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연구 - 수정증보
강신항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10.

읽었습니다 317



  우리가 오늘날 쓰는 글은 ‘한글’입니다. 한힌샘 님이 틀을 잡고서 이름을 붙이면서 “우리말을 담는 우리글”로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1400해무렵에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을 여미어 내놓았는데, ‘정음(훈민정음)’은 “우리말을 담는 그릇”이기보다는 ‘바른소리(표준발음)’ 구실이 큰뜻이었습니다. 《訓民正音硏究 增補版》을 1987년판 아닌 1994년판으로 읽었는데 한자가 새카맣습니다. 1987년에도 1994년에도 ‘한글’이 아닌 ‘한자’를 붙드는 눈썰미로 ‘우리글’을 밝힐 수 있으리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다만, 이 책을 쓴 분은 ‘正音·聲音·純正·正聲’ 같은 한자말을 잘 골라서 쓰면서 ‘훈민정음 큰뜻’을 안 숨기고서 드러내었구나 싶습니다. 조선 오백 해에 “글을 배울 길이 없던 흙사람과 시골사람과 종과 하님과 소치기(백정)”는 ‘백성’에 들지 않았습니다. ‘훈민정음’은 ‘한문’을 마음껏 쓰고 다룰 줄 아는 이들이 ‘표준발음’으로 삼는 길잡이였습니다. 다만, 벼슬아치하고 우두머리는 사람들을 억누르는 틀만 살폈다면, 1900년에 이르러 주시경 같은 분이 나타나서 “마음을 담은 말을 누구나 글로 옮기는 길”을 펴도록 날개를 달았지요.


《訓民正音硏究 增補版》(강신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4.5.)


그래서 治國의 要諦로서 樂과 聲音이 純正해야만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序文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標準音으로서의 正音과 正聲을 說定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게다가 宋國들과 마찬가지로 聖人之道를 옳게 理解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는 聲韻學과 文字學에 관한 理論的인 연구부터 필수적으로 시작해야 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밖에, 朝鮮朝 建國初부터 隣近諸國들과 圓滑한 外交關係를 유지하기 위하여 司譯院을 설치하고, 譯學政策에 힘을 기울여 오는 과정에서도, 外國語音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옳게 표기할 表音文字의 必要를 느끼고 있었다. (5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사의 시대 - 당신의 삶이 노래가 될 때 자기만의 방
조동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5.

읽었습니다 314



  우리는 누구나 다르게 살아가기에 다 다르게 받아들여서 살피고 삭이고서 배웁니다. 또는 안 배웁니다. 우리는 누구나 마음을 품은 넋이 몸을 입기에, 이 몸으로 삶을 맞닥뜨리면서 이야기를 차곡차곡 마음에 담습니다. 또는 안 담습니다. 살아숨쉰다고 할 적에는 몸뚱이라는 옷을 넋이 돌보고 다스리고 이끌면서 노래한다는 뜻입니다. 넋을 잊거나 잃을 적에는 “몸뚱이는 살되, 이미 죽은 셈”이라고 여깁니다. “노래하는 날”이나 “노래쓰는 날”을 들려주는 《작사의 시대》를 읽었습니다. 노래나 노랫말을 이처럼 쓰면 된다고 들려주는구나 싶으면서도, 어쩐지 겉멋이 자꾸 드러납니다. 놀이하는 마음이기에 노래하고, 노래하는 하루이니 놀이합니다. 노래도 놀이도 멋스러이 꾸미는 글자락에서는 안 태어나요. “말을 하는 사람” 누구나 “노래를 부르는 하루”입니다. 마음을 담기에 말인 터라, 마음을 안 담은 채 읊기만 하면 “국어 교과서 외우기”라 여기지요. 멋과 맛을 털어야 말이고 마음이자 노래입니다.


《작사의 시대》(조동희, 휴머니스트, 2023.10.23.)


