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이야기

숲에서 짓는 글살림

37. 서울 다녀오는 길



  서울을 다녀오는 일이 있을 적에 언제나 “서울에 간다”고만 말합니다만, 둘레에서는 ‘상경’이나 “서울에 올라오다”라는 말로 받습니다. 이 말씨 ‘상경·서울에 올라오다’가 알맞지 않다고 넌지시 알려주어도 좀처럼 못 바꾸는 분이 아주 많습니다. 하기는, 전남 고흥에 살면서 고흥읍에 일이 있어 갈 적에도 비슷해요. 고흥군청이나 고흥교육청에서 일하는 분들 입에서 으레 “읍내에 올라오시지요?” 같은 말이 툭툭 나옵니다.


  이 위아래로 가르는 말씨를 언제쯤 말끔히 씻을까요? 촛불 한 자루 드는 물결로는 못 씻으려나요? 나이로 위아래를 가를 뿐 아니라, 자리로 위아래를 가르는 버릇으로는 어떤 어깨동무도 못 한다고 느껴요. 그나저나 서울에 걸음을 하고 보면, 곳곳에 선 알림판 글월이 어지럽습니다. 다만 저한테만 어지러운지 이런 알림글은 서른 해가 가고 쉰해가 흐르고 일흔 해가 지나도록 바뀔 낌새가 안 보입니다.


열차가 방금 출발하였으니 다음 열차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열차가 막 떠났으니 다음 열차를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열차가 바로 떠났으니 다음 열차를 타 주시기 바랍니다


  열차는 타거나 내립니다. “다음 열차를 이용해”가 아닌 “다음 열차를 타”라 해야 맞아요. 또는 “다음 열차를 기다려”라 하면 되겠지요. ‘방금·금방’은 앞뒤만 바꾼 한자말인데, ‘막’이나 ‘곧’이나 ‘이제’나 ‘바로’로 손볼 만합니다.


무리한 승하차 금지

→ 억지로 타지 마셔요

→ 밀면서 타지 말아요


  아직 내리지 않았으나 벌써 치고 들어오는 분이 있습니다. 서울이야 워낙 사람으로 물결을 치니 1초조차 아쉬워서 마구 밀어붙이는구나 싶어요. 이때에 “무리한 승하차 금지”란 말을 누가 얼마나 알아들을까요?


  이 알림글을 읽다가 생각했어요. 어쩌면 사람들이 이 말씨를 못 알아보기에 억지로 밀면서 타지는 않을까요?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도록 알림글을 붙이니, 정작 사람들 버릇이 안 바뀌지는 않을까요? ‘억지로’ 타려 하지 말자고, ‘밀면서’ 타려 하지 말자고, 무엇보다도 “하지 말자(← 금지)”고 제대로 밝히지 않으니, 다들 그냥그냥 억지짓을 할는지 몰라요.


무리한 승하차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밀면서 타고내리면 다칠 수 있습니다

→ 억지로 타고내리면 다칠 수 있습니다


  버스나 전철에서 사람들이 어찌나 밀고 당기는지 알림글이 곳곳에 붙습니다. 말씨가 살짝 다른 알림글인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는 무슨 뜻일까요? 이런 알림글을 못 알아볼 어른이 많지 싶은데, 어린이라면 더더구나 못 알아보겠구나 싶습니다.


  모름지기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오가는 곳에서는 알림글을 ‘다섯 살 어린이도 알아볼’ 수 있도록 가다듬어야지 싶어요. 여덟 살 어린이가 알아보지 못한다면, 한글을 읽었어도 뜻을 어림하기 어렵다면, 잘못 붙인 알림글이라고 느낍니다.


  요즈음은 나라밖에서 찾아온 일꾼이 많아요. 한국말이 아직 서툰 여러 나라 이웃님도 ‘일본 한자말로 범벅질인 알림글’은 알아보기 어려워 하겠지요.


보행환경 개선사업

→ 거님길 손질

→ 거님돌 새로놓기


  걸어다니는 길바닥에 깔았던 돌을 뜯어내어 새로 까는 일을 지켜보다가 옆으로 한참 돌아서 갔습니다. 마침 이 삽질을 알리는 판이 한쪽에 섰더군요. 알림판에 적힌 글을 읽다가 피식 웃었습니다. “보행환경 개선사업”이란 이름으로 그럴듯하게 붙인 이 삽질이란 무엇일까요?


  짐짓 부풀린 듯한 이런 말씨는 이제 걷어낼 때이지 싶어요. 말에 낀 거품을 걷어내고, 갖은 삽질에 흐르는 찌꺼기도 털어낼 때라고 느낍니다. “거님길을 손봅니다”라든지 “거님돌을 새로 놓습니다”처럼, 어떤 삽질을 하는가를 꾸밈없이 밝히면 되어요.


잠시 후 도착합니다

→ 곧 옵니다

→ 곧 들어옵니다


  때때로 아이들하고 서울마실을 하노라면, 아이들이 매우 힘들어 합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로 북적대기에 힘들어 할 적도 있지만, 서울 곳곳에 나붙은 알림글이 너무 어렵거나 아리송해서 힘들어 해요.


  아마 어른한테는 “잠시 후 도착”이 익숙할 수 있어요. 워낙 이곳저곳에서 이런 말씨를 자주 쓰니까 그러려니 하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알맞거나 바르지 않은 정치나 행정을 알맞거나 바르게 가다듬어야 아름답다면, 알맞거나 바르지 않은 말씨도 알맞거나 바르게 가다듬을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즈막에 “일본 것 안 사기!” 바람이 부는데요, 이런 일본 것 안 사는 물결은 왜 일본 한자말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나 “NO JAPAN”처럼 영어로만 말해야 할까요? “일본 것 안 살래”나 “일본 싫어”나 “일본은 저리 가!”처럼 한국말로 먼저 제대로 밝히고서 영어를 곁들이면 좋겠어요. 


