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코이코 짱 12
나나지 나가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23.

읽었습니다 305



  둘레에서 흔하게 본다고 여겨 한자말로 ‘평범’이라 하고, 까다로운 곳이 없다고 여겨 ‘평이’라 하고, 누구나 고르게 어울린다고 여겨 ‘평화’라 하지만, 막상 ‘평(平)’이라는 한자를 왜 써야 하는지 헤아리는 사람은 드뭅니다. 우리말로 하면 ‘고르다·고루’입니다. 고르기에 반반하고, 반반하니 부드럽고, 부드러우니 모난 데가 없이 수월하며, 수월하기에 수수하면서 흔하고 너릅니다. 《평범한 코이코 짱 12》을 읽으면서 심심하다 못해 따분했습니다. 짝을 맺고 몸을 섞어야 사랑이라 일컫지 않습니다. 짝을 맺으면 ‘짝맺기’이고, 몸을 섞으면 ‘몸섞음’입니다. 사랑은 그저 ‘사랑’입니다. 흔하게 쓴다고 여기는 자그마한 낱말 하나부터 다시 바라볼 줄 알아야지 싶어요. 쉽게 듣고 어디서나 주고받는 삶말 하나부터 곰곰이 짚어야지 싶습니다. 여느 말씨 하나부터 모든 하루를 엽니다. 수수한 빛은 숲으로 가지만, 뻔한 몸짓은 똑같은 틀에 갇혀서 쳇바퀴로 맴돕니다.


《평범한 코이코 짱 12》(나나지 나가무/박소현 옮김, 학산문화사, 2020.10.2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의 루돌프 Dear 그림책
김성라 지음 / 사계절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23.

읽었습니다 303



  몇 해 앞서 서울 어느 골목을 걷다가 길바닥에 적힌 ‘여성안심귀갓길’이란 글씨를 보았습니다. 곳곳에 알림판도 있더군요. 이 글씨를 보다가 “이 길은 돌이가 지나가면 안 되나?” 싶어 알쏭했습니다. ‘여성안심’이라는 말은, “모든 남성은 여성을 괴롭히거나 밟는다”는 미움 불씨를 바탕에 깝니다. 마음을 놓아야 할 길이라면 누구나 마음을 놓을 노릇이라고 느껴요. 여린 돌이도 많고, 여린 어린이가 수두룩합니다. 무엇보다 어느 골목만 아니라 모든 곳이 “누구나 느긋한 삶터”이도록 거듭날 일이에요. 《여름의 루돌프》을 곰곰이 읽고서 내려놓았습니다. “쉬려고 제주로 ‘내려가는’ 아가씨” 하루를 들려주는데, 아가씨는 쉴 테지만, 할머니는 일합니다. 그리고 할머니 둘레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말없이 일하는 숱한 사람들”이 있어요. 이 나라는 틀림없이 웬만한 곳마다 ‘고약한 웃사내틀’이 버젓하지만, “아이를 사랑하는 수수한 살림꾼”도 숱합니다. 버스일꾼도, 시골집에 기름을 넣는 일꾼도, 논밭에서 땀흘리는 일꾼도, 인쇄소와 제본소와 배본소에서 일할 뿐 아니라 나름이로 힘쓰는 일꾼도, 이름과 얼굴이 안 드러나는 수수한 이웃입니다. 가르기보다는, 고루 보면서 새길을 걸어가기를 바랍니다.


《여름의 루돌프》(김성라, 사계절, 2023.7.1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냄새 폭탄 뿜! 뿜! 초등 읽기대장
박채현 지음, 허구 그림 / 한솔수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23.

읽었습니다 304



  잠자리를 알려면 잠자리 눈으로 보고, 잠자리 마음으로 깃들며, 잠자리처럼 하늘을 날면 됩니다. 개미를 알려면 개미 눈으로 보고, 개미 숨결로 살며, 개미처럼 바람을 마시면 되어요. 《냄새 폭탄 뿜! 뿜!》을 읽다가 자꾸 고개를 갸웃거렸습니다. 얼핏 풀이나 풀벌레 마음을 엿보는 듯하면서도 막상 속으로 스미기보다는 “사람 눈금으로 잰” 얼거리예요. 어린이가 보내는 하루를 다루는 글도, 책이 어떤 마음일까 하고 짚는 글도, “어깨너머로 구경하기”에서 멈춥니다. 어린이한테 들려주는 글이라면 더더욱 말 한 마디에 마음을 기울이기를 바라요. ‘의·적·화’뿐 아니라 ‘것·시작·고 있다·-ㄴ’ 같은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를 다듬어야겠지요. “흐뭇한 미소를 지었어요”는 무늬만 한글입니다. ‘-ㄴ + 미소’ 얼개는 우리말씨가 아니에요. 그리고 ‘냄새 폭탄’이나 ‘개미 군단’처럼 섣불리 싸움말을 왜 넣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냄새 폭탄 뿜! 뿜!》(박세현 글·허구 그림, 한솔수북, 2021.12.15.)