+


가사는 내 이야기를 가장 아름답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 노랫말은 내 이야기를 가장 아름답게 나눌 수 있는 길입니다

5쪽


당신의 삶을 작사한다면 어떤 노래가 탄생할까요

→ 그대 삶을 짓는다면 어떤 노래가 나올까요

→ 우리 삶을 쓴다면 어떤 노래가 태어날까요

7쪽


감사하지만 아마 조금 다른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 고맙지만 아마 조금 다른 줄거리일 듯합니다

→ 기쁘지만 아마 조금 다를 듯합니다

8쪽


당신은 벌써 작사를 시작할 준비가 된 것이니까요

→ 그대는 벌써 쓸 수 있으니까요

→ 우리는 벌써 지을 수 있으니까요

8쪽


내 진짜 마음을 들킬까 두려워 방어하는 마음들 때문은 아닐까요

→ 속마음을 들킬까 두려워 지키려 하기 때문은 아닐까요

→ 마음을 들킬까 두려워 감싸려 하기 때문은 아닐까요

9쪽


그중 인상깊었던 한 수강생분의 말이 생각납니다

→ 배우던 분이 뜻깊게 남긴 말이 생각납니다

9쪽


나만의 것을 창작하고 싶었던 당신도 환영합니다

→ 나답게 쓰고 싶던 그대도 반갑습니다

→ 나를 고스란히 쓰고픈 그대도 반깁니다

10쪽


당신이 쓴 가사지만 당신만의 것이 아니게 되는 거예요

→ 우리가 쓴 글이지만 이웃하고 나눠요

→ 내가 쓴 노래이지만 둘레에 나눠요

19쪽


이내 그것은 나를 사랑할 방법을 찾는 시작점이 됩니다

→ 이내 나를 사랑할 길을 찾는 첫걸음입니다

→ 이내 나를 사랑할 하루를 찾는 첫발입니다

2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용책 만드는 법 - 새로운 경험을 제안하는 콘텐츠를 맛있게 요리하기 위하여 땅콩문고
김옥현 지음 / 유유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3.22.

읽었습니다 315



  일본에서 들어와 퍼진 말씨 가운데 하나인 ‘실용’은 ‘실용적·실용성’에 ‘실용주의·실용주의 노선’까지 더 일본스럽게 퍼지기도 합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살뜰·알뜰’이거나 ‘단출하다’요, ‘멋’이나 ‘알차다·솔찮다·쏠쏠하다’이기도 합니다. 《실용책 만드는 법》은 살림살이를 건사하면서 알뜰살뜰 곁에 둘 만한 책을 어떻게 엮는지 들려준다고 합니다. 곰곰이 읽어 보는데, ‘살림책’에 깃드는 낱말이며 말씨가 하나부터 열까지 죄다 일본말이나 일본 한자말이나 일본 영어 같습니다. 우리는 이 굴레를 털거나 씻거나 벗을 수 있을까요? 살림을 매만지듯 우리말결을 단출히 가꾸면서 알차게 여밀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냥그냥 아무 말씨나 쓰는 굴레에 길든 채 살아갈까요? 책을 어떻게 여미는지 배우는 일도 뜻깊을 텐데, 책에 담는 말부터 어떻게 추스르는지 먼저 배울 일이라고 봅니다. 말글로 이야기를 여미니 책일 텐데, 말글부터 빛을 잃는다면 첫단추부터 엉킵니다.


《실용책 만드는 법》(김옥현, 유유, 2020.12.14.)


ㅅㄴㄹ


+


잠시 후 냄비 속 소스가 보글거리기 시작한다

→ 얼마 뒤 가마에서 양념이 보글거린다

→ 조금 뒤 단지에서 양념이 보글거린다

9


요리가 시작되면 묵언 수행(?)을 하는 일이 흔하다

→ 밥을 차리면 흔히 입을 다문다

→ 밥을 지으면 흔히 얌전히 있는다

9


먼저 시작되는지 의문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 왜 먼저 여는지 궁금할지도 모르겠다

9


요리책 편집자의 일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한국의 요리책에 대해 말하고 싶다