전동차 내 자전거 휴대승차 안내문

→ 전동차에서 자전거를 들고 타려면

→ 전동차에 자전거 들고 타신 분한테


  알림글은 알리는 글입니다. 사람들이 바로 알아보도록 이끌 글입니다. 사람들이 쉽게 알아보면서 그때그때 맞추어서 움직이도록 도울 글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스며들어서 여태 또아리를 튼 숱한 일본 말씨를 이제부터 제대로 뿌리뽑을 수 있으면, 또는 새롭게 손질하거나 추슬러서 한국말로 곱고 알뜰히 보듬으면 좋겠습니다.


어르신 시내버스 승하차 도우미 운영

→ 어르신 시내버스 도움이 있습니다

→ 어르신이 버스 탈 적에 도와줍니다


  어르신이 버스를 잘 타고내리도록 도우려 한다면, 어르신 눈높이에 맞게 일해야겠지요. 도움이 노릇을 하는 분도 어르신 눈높이에 맞출 노릇이면서, 이러한 일을 알리는 말도 어르신한테 맞추어야지 싶습니다.


  어느 분은 ‘승하차’쯤 어르신 나이에 다 알지 않겠느냐고 물을는지 모릅니다. 그렇다면 어르신을 모두 붙잡고 물어보면 좋겠어요. 참말 다들 알까요? 그리고 이런 말을 구태여 아직까지도 써야 할까요?


  서울을 다녀오면 범벅말이 가득해 눈이 어지럽습니다. 숲으로 둘러싼 보금자리에 돌아와서 나무 곁에 섭니다. 나무를 쓰다듬고 맨발로 풀밭에 서서 눈 마음 몸을 달랩니다. 나무하고 나눌 말을, 숲에서 짓는 말을, 바람을 아끼는 말을 그립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에서 짓는 글살림

36. 치고 모으고 부끄럽고



  두 가지 말을 해보겠습니다. “보는 눈에 따라 달라집니다.”하고 “관점에 의해 변화합니다.”입니다. “보는 눈이 있다.”하고 “안목을 지녔다.”입니다. “눈이 좋다.”하고 “관찰력을 가졌다.”입니다. “해야 한다.”하고 “필요로 한다.”입니다. “처음 해봤다.”하고 “최초로 시도했다.”입니다. “네가 처음이야.”하고 “네가 시작이야.”입니다. “너한테서 비롯했어.”하고 “네가 시초야.”입니다.


  두 가지로 말을 할 줄 알기에 우리 생각을 환하게 나타낸다고 할 만할까요? 두 가지 말을 섞느라 막상 우리 생각을 환하게 나타내기보다는, 어떤 자리에 맞추느라 바쁘지는 않을까요?


  ‘염치불고’가 맞느냐 ‘염치불구’가 맞느냐를 놓고서 갈팡질팡하는 분이 꽤 있습니다. 이분을 바라보다가 넌지시 말씀을 여쭙니다. ‘창피하지만’이나 ‘부끄럽지만’이나 ‘남사스럽지만’이나 ‘낯부끄럽지만’이라 말하면 될 노릇 아니냐 하고요.


  겉은 여리거나 부드러워 보이지만 속이 단단하거나 곧은 사람을 두고 ‘외유내강’이라 일컫는 분이 있습니다. 그분은 ‘외유내강’이란 말을 알기에 스스럼없이 쓸 테지만, 모든 사람이 이 말을 알지는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겉은 부드러운데 속은 단단해”처럼 수수하게 말해도 넉넉합니다. 이 수수한 말씨가 길구나 싶으면 앞머리를 따서 줄이면 돼요. ‘겉부속단’이나 ‘겉여속곧’처럼.


  숱한 한자말은 ‘긴 이야기를 줄여서 담아낸 낱말’입니다. 한국말도 얼마든지 새롭게 줄여서 담아낼 수 있습니다. ‘혼밥’에 이어 ‘함밥’을 말하듯, ‘셀카’라면 ‘혼찍’이라 하면 됩니다. 여럿이 모여서 찍으면 ‘단체촬영’이 아닌 ‘함찍’이나 ‘모둠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느 책을 읽는데 다음처럼 묶음표를 넣어 꽤 길게 쓰더군요. 굳이 이렇게 길게 쓸 까닭이 없다고 여기니 단출하게 다듬어 봅니다.


오늘의 대견한 나를 괄목상대刮目相對(눈을 비비며 다시 본다는 뜻으로, 한동안 못 본 사이에 상대방의 학문이나 인품이 놀랍게 발전하여 이전의 그 사람이 아닌 새 사람으로 보이는 경지를 말함)하는 여러분이 되십시오

오늘 대견한 나를 다시보는 여러분이 되십시오


  ‘괄목상대’라는 한자말을 아는 분은 이 말을 꼭 쓰고 싶었구나 싶어요. 그런데 그분은 이 말을 알더라도 이 말을 모를 이웃이 많겠구나 하고 여겨 묶음표를 치면서 잔뜩 덧붙여요. 이때에 생각해 봐요. “눈을 비비며 다시 본다”는 뜻이라면, 새롭게 ‘다시보다’라는 낱말을 지어서 쓰면 됩니다. ‘새로보다’라 해도 어울려요. ‘다시보다’나 ‘새로보다’라는 말을 지어서 쓰면 굳이 덧말을 안 달아도 알아들을 만합니다. 이런 한국말이 아직 사전에 안 실렸어도, 글을 읽거나 말을 들으면서 어린이도 곧 알아차릴 만하겠지요.