+


앞을 막아서며 깐족거리는 거야

→ 앞을 막어서며 깐족거려

8쪽


개미 군단이 텃밭으로 들어왔어

→ 개미떼가 텃밭으로 들어왔어

→ 개미무리가 텃밭으로 들어왔어

16쪽


진딧물과 무당벌레의 술래잡기가 시작된 거야

→ 진딧물과 무당벌레가 술래잡기를 벌여

21쪽


4교시 시작종이 울린 지

→ 넉자락 소리 울린 지

→ 넉마당을 알린 지

28쪽


널 찾고 계시잖아

→ 널 찾잖아

28쪽


버림받는다는 건 원래 슬픈 거야

→ 버림받으면 워낙 슬퍼

37쪽


부화기 안에서 병아리가 아장거리고 있었어

→ 돌봄틀에서 병아리가 아장거려

→ 따뜻틀에서 병아리가 아장거려

49쪽


보리수나무는 흐뭇한 미소를 지었어요

→ 보리수나무는 흐뭇하게 웃어요

→ 보리수나무는 흐뭇이 웃어요

9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의 책 쏜살 문고
토베 얀손 지음, 안미란 옮김 / 민음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21.

읽었습니다 302



  배우려는 사람이 아름답습니다. 배우려는 마음이라서 언제나 어린이 숨빛으로 둘레를 품고 어른스런 눈빛으로 하루를 풀어내어요. 배우지 않으려는 사람이 스스로 갇힙니다. 안 배우려는 마음이라서 고이고 마니, 나이가 적건 많건 낡은틀에 사로잡혀요. 놀이하고 노닥질은 달라요. 놀이를 하는 어린이는 어른으로 자라고, 노닥거리는 짓이라면 늘 쳇바퀴입니다. 《소피아의 섬》은 나중에 《여름의 책》으로 이름을 바꾸어서 다시 나옵니다. 어릴 적에 섬에서 보낸 여름날을 되새기는 줄거리는 온통 놀이라 할 만합니다. 놀기에 느긋하고, 놀면서 생각하고, 놀다가 배웁니다. 놀던 마음이 자라 일솜씨로 뻗고, 놀던 손빛을 가꾸어 살림꾼으로 섭니다. 오늘 우리는 “어릴 적부터 서른 살에 이르도록 얼마나 신나게 놀던 마음과 몸”인 사람인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놀던 어린날이 없다면 마흔 살에라도 놀 노릇입니다. 노닥질 아닌 놀이를 하면서, 사람다운 첫마음을 되찾는다면, 누구나 아름다워요.


ㅅㄴㄹ


#ToveJansson #Sommarboken 1972년

《소피아의 섬》(토베 얀손/이옥용 옮김, 소년한길, 2005.9.15.)

《여름의 책》(토베 얀손/안미란 옮김, 민음사, 2019.11.1.)


피곤함이 몰려왔다

→ 고단했다

→ 지쳤다

16쪽


남서풍이 불어오면, 어제와 오늘이 너는 너, 나는 나 이런 식으로 서로 몰라라 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 마하늬바람이 불어오면, 어제와 오늘이 너는 너, 나는 나 이렇게 서로 몰라라 하는구나 싶다

59쪽


할머니에게로 가서 말했다

→ 할머니한테 가서 말했다

90쪽


바다는 특이하고 진기한 사건들이 일어나기 딱 좋은 곳이었다

→ 바다는 남다르고 드문 일이 일어나기 딱 좋은 곳이다

→ 바다는 새롭고 놀라운 일이 일어나기 딱 좋다

155쪽


두꺼운 마분지 상자 안에 들어가 앉아 아버지 가운을 살펴보며

→ 두꺼운 짚종이 꾸러미에 들어가 앉아 아버지 긴옷을 살펴보며

21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마귀 - 애니멀 시리즈
보리아 색스 지음, 이한중 옮김 / 가람기획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13.

읽었습니다 298



  겨레마다 새를 바라보는 눈이 다릅니다. 미국사람이 쓴 《까마귀》를 읽으며 “한겨레가 예부터 바라본” 까마귀하고 참 다르구나 싶더군요. 글쓴이는 “영어로 나온 글”을 살펴서 이 꾸러미를 엮었을 테지요. 우리나라에서 까마귀 이야기를 누가 쓴다면, 한글로 나온 이야기에, 일본책이나 중국책을 비롯해서, 영어로 나온 이야기를 다 살필 수 있을 테고요. 어느 모로는, 미국·하늬녘에서는 푸른별을 모두 헤아리지는 못 하는 채 이야기를 씁니다. 우리가 더 잘 쓸 수 있지는 않겠으나, “더 많은 나라에서 나온 글”을 살피지 않더라도, 까마귀 곁에서 까마귀 마음을 느끼고 읽는다면 줄거리나 얼거리가 확 달랐겠지요. 우리나라나 일본·중국 같은 나라 시골자락에서 무리를 짓거나 혼자 살거나 둘이 짝지은 까마귀를 오래도록 지켜볼 적에도 참으로 다르고요. “예전에 하늬녘에서 남긴 글”을 너무 많이 따와서 심심합니다. 까마귀하고 마음을 나누고서 쓰면 될 텐데요.


《까마귀》(보리아 색스/이한중 옮김, 가람기획, 2005.10.10.)


+


그런 이유로 까마귀가 한 마리만 있는 것을 보면 불길한 징조였다

→ 그래서 까마귀가 한 마리만 보이면 궂다고 여겼다

→ 그러니 까마귀가 한 마리만 있으면 나쁘다고 보았다

48


아이들은 분명 이 일에서 이익보다는 즐거움을 훨씬 많이 찾았을 것이다

→ 아이들은 아마 이 일이 좋기보다는 즐거웠으리라

156


우리 시대까지 전해온 까마귀의 이미지는 긍정적인 것이든 사악한 것이든 희한하게도 품위 없는 모습이다

→ 오늘날까지 이어온 까마귀 그림은 좋든 나쁘든 얄궂게도 멋없는 모습이다

→ 오늘날까지 달갑든 사납든 재밌게도 까마귀를 바보스럽게 여긴다

17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