→ 밥책 엮음이 일을 살펴보기 앞서 먼저 우리 밥책을 말하고 싶다

10


연애 경험담을 글로 읽는 것이 연알못들에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사귄 일을 글로 읽으면 사알못한텐 나을 수도 있다

→ 님앓이를 글로 읽으면 사알못은 배울 수도 있다

11


시대의 식문화 수준을 반영하는 중요한 사료다

→ 그무렵 밥살림을 담아내는 살뜰한 꾸러미다

→ 그즈음 밥살림을 보여주는 알찬 밑동이다

12


개입할 여지가 가장 큰 분야는 무엇일까

→ 무엇이 끼어들 틈이 가장 클까

→ 어느 곳이 끼어들 틈이 가장 클까

22


요리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다면

→ 밥책을 제대로 묶을 수 있다면

→ 맛책을 제대로 엮을 수 있다면

25


이를 캐치해 만든

→ 이를 잡아서 여민

→ 이를 새겨서 엮은

28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묘사하는 마음 - 김혜리 영화 산문집
김혜리 지음 / 마음산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3.18.

읽었습니다 313



  2024년에 열일곱 살을 맞이하는 큰아이는 “박새나 딱새가 겨울에 부르는 노래하고 봄에 부르는 노래가 달라요.” 하고 얘기합니다. 우리 시골집에는 날마다 뭇새가 쉬잖고 날아듭니다. 귀여겨들으면 어느 날 문득 모든 새가 철마다 날마다 어떻게 달리 노래하는지 가눌 수 있습니다. 다만, 억지로 익힐 일이 아닙니다. 살아가고 살림하면 시나브로 젖어듭니다. 글멋이란 따로 없습니다. 스스로 마음을 담아서 말을 펴고 나누고 가꾸는 길에 문득 글결이 서게 마련이요, 글빛은 별빛처럼 천천히 부드러이 퍼집니다. 《묘사하는 마음》은 글쓴이가 본 보임꽃(영화)을 이녁 나름대로 풀어낸 꾸러미입니다. 이 책이 다룬 보임꽃 가운데 〈파이 이야기〉랑 〈스타워즈〉는 아이들하고 보았고, 〈로건〉은 곁님하고 보기는 했으되, 다른 모든 보임꽃은 심드렁합니다. 〈마틸다〉나 〈반지의 제왕〉이나 〈디스크 월드〉나 〈이 세상의 한 구석에〉처럼 아이 곁에서 함께 생각을 지피는 보임꽃을 두고두고 거듭거듭 보며 이야기한다면, 글도 말도 살림도 사랑도 새록새록 지피는 실마리를 누구나 찾으면서 가꿀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묘사하는 마음》(김혜리, 마음산책, 2022.8.5.)


ㅅㄴㄹ


개선되지 않는 글의 속도와 질에 괴로웠던 당시 나에게

→ 나아가지 않는 글쓰기에 괴롭던 예전 나한테

→ 빨리 쓰지도 잘 쓰지도 못해 괴롭던 나한테

9쪽


난데없이 동병산련을 느낀 이후에도 나의 글쓰기는 쉬워지거나 빨라지지 않았다

→ 난데없이 같이 아픈 뒤에도 쉽거나 빠르게 쓰지 않았다

→ 난데없이 함께 앓은 다음에도 쉽게 빨리 쓰지 못 했다

9쪽


기사를 퇴고해 묶는 책으로는 마지막일 것 같은 예감이 들어

→ 고쳐서 묶는 글으로는 마지막이리라고 느껴

→ 다듬어 묶는 글로는 마지막이겠다고 여겨

10쪽


제목을 구사일생이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가까스로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죽을고비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아슬아슬로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11쪽


묘사는 미수에 그칠 수밖에 없지만, 제법 낙천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 시늉처럼 꾸밀 수밖에 없지만, 제법 느긋한 일이기도 하다