  사전을 들추면 ‘치부’라는 낱말을 네 가지 다루는데, 이 넷 가운데 셋을 사람들이 이모저모 쓰곤 하지만, 찬찬히 따지면 이 세 가지도 쓸 일이 없다 할 만합니다.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치부(置簿)

 그날 벌이의 치부가 끝나자 → 그날 벌이를 다 적자

 다소 모자라는 사람으로 치부된 → 적잖이 모자라는 사람으로 친

 그를 겁쟁이로 치부하였다 → 그를 무섬쟁이로 여겼다

 모두 과거사라고 치부하고 → 모두 옛일이라고 보고

 믿을 게 못 되는 것으로 치부한다 → 믿을 게 못 된다고 생각한다


  ‘置簿’라는 한자만 떡 볼 적에 알아차리지 못할 사람이 많습니다. 한글로 ‘치부’라 적어도 알아차리지 못할 사람이 많아요. 어떤 치부를 말하는지 헷갈릴 테니까요. 한국말로 ‘적다’를 쓰거나 ‘치다·여기다·보다·생각하다’를 쓴다면,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어린이도 알아차립니다.


 치부(致富)

 자수성가한 오늘의 치부가 불과 자기 당대에서 망할 줄 → 맨손으로 일군 이 돈이 고작 제 삶자리에서 끝장날 줄

 그것은 운용하기에 따라 치부와 직결돼 있는 → 이를 다루기에 따라 돈벌이와 이어진

 젊어서 치부하여 → 젊어서 돈을 모아


  ‘致富’라는 한자만 딱 보면서 알아차릴 분이 더러 있습니다. 그러나 한글로 ‘치부’라 적으면 이때에도 어느 치부인지 아리송하기 마련입니다. 이때에도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돈을 모으다”나 “돈을 쌓다”라 하면 쉽겠지요? 때로는 ‘돈’이나 ‘목돈’이나 ‘큰돈’이라 나타내면 될 테고요.


 치부(恥部)

 치부를 드러내다 → 허물을 드러내다 / 부끄러움을 드러내다

 치부를 폭로하다 → 허물을 밝히다 / 뒷짓을 밝히다

 나의 치부 → 내 부끄러움 / 내 멍울 / 내 아픔 / 내 속살


  ‘恥部’라는 한자만 척 보면서 알아차릴 수도 있습니다만, 이때에도 한국말로 밝혀서 적으면 참말로 누구나 알아보겠지요. 하나하나 짚으면 좋겠어요. ‘허물’을 말하려는지, ‘부끄러움’을 말하려는지, ‘뒷짓’을 말하려는지, ‘멍울’이나 ‘아픔’이나 ‘속살’을 말하려는지 곰곰이 생각해서 말하면 좋겠어요.


  ‘치다’라는 한국말은 쓰임새가 매우 넓습니다.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갈무리해 보겠습니다.


치다 1 ← 강타, 타격, 구타, 타자(打字), 타자(打者), 제작, 수타, 연주, 공격, 공략, 공박, 논박, 절개, 절단, 제거, 동작, 전송, 전달, 함락

치다 2 ← 첨가, 첨부

치다 3 ← 설치, 구성

치다 4 ← 축산, 양돈, 앙계, 출산, 숙박

치다 5 ← 정리, 정돈, 청소

치다 6 ← 사고를 내다

치다 7 ← 인정, 가정(假定), 인식, 계산, 합하다, 합치다, 합산, 합계, 치부(置簿)

치다 8 ← 정제


  한국사람이 쓸 말은 한국말입니다. 한국으로 찾아와서 일하는 이웃도 한국말을 씁니다. 이때에 우리가 어떤 한국말을 차근차근 익혀서 함께 쓰는가를 돌아보면 좋겠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어릴 적부터 열두 해에 걸쳐 학교를 다니는 동안, 또 대학교까지 다니는 사이, 막상 한국말부터 제대로 안 배우거나 못 익히지 않았을까요? 한국말부터 제대로 모르는 판이라, 다른 외국말을 배울 적마다 힘들거나 막히지는 않을까요? 우리 입하고 손에서 흘러나오는 한국말이 어떠한 결인가를 하나씩 짚으면서, 우리 생각이나 마음이나 뜻을 어느 만큼 펴는가를 살피면 좋겠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전라도닷컴> 2019년 8월호에 실었습니다.


..


숲에서 짓는 글살림

35. 가시버시


  제가 여덟아홉 살 무렵이던 어린 날은 1980년대 첫무렵입니다. 이즈음 할아버지 할머니 가운데 ‘남녀칠세부동석’ 같은 말을 읊던 분이 있었어요. 또래끼리 가시내이든 사내이든 섞여서 놀면 몹시 못마땅하다면서 서로 갈라야 한다고 나무라곤 했습니다.


  가만 보니 할머니는 으레 할머니끼리만 어울리고, 할아버지는 할아버지끼리만 어울리더군요. 이런 흐름은 배움터에서 고스란히 드러나, 여느 때에는 가시내랑 사내를 안 가리고 잘 놀다가도 ‘가시내 쪽’하고 ‘사내 자리’로 가르기 일쑤였어요.


  ‘여자 쪽’에서는 더러 ‘남녀’란 말이 안 내킨다고, ‘여남’이라 말해야 한다는 소리가 불거졌습니다. 이런 말을 듣고 보니 고개를 끄덕일 만해요. 여느 어른은 으레 ‘아들딸’이라고만 말합니다만, ‘딸아들’이라 말해도 되는데 말이지요.


