는 가시아버지한테 “장인어른, 이제 아셨습니까? 몸을 벗고 나서야 겉과 속이 무엇인지 알아보시겠습니까? 몸을 입고 살아가던 무렵에도 겉껍데기가 아닌 속알맹이를 볼 수 있는 틈은 잔뜩 있었어요. 그래도 장인어른이 이제라도 헛것과 겉치레를 알아볼 수 있다면, 반가운 일입니다.” 하고 속삭였습니다.


  말이란, 마음을 담은 소리입니다. 마음이란, 삶을 스스로 이루고 일구는 동안 지은 이야기입니다. ‘마음 = 삶이야기’요, ‘말 = 마음소리 = 삶이야기를 들려주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글 = 마음소리를 눈으로 알아보도록 담은 그림 = 삶이야기를 눈으로 읽도록 담아낸 그림’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눈뜨려는 숨결이라면, 말글이 무엇인지 제대로 헤아리고 익히고 받아들이면서 살아가게 마련입니다. 겉치레나 헛것이나 껍데기란, 사람한테서 사람다움을 빼앗는 굴레이자 수렁이에요.


  몸을 벗은 분을 고요히 기리려 한다면, 땅밑에 사람들을 욱여넣지 않습니다. 떠남터(장례식장)를 별빛하늘이 드리우는 곳에 가만히 마련해서, 가을날 풀벌레노래를 들으면서 차분하게 달래고 다독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넋은 온누리(우주)에서 왔고, 우리 몸은 푸른별(지구)에서 왔습니다. 온누리하고 푸른별을 하나로 누리고 느끼는 두 길이, 태어남하고 떠남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9.28. 가시아버지 떠나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가시아버지가 오늘 낮에 몸을 내려놓았습니다. 아침에 고흥 도양읍 마을책집 〈더바구니〉로 책꾸러미를 챙겨 가서 노래꽃(시)을 천에 열두 자락 옮겨적고서, 고흥으로 시외버스를 타고 나와서, 북적이는 한가위 시골에서 저잣마실을 한 뒤에, 시골버스로 집으로 돌아왔어요. 한참 볕바라기를 하며 걸었는데, 가시아버지 얘기를 듣고서 부랴부랴 길(교통편)을 살폈습니다. 이튿날이 한가위라, 용케 순천에서 용산으로 가는 이른아침 칙폭(기차)이 몇 자리 있습니다. 단골 택시 기사님한테 말씀을 여쭈어, 새벽바람으로 택시를 달려 순천으로 가기로 합니다.


  가시아버지는 내내 앓았습니다. 여든네 해를 앓았습니다. ‘끔찍한 좀(병)’을 앓지는 않았습니다. 스스로 사랑하는 길하고 먼 ‘불앓이(화병)’를 했어요. 이래도 불앓이에, 저래도 불앓이였습니다. 처음 가시아버지를 만나던 날, 바로 이 불앓이가 가시아버지 몸마음을 불태울 텐데 싶었으나, 그무렵 가시아버지는 ‘아직 웬만해서는 팔씨름도 안 진다’고 여기는 웃사내 같은 마음마저 짙었습니다.


  앓기에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앓는 사람은 스스로 허물을 벗으려 할 적에 모든 앙금을 녹이면서 나비로 거듭납니다. ‘앓’기에 ‘알’ 수 있어요. 앓지 않는 사람은 알지 않습니다. ‘아프’기만 하는 사람은 알아가지 않더군요. 아픔이 아닌 앓이를 품으면서 모든 미움에 생채기에 멍울에 고름에 부스러기에 시샘에 짜증을 녹여내어야, 사랑을 알아가는 길에 섭니다.


  몸을 벗은 가시아버지는 경기 일산에서 문득 전남 고흥으로 찾아왔습니다. 몸을 벗으면 바로가기(순간이동)를 하게 마련이거든요. 그러나 몸을 벗지 않아도 바로가기를 합니다. 우리는 늘 마음으로 바로가기를 합니다. 마음으로 먼저 만나고, 마음으로 먼저 이야기합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글읽기(문해력)’를 왜 못 하겠습니까? 마음을 안 틔우고, 마음을 안 가꾸고, 마음에 사랑씨앗을 안 심는 탓입니다. 책을 많이 읽거나 책을 꽤 썼기에 글읽기를 해내지 않아요. 마음이 없는 이는 제아무리 콧대 높은 글바치(지식인)라 하더라도 골(뇌)이 썩어문드러집니다.


  돈이 많기에 잘난 듯 여기는 이가 많아요. 이름을 드날리기에 자랑하는 이가 많아요. 힘이 세기에 우쭐대는 이가 많아요. 뭐, 그러라지요. 사랑이 없는 채, 숲을 안 품는 채, 아이 곁에 없는 채,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쥔들, 스스로 삶이 기쁠 턱이 없습니다.


  책숲종이(도서관 소식지)인 〈책숲 1006〉을 아직 매듭을 안 지었는데, 몸을 벗은 가시아버지 이야기를 더 담아야 하기 때문이었나 하고 돌아봅니다. 생각씨앗을 사랑으로 심으려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삶입니다. 이오덕 어른이 밝힌 ‘삶을 가꾸는 글쓰기’는 ‘그저 삶만 옮기면 되는 글쓰기’가 아닙니다. ‘사랑으로 숲을 품으면서 아이 곁에서 삶을 배우는 동안 저절로 펴는 빛나는 글쓰기’일 적에 ‘삶글쓰기’입니다. 서울에서 살더라도 글을 쓸 수 있습니다만, 서울 잿집(아파트)에서 살더라도 글을 못 쓸 까닭은 없습니다만, 골목빛을 등지거나 골목풀꽃을 사랑하지 않는 서울내기(도시인·시민)는 겉글이나 꾸밈글에서 안 헤어나더군요. 다시 말해서, 시골에서 살더라도 풀꽃나무랑 마음을 틔워 수다를 떨지 않는 이들은 겉치레에 갇힌 글쓰기를 만들려고 용을 씁니다.


