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생활 - 부지런히 나를 키우는
임진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11.

읽었습니다 278



  이제는 옛날이 아니라서 누구나 글을 읽고 쓴다. 다들 참 쉽게 잊는데, 조선 500해에는 나리(양반) 아닌 이가 어깨너머로라도 글을 훔쳐보면 볼기를 얻어맞거나 목숨을 잃었다. 나라님이 훈민정음을 내놓았어도 거의 모든 사람들은 글을 볼 일도, 붓을 쥘 겨를도 아예 없었다. 《읽는 생활》은 누구나 읽고 쓸 수 있는 오늘날 나온 책인데, 어쩐지 읽을수록 담벼락에 갇힌 듯하다. ‘삶(생활)’을 드러내기보다는 ‘이렇게 산다’고 꾸미거나 보태거나 치레하려는 글이 자꾸 흐른다. 굳이 글을 쓰거나 읽어야 할까? 삶이 있고서야 글이 저절로 나와야 하지 않을까? 삶부터 일구면서 피우는 하루가 아닌, 아무튼 글을 읽거나 쓰려고 달려들면, 이 책처럼 어영부영 치레잔치에서 머물 듯싶다. 스스로 하루를 사랑하면서 천천히 걸어가는 마음이라면, 하늘도 읽고 땅도 읽고 마을도 읽고, 무엇보다도 우리 속빛을 읽는다. 읽지 않고 억지로 붓을 쥐면, 되레 넋을 잃고 빛을 잊고 무늬로만 글을 쏟아낸다.


《읽는 생활》(임진아, 위즈덤하우스, 2022.10.26.)


+


별달리 할 일이 없어서 옆 동네에 사는

→ 달리 할 일이 없어서 옆마을에 사는

13


할 일이 없어도 일단 만나는 게 우리였다

→ 우리는 할 일이 없어도 만났다

13


속독 교실에서의 내 존재는 당연히 불청객에 가까웠다

→ 나는 빠른읽기 모둠에서 불쑥손님이었다

→ 빨리읽기 모둠에서는 나를 껄끄러이 여겼다

15


빈자리에 앉아서 실시간으로 속독의 행위를 관찰하는 사람이 되었다

→ 빈자리에 앉아서 빨리읽기를 바로바로 지켜보았다

→ 빈자리에 앉아서 빠른읽기를 곧장 바라보았다

15


책의 내용을 나누는 시간이 되었다

→ 줄거리를 나누는 때이다

→ 이야기를 나누는 때이다

15


카레를 끓이면서 하는 독서는 나를 번번이 일어나게 만든다

→ 카레를 끓이면서 읽으면 자주 일어나야 한다

→ 카레를 끓이면서 읽자면 자꾸 일어나야 한다

17


조금 일찍 경험하게 된 아름다움이었을까

→ 조금 일찍 아름다움을 맛봤을까

→ 조금 일찍 아름다움을 보았을까

21


오늘의 좋은 점을 찾으려는 태도가 무의식에 자리잡았는지 모르겠다

→ 오늘 좋았던 일을 나도 모르게 찾는 버릇이 생겼는지 모르겠다

29


사전적인 의미가

→ 뜻풀이가

→ 말풀이가

→ 말뜻이

29


그저 비슷한 날들이 이어졌다면 나는 몇 번의 여행을, 공연을 만났을까

→ 그저 비슷한 날이 이었다면 얼마나 마실을 하고 마당놀이를 만났을까

→ 그저 비슷한 날이었다면 얼마나 나들이하고 놀거리를 만났을까

3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하다
이연주 지음, 김미옥 해설 / 포르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9.

읽었습니다 243



  언제부터인가 ‘검찰공화국’ 같은 말이 퍼집니다만, 썩 옳지 않은 말이라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democracy’라는 영어는 ‘민중 + 권력’을 뜻하는데, 이 나라는 ‘힘덩이’일 뿐이거든요. 힘(권력)을 틀어쥔 놈들이 힘을 부릴 뿐이니, 그놈이 검찰이면 검찰이고, 재벌이면 재벌이고, 문단권력이면 문단권력이요, 웃사내라면 웃사내이고, 서울대 교수라면 서울대 교수이고, 군수나 웃대가리라면 군수나 웃대가리입니다.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는 이 나라 살핌이(검찰)가 어떻게 구린내가 풀풀 나는지 여러모로 들려주는데, 시골 군수나 농협이나 구청장이나 군의원·구의원도 나란히 고린내가 폴폴 납니다. 대학교수뿐 아니라 적잖은 교감·교장도 얄궂지요. 잘 보아야 합니다. 힘(권력)을 거머쥔 놈들은 이름도 돈도 움켜쥐려고 합니다. 이들은 끼리끼리 담벼락을 쌓으면서 힘·돈·이름을 부둥켜안고서 낄낄댑니다. 사랑도 삶도 살림도 숲도 없는 이들은 온나라 어디에나 똑같이 있어요.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이연주, 포르체, 2020.12.2.)