→ 손만 대듯 담을 수밖에 없지만, 제법 가볍기도 하다

11쪽


다채로운 배역의 라이브러리를 거론하면서 유의할 점은

→ 여러모로 구실하는 꾸러미를 들면서 살필 곳은

→ 온갖 몫을 한다고 들려주면서 헤아릴 대목은

→ 두루 맡는다고 이야기하면서 눈여겨볼 일은

21쪽


관객에게 인물을 제시하는 방식에 있어서 위페르의 근본 특징은

→ 위페르가 사람을 보여줄 적에는

→ 위페르가 사람을 풀어낼 때에는

→ 위페르가 사람을 밝히는 길은

2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자의 음악서재, C# - 혼돈의 시대, 사색이 음악을 만나 삶을 어루만지다
최대환 지음 / 책밥상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3.2.

읽었습니다 312



  늘 생각합니다. 이 생각이 어떻게 흘러서 저 마음에 닿는지 헤아립니다. 하나하나 세다가 문득 멈추고는, 다시 살피고, 새로 들여다보고, 거듭 곱씹습니다. 가눌 줄 안다면 가름합니다. 가를 수 있으나 가리려 하고, 솎거나 고르기 보다는, 갈무리하거나 간추리면서 돌아봅니다. 돌이키면서 마음을 다스리고, 되새기면서 마음을 달랩니다. 길을 밝힐 수 있고, 뜻을 펼 만합니다. 눈을 뜨기에 머리를 틔우고 귀를 열어요. 새롭게 나아가고, 새록새록 북돋웁니다. 새삼스레 가꾸어 싱그러이 짓습니다. 우리는 굳이 일본스런 한자말로 ‘철학’할 일이 없습니다. ‘생각’하면 됩니다. 《철학자의 음악서재》를 읽으며 숱한 일본 한자말에 옮김말씨를 느낍니다. 아무래도 글쓴이부터 스스로 말빛과 말결과 말넋과 말숨을 잘 모르기에 뒤죽박죽으로 섞었구나 싶어요. ‘변용·변화’는 뭐가 다른 일본스런 한자말일까요? ‘세다·헤다·살피다·생각·가누다·가르다·가리다·보다·돌아보다·들여다보다’를 낱낱이 따질 줄은 모르는 채, 한자말로 장난만 치면 빛이 바랠 뿐입니다.


《철학자의 음악서재》(최대환, 책밥상, 2020.10.23.)


ㅅㄴㄹ


변용으로서의 변화는 우리 시대에게 도덕적, 정신적, 영적 각성을 요구하며 각 개인과 공동체의 ‘존재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 거듭나기는 오늘 이 길과 마음과 넋을 깨우치는 길이며, 나와 우리를 갈아엎는다는 뜻입니다

→ 날개돋이는 이제 이 길눈과 마음밭과 얼을 깨우는 일이며, 나와 우리를 뒤바꾼는다는 뜻입니다

19


이 시점 사람들은 대부분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었습니다

→ 이때 사람들은 으레 갈림길에 섭니다

→ 이즈음 사람들은 으레 난달에 섭니다

28쪽


풍경 좋은 산책로를 걷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쉼과 기분전환이 됩니다

→ 푸른길을 걷기만 해도 느긋이 쉬고 즐겁습니다

→ 숲길을 거닐면 아늑하면서 산뜻합니다

53쪽


현명함이라는 삶의 지혜를 모두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 모두 삶이 슬기로워야 한다고 바랍니다

→ 모두가 슬기롭게 살기를 바랍니다

→ 모두 삶이 밝아야 한다고 바랍니다

→ 모두가 깨우쳐서 살기를 바랍니다

87쪽


이론이 아니라 삶으로서 철학은 좋은 삶이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숙고하는 데서 시작하고 그곳으로 다시 돌아옵니다

→ 틀이 아니라 삶으로 보는 생각은, 빛나는 삶이 무엇인지 꾸준히 살피면서 비롯하고, 이곳으로 돌아옵니다

→ 가름길이 아닌 삶을 생각하면, 빛나는 길이 무엇인지 찬찬히 보면서 깨어나 이곳으로 다시 옵니다

14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