  아이를 낳으려면, 글을 쓰려면, 책을 읽으려면, 스스로 사랑하려면, 부디 서울(도시)을 떠나십시오. 숲을 품으십시오. 어쩔 길이 없어서 서울에 남아야 한다면, 부디 잿집과 부릉이를 버리십시오. 골목집에 조용히 깃들어 해바람비를 품으십시오. 그러면 그대는 언제나 하늘빛 마음으로 하루를 사랑으로 짓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9.19. 길 1∼5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길’은 적어도 다섯 갈래로 나누어서 씁니다. 다만, 이 대목을 눈여겨보거나 들여다보는 분은 매우 적어요. 여러 해째 《손질말 꾸러미》를 추스르는데, ‘길’을 ‘길 1∼5’로 갈라 놓지 않은 줄 뒤늦게 알아차렸습니다. 하나하나 고치는 품이 꽤 들지만, 하나하나 고치면서 말빛을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길 1’이든 ‘길 2’이든 ‘길 3’이든 쓰임새가 넓습니다. 숱한 삶자리를 ‘길’로 그리는 말살림이요 말길이에요.


  우리나라에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날마다 들추면서 스스로 말빛을 다독이는 분은 그리 안 많습니다만, 그래도 제법 있어요. 우리는 국립국어원이나 네이버·다음에서 손쉽게 낱말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만, 세 곳에 뜨는 말풀이는 하나부터 열까지 엉터리에 엉망진창입니다. 그리고 이 엉터리에 엉망진창을 거의 못 고치거나 안 고칩니다. 손을 못 대지요.


  모든 낱말을 담으려고 하면 어그러집니다. 낱말 하나를 담더라도 제대로 담으려고 마음을 기울일 적에 비로소 차근차근 알차면서 푸진 길을 갈 수 있어요. 비록 ‘사전다운 사전이 없다’고 하더라도 아쉬워 말고, ‘스스로 뜻풀이를 하면서 스스로 사진 엮기’를 하면 됩니다.


  모든 글(시·소설·수필)은 ‘낱말(이름·제목)’ 하나를 놓고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얼거리입니다. ‘길’을 찾아가려고 하루를 ‘그리’면서 담아내는 ‘글’입니다. 그래서 꾸밈결(수사법)은 덧없어요. 터럭만큼이라도 꾸미려 하면 글이 아닌 허울입니다. 티끌만큼도 꾸밀 까닭이 없이 우리 삶을 스스로 담으면 어느새 활짝 피어날 글입니다. 삶길이 글길이고, 살림길이 말길입니다. 숲길이 사랑길이고, 사람길이 새길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9.11. 숲을 품은 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2014년에 선보인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통째로 고쳐썼습니다. 이레쯤 앞서 새판으로 나왔습니다. 앙증맞게 새로 나온 책을 품고 쓰다듬고서 두 아이한테 건네었습니다. 열여섯 살 큰아이는 ‘예전에는 아버지 책에 나오는 이야기를 못 알아들었’지만, ‘이제는 어떤 이야기인지 알겠다’고 말합니다. 시골뿐 아니라 서울에서 살아가는 이웃 어린이하고 푸름이도 천천히 읽고 새기면서 삶을 사랑으로 짓는 말씨앗 한 톨을 품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문단권력·미술권력’이 얽힌 슬픈 실타래를 보다가 ‘담’이라는 우리말과 ‘울’이라는 우리말을 다시 헤아리면서 ‘글담’이라는 낱말을 새삼스레 엮고 풀이를 해보았습니다. 이미 ‘글담’이란 이름인 펴냄터가 있는데, 그곳은 ‘글담 1 뜻'’이었겠지요. 우리 곁님(배우자)이 쓰는 이름이 ‘라온눈’입니다. 이 이름을 곁님만 써도 좋을 테지만, 문득 ‘말밑으로 풀어내어’ 두면, 여러 이웃님도 우리말을 한결 새롭고 깊고 넓게 바라보며 스스로 이름을 짓는 실마리를 얻을 만하지 싶다고 느껴, ‘라 + 온 + 눈’이라는 낱말 이야기를 적어 보았습니다. 다만, 이 글자락은 다음달 10월에 《월간 토마토》에 싣습니다.


  ‘물폭탄’이 아닌 그저 ‘함박비’일 텐데, 함께 하늘처럼 하나로 해처럼 하얗게 피어나는 마음을 담는 ‘함박구름’ 같은 이름을 혀에 얹으면서, 미움이 아닌 사랑이라는 평화를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면서, 낱말 이야기를 여미어 보았습니다. 오늘 하루도 온갖 글을 매만지고 새로 쓰고 추슬렀는데, 막상 누리집에 올린 글은 몇 조각 없습니다. 뭐,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가다듬고 새기면서 한 발짝 나아갈 뿐입니다. 오늘도 제비떼를 마을에서 만났어요. 어제 바로 떠날 줄 알았더니 이틀 더 묵는군요. 이튿날은 떠나려나 궁금합니다. 낮에 두바퀴를 달려 면사무소에 다녀오노라니 바람결이 확 바뀌었더군요. 그야말로 제비가 바람을 타고서 바다를 가를 때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