상명하복을 거부하는 순간 여러 이유로 보복 조치를 당하는데

→ 웃질을 거스르면 여러 가지로 돌려받는데

→ 시킴질을 안 하면 여러모로 받아치는데

20쪽


스폰받은 자랑에 ‘그거 뇌물죄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상대의 얼굴을 눈치챘는지

→ 돈줄 자랑에 ‘검은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저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 뒷배 자랑에 ‘뒷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그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22쪽


자신들의 전리품을 위해서 움직일 뿐이다

→ 저희 모가치 때문에 움직일 뿐이다

→ 저희가 받으려고 움직일 뿐이다

36쪽


부당한 인사 청탁을 하고 그 보은이 전관예우로 이어지는 것이

→ 자리를 고약하게 바라고 빚처럼 받들어 주니

→ 자리를 옳지 않게 묻고 모심질로 돌려받으니

10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스텍 -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세계 10대 문명 5
다비데 도메니치 지음, 김원옥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7.

읽었습니다 275



  내가 누구인지 알려면 오롯이 ‘나’라는 눈길일 노릇입니다. 네가 누구인지 알려면 ‘너를 보는 나’가 아닌 옹글게 ‘너로 있는 너’라는 눈빛으로 볼 노릇입니다. 서울을 알려면 ‘시골에서 보는 서울’이나 ‘서울곁에서 보는 서울’이 아닌 ‘서울에서 살아가는 서울’이어야겠지요. ‘아스텍’을 알려면 어떤 눈이어야 할까요? ‘서양 문명으로 보는 아스텍’도 ‘동양 사상으로 보는 아스텍’도 아니라, ‘멧숲바다를 품은 아스텍 사람들’이라는 눈일 노릇입니다.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 아스텍》을 장만해서 읽었습니다. 2007년에는 읽을 마음이 없었습니다. 그즈음 ‘생각의나무’는 이런 책을 마구 찍어내어 ‘잘난책 밀어주기(베스트셀러 조작)’를 일삼았고, 몇 달 뒤에는 온나라 헌책집에 ‘떨이(재고품)’가 쏟아졌어요. 아스텍도 옛살림도 오늘빛도 아닌 돈에 눈이 먼 책팔이였으니 후줄근하거나 추레한 짓을 일삼았겠지요. 하늬녘(서양) 사람도 매한가지입니다.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 아스텍》(다비데 도메니치/김원옥 옮김, 생각의나무, 2007.12.20.)


#TheAztecs #HistoryAndTreasuresOfAnAncientCivilizatio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켈트 -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세계 10대 문명 9
다니엘 비탈리 지음, 김원옥 옮김 / 생각의나무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7.

읽었습니다 274



  우리는 이 별에서 한삶만 누리지 않습니다. 한삶을 지낸 몸을 내려놓고서 다른 한삶으로 나아갑니다. 으레 즈믄해를 살아내는 나무가 흙으로 돌아갈 무렵이면, 어디에선가 즈믄나무 숨결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어린나무가 싹이 트면서 무럭무럭 올라옵니다. 그동안 나무씨앗이 숱하게 떨어져 곳곳에서 다른 나무로 퍼졌을 텐데, ‘씨앗을 뿌린 큰나무’라는 넋은 가깝거나 먼 터전에서 새롭게 자라요.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 켈트》를 돌아봅니다. ‘켈트·셀틱’를 헤아리는 길은 그리 힘들지 않을 텐데, ‘문명’이나 ‘역사·보물’이라는 테두리로만 바라보려고 하니, 속내를 거의 못 짚는다고 느낍니다. ‘켈트·셀틱’은 ‘바다를 품은 숲살림’이 바탕입니다. 바다하고 숲을 하나로 여민 빛줄기를 살림살이로 풀어낸 겨레가 ‘켈트·셀틱’이라 여길 만해요. 숱한 ‘역사·보물’이 태어난 삶터를 안 들여다본다면, 임금붙이 발자취에서만 맴돈다면, 수수께끼는 늘 수수께끼일 뿐입니다.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 켈트》(다니엘 비탈리/김원옥 옮김, 생각의나무, 2008.2.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로드 모네 베이식 아트 2.0
크리스토프 하인리히 지음, 김주원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7.

읽었습니다 273



  붓을 쥔 사람은 붓으로 온누리를 그립니다. 붓끝에는 스스로 보고 듣고 겪고 느끼면서 헤아린 오늘 하루가 묻어납니다. 호미를 쥔 사람은 호미로 둘레를 가꿉니다. 호미질을 하는 밭자락에는 스스로 움직이고 일하고 땀흘리다가 쉬면서 돌아보는 오늘 살림이 스밉니다. 《클로드 모네》를 찬찬히 읽으면서 ‘모네 그림빛’을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들판에서 들바람을 쐬고 햇볕을 받아들이면서 새긴 빛살을 종이에 얹은 하루였다지요. 붓살림을 짊어지고서 서울(도시) 바깥으로 나가야 들빛을 볼 수 있었다는데, 아예 시골이나 들판에서 들살림을 하는 하루였다면 이녁 그림빛은 얼마나 더 거듭나거나 바뀌었을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지난날에도 오늘날에도 글바치나 그림바치는 좀처럼 시골에서 안 삽니다. 이따금 시골이나 들판으로 나들이를 가는데, ‘늘 들숲바다를 품는 매무새’라면, 시골 이웃한테도 서울 이웃한테도 훨씬 이바지하는 그림밭을 일구었으리라 봅니다.


《클로드 모네》(크리스토프 하인리히/김혜신 옮김, 마로니에북스, 2005.6.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