딸아들 : x

아들딸 :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여남 : x

남녀(男女) : 남자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이쯤에서 국립국어원 낱말책을 뒤적이겠습니다. 나라에서 내놓는 낱말책을 보면 ‘아들딸’만 올림말입니다. ‘딸아들’이란 낱말은 없어요. 한자로 ‘여남’은 없고 ‘남녀’만 올림말로 있어요. 이 대목이 옳지 않다고 여겨서 따진 적 있는데, 아직 국립국어원에서 아무 대꾸를 하지 않습니다.


  어릴 적에 둘레 어른들한테 ‘남녀’를 가리키는 우리말은 없느냐고 곧잘 여쭈었습니다. 이때에 마땅하다 싶게 대꾸해 준 분이 없어요. 이러다가 열한 살 즈음이지 싶은데, 그때 길잡이(교사) 한 분이 이모저모 한참 알아보시고는, ‘남녀’를 가리키는 우리말은 못 찾았지만 ‘가시버시’라는 낱말은 있다고, 남녀는 아니고 부부를 가리키는 낱말이라고 알려준 적 있습니다.


가시버시 :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

부부(夫婦) : 남편과 아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내외·부처·안팎·이인·항배


  국립국어원 낱말책을 다시 살핍니다. ‘가시버시’는 낮춤말로 여깁니다. 이 대목을 그러려니 하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만, ‘부부’ 뜻풀이를 보며 고개를 갸웃할밖에 없습니다. ‘안팎’이란 낱말은 ‘내외’란 한자말을 그대로 풀어낸 낱말일 텐데, 일본을 거쳐 들어왔다고 여길 만합니다. 일본에서는 두 곁사람 가운데 사내 쪽은 ‘주인’으로, 가시내 쪽은 ‘내자’라는 한자말로 가리키곤 합니다. ‘바깥사람·안사람(아내)’은 모두 일본말씨에 물들어 퍼졌다고 할 만해요.


  새삼스레 따질 노릇이라고 여겨요. 예전에 이 땅에서 한자를 쓴 이는 매우 드뭅니다. 이들은 모두 힘바치(권력자)나 글바치(지식인)인데 0.01퍼센트가 안 되었어요. 99.99퍼센트에 이르는 이들은 손수 흙을 일구고 옷밥집이란 살림을 스스로 지어서 누린 수수한 시골사람이에요. 예부터 거의 모든 사람들은 수수한 우리말인 사투리를 썼어요.


  간추려 본다면, ‘가시버시’는 오래된 우리말입니다. 아주 오랫동안 쓰던 낱말이요, 힘바치하고 글바치가 중국말을 섬기면서 마치 낮춤말이라도 되는 듯 깎아내리거나 짓밟느라 밀려난 낱말입니다.


 가시버시 : 가시 + 버시


  낱말을 뜯어 볼게요. ‘가시 + 버시’이니 ‘가시버시’입니다. ‘가시’는 누가 보아도 ‘가시내’를 가리키는 이름인 줄 알 테지요? ‘가시 + 버시’ 얼개라서, 겉모습만 보고 문득 ‘뾰족하게 찔리는 가시’를 떠올릴 분이 있지 싶은데요, 그 결도 틀림없이 이 낱말에 깃듭니다만, 더 뿌리를 캐 보겠습니다.


 (가시 = 가시내) + (버시 = 벗) = 가시버시(갓이 + 벗이 = 갓 + 벗)


  ‘가시내·사내’에서 ‘내’는 ‘네’처럼 사람(집)을 가리키는 자리에 붙이는 말입니다. 밑말은 ‘가시’요, 이는 ‘갓’ 꼴로 씁니다. 사내를 가리키는 ‘버시’도 이와 같아서 ‘벗’ 꼴로 쓰기 마련입니다. ‘동무’하고 맞물리거나 비슷하지만 다른 ‘벗’이라는 낱말이 으레 어떤 사람을 가리키는가를 아스라이 예전 살림자리에서 되새기면 좋겠습니다. ‘동무’라는 낱말은 가시내랑 사내를 가리지 않고 쓰던 말이라면 ‘벗’이라는 낱말은 으레 사내끼리 사귀는 사이에서 쓰던 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이다음으로 ‘갓’은 두 갈래 쓰임새가 있는데, 첫째는 ‘메·봉우리’입니다. 이른바 ‘산(山)’을 가리키는 낱말이에요. ‘멧갓’이라고도 쓰는데, 봉우리가 어떤 모습인지 그려 보셔요. 아래쪽은 펑퍼짐하게 넓으나 위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마침내 뾰족한 꼴입니다. 이러한 꼴을 따서 머리에 얹는 것을 두고도 ‘갓’이라 했고, 요새는 한자말 ‘모자(帽子)’를 쓰곤 합니다만, 해를 가리려고 머리에 쓰는 것을 ‘해가림갓’이라 할 만해요. 아무튼 ‘갓’ 하면 으레 조선이란 나라에서 나리(양반)가 쓰던 것만 떠올리는 분이 많으나, 머리에 쓰면 다 갓이라 했어요. ‘삿갓’이란 낱말은 아직 그대로 남았어요. 자, 이러다 보니 ‘갓·가시’가 얽혀, ‘가시 = 뾰족하다’로도 쓰임새가 이어갑니다.


 가시내는 멧갓


  그런데 생각해 보셔요. 오랜 텃말인 ‘가시버시’는 가시내를 앞에 놓은 이름입니다. 눈치를 채셨을까요? ‘버시가시’가 아니라 ‘가시버시’라 했어요. ‘가시집·가시어머니·가시아버지’ 같은 이름이 있는데요, ‘가시 = 뾰족함’이 자꾸 떠오른다면 ‘갓집·갓어머니(갓어미·갓어매)·갓아버지(갓아비·갓아배)’처럼 쓸 만합니다. 높다란 봉우리를 떠올리면서, ‘가시내(갓) = 봉우리’로 바라보는 마음으로 이 낱말 ‘가시버시’를 쓸 만하지요. 그래서, 이 낱말을 살짝 줄여 ‘갓벗’이라 해보아도 어울립니다.


  갓집이 있으니 ‘벗집’이 있고 ‘벗어머니(벗어미·벗어매)·벗아버지(벗아비·벗아배)’가 있습니다. 우리가 즈믄 해를 쓰던 낱말을 헤아리면 좋겠어요. 아니 오만 해나 십만 해를 쓰던 말씨를 되새기면 좋겠어요.


  그런데 있지요, 사내하고 가시내를 가리키던 이름을 파헤치노라면 ‘머스마·머시매’는 ‘머슴’하고 이어지는 고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다 한뿌리인 말입니다. 일을 도맡아 하는 사내를 따로 ‘머슴’이라 했어요.


[숲노래 낱말책]

갓벗(가시버시) : 가시내하고 사내(머스마·머시매)를 아우르는 이름. 가시내하고 사내를 함께 가리키기도 하고, 둘이 짝을 맺어서 함께 살림을 짓거나 살아가는 사이일 적에 가리키기도 한다. 갓(가시)은 ‘가시내’를, 벗(버시)은 ‘사내’를 나타내는 이름이다.


  앞으로 우리 낱말책은 뜻풀이를 싹 손질해야지 싶습니다. 오랜 우리말을 낮추는 낡은 버릇을 치워내야겠고, 말이 흘러온 자취하고 뿌리하고 결을 제대로 살려서, 오늘날 새롭게 북돋아서 쓰는 길을 밝히기도 해야겠다고 느낍니다.


  ‘갓벗’이라 하면 단출하면서도 뜻이 확 드러납니다. 무엇보다 ‘남녀칠세부동석’ 같은 낡은 틀은 이제 치울 노릇이라고 생각해요. 갓님하고 벗님이 슬기롭게 어울리면서 살림을 사랑으로 짓는 길을 가르치고 배우고 나누고 노래할 노릇이지 싶습니다. 벗님하고 갓님이 서로 곁에 돌볼 줄 아는 님으로, 곁님으로서 보금자리를 살찌우는 새로운 숨결로 거듭나도록 말 한 마디에 싱그러이 손길을 보태면 좋겠습니다.


  어제는 ‘갓이’랑 ‘벗이’가 수수하게 만났다면, 오늘은 ‘갓님’하고 ‘벗님’이 어깨동무하는 웃음으로 마주합니다. 그리고 우리말 ‘가시버시’는 가시내(순이)를 앞에 놓고 사내(돌이)를 뒤에 놓습니다. 우리말은 예부터 가시내를 멧갓처럼 섬겼습니다. 우리 살림살이를 담은 쉬운 우리말을 쓰면 어깨동무(성평등)로 저절로 나아가게 마련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전라도닷컴> 2019년 6월호에 실은 글입니다.

이제 9월호 글을 한참 여미는데

문득 떠올라서 뒤늦게 걸쳐놓습니다.


..


숲에서 짓는 글살림

34. 타다



  몇 살 적 일인지 떠오르지 않지만 꽤 어릴 적이었습니다. 한창 부엌일로 바쁜 어머니가 저를 부릅니다. 두 손 가득 반죽이 묻은 어머니는 입으로 저한테 심부름을 시킵니다. “저기, 밀가루 좀 가져와.” 어머니 말대로 밀가루 담긴 자루를 찾습니다. 문득 어머니가 한 마디 보탭니다. “새것 타지 말고, 쓰던 것 옆에 있어.”


  우리는 입으로 말할 적에 임자말을 으레 건너뛰고, 꾸밈말도 잘 안 넣게 마련입니다. 글로만 적어 놓는다면 “새것 타지 말고 쓰던 것 옆에 있어”라 할 적에, 사이에 쉼표조차 안 넣으면 도무지 뭔 소리인가 알쏭달쏭할 만합니다. 그러나 입으로 말할 적에는 높낮이랑 밀고당기기를 하면서 소리를 내니, 이 말을 곧장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어머니가 저한테 심부름을 시킨다면서 살짝 곁들인 한 마디 ‘타다’는 아마 그때 그 자리에서 처음 들은 낱말 쓰임새였을 테지만, 마음에 깊이 남았습니다.


타다 1 ← 화재, 연소, 소각, 전소, 발화, 변하다, 변색

타다 2 ← 승차, 탑승, 등산

타다 3 ← 연주

타다 4 ← 선천, 태생, 선천적, 수령, 수취

타다 5 ← 조합, 혼합, 배합

타다 6 ← 부착, 영향, 당하다

타다 7 ← 분리, 개봉, 절개, 절단


  낱말책을 살피면 ‘타다’라는 우리말이 여러 갈래로 나옵니다. 우리는 그냥그냥 ‘타다’를 말하면서 살아갈 테지만, 막상 ‘타다’는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런 ‘타다’가 있고 저런 ‘타다’가 있어요. 소리도 모습도 같으나 쓰임새나 뜻이나 결이 사뭇 갈리는 온갖 ‘타다’가 있습니다.


  “새것 타지 말고”라 이야기한 어머니는 ‘타다 7’, 그러니까 ‘새것을 뜯지 말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자말로 하자면 ‘개봉’쯤 되겠지요.


  어머니 심부름말을 듣고서 얼마 지나지 않아, 흥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때에 “박을 타는” 대목이 나와요. 어릴 적에는 이 이야기를 들으며 ‘타다’라는 낱말을 썩 대수로이 여기지 않고 지나갔습니다. 이러다가 아이들하고 모깃불을 태우면서, 또 아이들하고 시골버스를 타고 읍내로 저자마실을 다녀오면서, 아이들은 어떤 ‘타고난’ 아름다운 빛으로 우리 보금자리를 밝히는가 하고 생각하면서, 또 아이들이 가락틀(악기)을 ‘타’면서 저마다 싱그러이 노래를 베푸는가 하고 즐기면서, 또 아이들하고 매실물을 누리는 이 여름에, 게다가 “여름을 타”고 “가을을 타”고 “흐름을 타”는 우리 삶을 곱씹다가, 이 ‘타다’가 참 재미나구나 하고 깨달아요.


 타고 타고 타고


  불이 나기에 탑니다. 버스에도 비행기에도 탑니다. 때로는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꿈을 꿉니다. 제 등에 탄 아이들은 키가 커졌다면서 까르르 웃습니다. 찻물을 그릇에 타서 마시고, 우리 아이들은 저한테서 돈을 타서 씁니다.


  이것 참, 이 ‘타다’라는 낱말은 어느 자리 어느 살림에서 비롯했을까요. 오래되었으면서도 새롭게 쓰임새를 넓히는 이 낱말에는 어떤 힘이, 숨결이, 사랑이, 꿈이, 이야기가, 땀방울이, 눈빛이, 즐거움이, 보람이, 웃음하고 눈물이 서렸을까요.


 타는문 ← 승차문

 타고내리는문 ← 승하차문


  아직 국립국어원 낱말책에는 ‘타는문’ 같은 낱말이 안 실립니다. 우리가 눈여겨볼 수 있다면, 이제 어디를 가나 버스 앞쪽에 ‘타는문’이란 낱말이 적힌 모습을 알아챕니다. 참말로 버스마다 ‘타는문’이나 ‘내리는문’이라 적힌 지 오래되었어요. 이런 말씀씀이는 누가 시켜서 퍼지거나 자리잡지 않았습니다. 버스를 모는 일꾼들 손길에서, 버스를 타고내리는 사람들 마음길에서, 저절로 태어나서 시나브로 뿌리를 내리는 말씨입니다.


  ‘타는문’이란 낱말처럼 ‘타는곳’이란 낱말도 제법 가지를 뻗습니다. 기차나 시외버스를 타러 갈 적에 알림말로 으레 ‘타는곳’ 같은 말을 씁니다. 아직 ‘승강장’ 같은 한자말이나 ‘플랫폼’ 같은 영어로 알림말을 쓰는 데가 있기도 하지만, ‘타는곳’이란 말을 한결 널리 쓰는구나 하고 느껴요.


 타는곳 ← 승강장, 플랫폼


  ‘타는’을 두고 더 생각해 볼게요. 부릉이(자동차)를 타는 분들은 으레 “타는 맛이 있어야지.”처럼 말하곤 합니다. 똑같은 뜻으로 “승차감이 있어야지.” 하고도 말합니다.


 타는맛 ← 승차감


  말을 새로짓는 일이란 쉽습니다. 말을 하는 그대로 우리 삶을 드러내는구나 하고 느끼면서 즐겁게 주고받으면 되어요.


  이제는 버스마다 ‘타는문·내리는문’이라 글씨를 적어 넣습니다만, 처음에 이 글씨를 적어 넣을 적에 못마땅하게 여기거나 안 어울린다고 여긴 분이 제법 있는 줄 압니다. 쉬운 우리말을 쓰면 오히려 헷갈리거나 어렵다고 하는 목소리가 예전에 있었어요.


  그러나 이제는 ‘타는곳’ 같은 말까지 어느새 번집니다. 흐름을 타지요. 쉽게 말을 하고 글을 적으니 그야말로 쉽고 좋다고 느끼는 바람을 타지요. 어린이랑 할머니 할아버지가 다같이 알아들을 만한 쉬운 말씨를 헤아리면서 쓰노라니, 참으로 즐겁고 어울리며 아름답네 하고 느끼는 기운을 탑니다.


 타는길 눈타기


  ‘타는맛’처럼 ‘타는멋’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타고다니면서 ‘타는길’을 찾을 수 있고, 톱질을 하거나 칼질을 할 적에 ‘타는길’을 꼼꼼히 헤아릴 수 있습니다. 매실을 설탕에 절이든 온갖 풀을 설탕에 절이든, 이렇게 절여서 물에 타서 누리는 마실거리를 놓고서 ‘타는길’을 생각할 수 있어요.


  아이들은 말타기를 즐깁니다. 말을 타서 ‘말타기’라면, 자동차를 타면 ‘차타기’가 되겠지요. 자전거를 타면 ‘자전거타기’입니다. 바람이나 물을 타면 ‘바람타기’나 ‘물타기’가 되어요. ‘물타기’란 말은 또 다른 곳에서도 재미나게 쓰지요.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은 ‘물살타기’를 잘 하는 셈입니다. 그러고 보면 널빤을 바닷물에 얹어 ‘물결타기’를 하고, 겨울에는 ‘눈타기(눈길타기)’를 하면서 놀아요. 바다에서도 물결타기를 하지만, 여럿이 어깨동무를 하며 ‘물결타기’를 하면서 놀 수 있어요.


 마음타기


  옷살림을 건사하던 어른들은 솜을 탔고, 실을 탔습니다. 어른들 곁에서 ‘타는’ 모습을 지켜보고, 손놀림을 어깨너머로 배웁니다. 이러면서 어른들이 삶자리에서 조곤조곤 나누는 말을 온마음으로 배웁니다.


  우리 손을 타면서 살림이 정갈합니다. 책 하나는 여러 사람 손을 타면서 빛이 납니다. 책숲(도서관)뿐 아니라 숱한 마을책집이며 헌책집은 사람들 손을 타는 책에 사람들 마음도 눈길도 타도록 징검돌이 되는, ‘마음타기 쉼터’인 셈입니다. 네 손길을 타고 이곳에 온 책은 제 손길을 타면서 아이들한테 흐릅니다. 이 흐름을 타고서 온갖 이야기가 자랍니다.


  이제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올라 볼까요. 저 별빛을 타고서 머나먼 별누리로 마실을 떠날까요. 우리 눈을 타고 이곳에서 싹이 튼 이야기 한 자락이, 여러 사람들 손길을 타고서 골골샅샅 퍼집니다. 작은 씨앗 한 톨은 숱한 새랑 풀벌레를 타고서 곳곳으로 흩어집니다. 저는 이 글자락에 제 걸음걸이를, 하루를, 살림꽃을 곱게 태워서 띄웁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라도닷컴> 2019년 6월호에 실은 글입니다.


+ + +


숲에서 짓는 글살림

33. 공놀이 좀 해볼랑가



  어릴 적에 살던 마을은 야구장하고 가까웠습니다. 저녁에 야구장에 불빛이 환하면 우리 마을에서도 알아볼 수 있었고, 때로는 야구장에서 들리는 우렁찬 소리를 들을 수 있었어요. 대단했어요. 다만, 제가 나고 자란 마을은 전라도 아닌 인천입니다. 제가 늘 지켜본 야구장에는 ‘삼미 슈퍼스타즈’라고 하는 이름으로, 늘 꼬래비에서 허덕이며 ‘언제 안 지는 모습을 볼 수 있나’ 싶은 기운이 흘렀습니다.


  오늘 저는 전라도에서 아이들하고 살아가는데요, 고흥 시골마을에서 야구를 보는 분은 없지 싶습니다. 괭이자루는 잡아도 공 치는 방망이를 잡을 일이 없겠지요. 그래도 인천에서나 전라도에서나 공을 치고받는 놀이를 바라보는 눈길은 매한가지라고 느끼면서 “자네, 공놀이 좀 해볼랑가?” 이야기를 적어 볼까 싶습니다.


 공을 치니께 야구요


  어릴 적을 떠올리면, 아무리 야구장 곁 골목집이나 기찻길집에 살던 동무라 해도 야구를 모를 수 있습니다. 이런 말이 오가지요. “야, 넌 야구도 모르냐? 야구장 옆에 살면서?” “야구가 뭔데?” “아이구 참, 공을 던지면 치는 거.” “공을 던지면 치는 게 야구라고? 그럼 공치기이네.” “‘공치기’하고 ‘야구’는 다르지.” “공을 친다면서? 공을 치면 ‘공치기’이지, 그게 뭐야.”


  생각해 보면 그래요. ‘야구’는 ‘野球’라는 한자로 적는데, 일본사람이 옮긴 한자말이겠지요. 영어로는 ‘baseball’이에요. 영어하고 한자말은 결이 다르지요. 영어라면 ‘깔개(base) + 공(ball)’이고, 한자말이라면 ‘들(野) + 공(球)’입니다. 어째 좀 엉성한 이름 아닐까요? 오늘날 우리는 그냥그냥 쓰지만, ‘공치기’라든지 ‘들공’이나 ‘들공놀이·들공치기’라 할 만도 하겠습니다.


 던지니께 투수요


  야구를 모르는, 그렇지만 ‘공치기’인 줄 알겠다는 동무를 불러서 한판 끼우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놀이를 하자면 사람을 채워야 하거든요. 꽤 많이 있어야 합니다. 적어도 두 쪽으로 갈라 아홉씩, 모두 열여덟은 있어야 합니다. 이때 또 이런 말이 오갑니다. “근데 어떻게 하냐?” “어떻게 하긴, 투수가 던지면 타자는 쳐.” “‘투수’는 뭐고, ‘타자’는 뭐냐?” “참 나, 하나도 모르는구나. ‘투수’는 던지는 사람이고, ‘타자’는 치는 사람이야.” “뭔 말인지 모르겠지만, 던지는 사람이 던지고, 치는 사람은 친다는 소리이네?” “그래, 투수가 던지면 포수가 받지.” “‘포수’는 또 뭐냐?” “포수는 받는 사람이야.” “야, 무슨 공놀이를 하는데 이렇게 말이 어렵냐? 도무지 못 하겠다.”


  웃기자고 늘어놓는 말이 아닙니다. 참말로 이런 이야기를 한 적 있습니다. 야구장 옆에 살지만 야구에는 도무지 마음이 없는 동무를 데려와서 끼우려니 참으로 골이 아파요. 아니, ‘공격·수비’란 말도, ‘1루·2루·3루·홈’이란 말도, ‘스트라이크·볼·포볼·아웃·세이프’라는 말도, 공치기가 낯선 동무한테는 모두 어질어질할 뿐입니다.


  문득 생각에 잠깁니다. 동무 말이 틀리지 않아요. 던지는 사람이라면 ‘던짐이’라 하고, 받는 사람이라면 ‘받는이’라 할 만합니다. 치는 사람은? ‘침이’는 좀 엉성하고, ‘때림이’쯤이면 어울릴까요?


 죽었나 살았나


  공을 치고받는 놀이를 처음 하려는 동무하고 나란히 앉아서 지켜보기로 합니다. 같이 지켜보면서 하나하나 짚어 주고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얼른 ‘송구’해!”란 말을 듣더니 ‘송구’는 또 뭐냐고 묻습니다. “‘던지라’는 뜻이야.” “던져야 하면 ‘던지라’고 하면 되지, 왜 이렇게 어렵게 말하냐?”


  타자, 아니 때림이가 방망이를 휘두릅니다. 누구는 ‘방망이’라 하고, 누구는 ‘배트’라 합니다. 섞인 두 말을 들은 동무는 또 묻지요. “‘방망이’는 뭐고, ‘배트’는 뭐냐?” “응, 둘 다 같은 걸 가리키는 말이야.” “같은 거라면서 왜 말이 다르냐구?” “그게, 하나는 영어이고, 하나는 우리말이야.” “뭔 공을 치는 놀이를 하면서 영어까지 다 써야 하냐. 우리말로는 못 하냐?” “난들 아니. 텔레비전을 보면 다들 두 가지 말을 써.”


  드디어 깡 소리가 나면서 공을 때립니다. 또는 칩니다. 통통 튀는 공을 받아서 던집니다. 어린이끼리 하는 공치기이니 으레 옥신각신합니다. “세잎이야!” “아니 아웃이야!” “아니야, 세이프라고!” “세잎!” “아우트!” 동무는 또 묻지요. 어쩔 수 없습니다. 어린이로서 ‘세입·세이프·세잎’하고 ‘아웃·아우트’란 말이 섞입니다. 게다가 “살았어!” “죽었어!” 같은 말도 섞여요. 동무가 묻기 앞서 손부터 살레살레 젓습니다. “공을 쳤으면 저쪽에 깔아놓은 천조각을 빨리 밟아야 해 …….”


 왼날개도 오른날개도 어지러워


  가만 보니 야구라 하는 공치기에 동무를 섣불리 끌어들일 수 없구나 싶습니다. 어쩐지 동무한테 미안합니다. 공을 쳐서 하늘로 뜨면 ‘뜬공’일 텐데 ‘플라이볼’이라고들 합니다. 공을 쳐서 땅을 구르면 ‘구름공(구르는공)’이나 ‘땅공’일 텐데 ‘땅볼·바운드볼’이라 합니다.


  저절로 한숨이 나옵니다. ‘포볼·볼넷’이라 섞어 쓰는 말도, 또 “들어왔어!” “안 들어왔어!” “스트라잌이야!” “볼이야!” 하고 섞어 쓰는 말도, 이밖에 이런저런 때에 쓰는 요런조런 말을 놓고서 머리가 핑핑 돕니다.


  같이 야구, 아니 공치기를 하던 동무들한테 미안하다고 말하고서 먼저 일어나기로 합니다. 야구장 옆에 살지만 야구를 모르는 동무를 집에 데려다주기로 합니다. 둘이 터덜터덜 걸으며 조용합니다. 할 말이 없더군요. 저는 다른 동무들하고 으레 공치기를 했던 터라 공치기에서 쓰는 온갖 말이 어떤 말인지 깊이 생각해 보지 않고서 그냥 썼어요. 어른들이 쓰는 말을 고스란히 따라서 썼지요. 바른 말 그른 말을 떠나, 한국말이냐 아니냐를 떠나, 왜 어떤 뜻으로 그 자리에 쓰는가를 제대로 짚는다거나 헤아린 적이 없구나 싶더군요.


  서로 처음 맞붙을 적에 외치던 ‘플레이 볼!’도, ‘좌익수·중견수·우익수’가 뭔지 풀이해서 알려주려던 말도, 어떤 어른이 왜 이런 이름을 붙여서 쓰는가를 참으로 그때까지 생각한 일이 없다고 새삼스레 깨달았습니다. 어른들이 그냥 쓰는 말을 멋모르고 따라하면서 ‘전문 야구용어를 쓰니까 멋지다’는 마음, 이른바 겉치레에 빠져들고서 겉치레인 줄 몰랐구나 싶었어요.


 ‘체육’은 뭘까?


  학교에 ‘체육(體育)’이란 이름인 수업이 있습니다. 학교에 ‘운동장(運動場)’이란 이름인 너른터가 있습니다. 학교를 다니며 이런 이름을 곧이곧대로 외워서 쓰기만 했습니다. 가만 보면, 교사인 어른 가운데 이런 이름을 제대로 풀이해서 들려준 분은 없었지 싶습니다. 어른들도 다른 사람들이 지어 놓은 이런 말을 그냥그냥 따라서 쓸 뿐입니다.


  몸을 가꾸거나 기른다면 ‘몸가꾸기’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을까요? 움직이는 곳이라면 ‘움직마당’ 같은 이름을 붙일 만할까요? 학교에서는 ‘몸가꾸기’라든지 ‘놀이마당·어울림마당’ 같은 이름으로 쉽게 고쳐서 쓸 수도 있습니다. 이른바 전문말이라 하더라도 전문꾼 자리에 선 사람끼리 알아들을 말이 아닌, 전문꾼 아닌 자리에 있는 여느 사람 누구나 곧장 알아들으면서 어깨동무할 만한 말을 새롭게 생각하고 살펴서 하나씩 보듬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길이름(도로명)으로 사는터(주소) 이름을 바꾸었는데, ‘광주’란 이름도 ‘빛고을’로 바꿀 수 있을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