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7.


《그곳에 가면 그 여자가 있다》

 김현아 글, 호미, 2008.3.20.



한겨울답게 새삼스레 똑 떨어진 날씨이다. 조금씩 일찍 찾아드는 새벽에, 조금씩 늦게 찾아오는 저녁이다. 아침에는 작은아이가 국을 끓이고, 저녁에는 숲노래 씨가 국을 끓인다. 오늘은 《안 뜨려는 배》라는 책에 나오는 옮김말씨가 어떻게 얄궂기에 어떻게 추슬러서 우리말씨로 살릴 수 있는지 들려준다. 밤에 별이 가득하다. 고요하다. 《그곳에 가면 그 여자가 있다》를 되읽었다. 갈수록 되읽는 책이 늘어난다. 새로 쏟아지는 책이 많다만, 책집마실을 하다가 들출 적마다 고개를 잘래잘래 젓는다. 누구나 말을 하고 글을 쓰고 책을 여밀 수 있는 이토록 아름답고 멋진 나날인데, 삶이나 살림이나 사랑이 아닌, 오롯이 미움과 불길과 짜증과 싸움질을 쏟아내는 꾸러미가 너무 많다. 큰고장에서 시골집으로 돌아가는 머나먼 길에 고요히 생각에 잠겨 보는데, 풀꽃나무에 들숲바다를 늘 품는 수수한 하루하고 너무 먼 나머지, 악다구니로 치달을밖에 없겠구나 싶더라. 책도 배움터도 없던 지난날에는 누구나 어깨동무하면서 오순도순 얼크러지는 삶에 살림에 사랑이 피어났다. 책과 배움터가 흘러넘치지만, 오히려 사랑하고 등지는 미움과 갈라치기가 판친다. 책은 목소리가 아니다. 책은 스스로 짓는 참살림을 참사랑으로 녹인 참말일 노릇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6.


《새 식구》

 이원수 글·이태수 그림, 우리교육, 2011.4.15.



오늘부터 두 아이하고 “우리집 글눈뜨기”를 편다. 배움마당에 갈 적에는 그곳 어른이나 어린이 모두하고 말길을 트느라 한두 가지를 이야기하고 그친다면, 두 아이하고 ‘글눈뜨기(문해력 수업)’를 하니 쑥쑥 나아간다. 석 나절 동안 펼 이야기를 토막 나절(1시간) 만에 들려주었다. 받아먹으려는 눈망울을 느끼면 어떤 이야기이든 한달음에 쑥쑥 물려주는구나 싶다. 어버이는 지게 한 바리를 기꺼이 베풀면서 새로 지게 두 바리를 지는 일꾼이라고 느낀다. 오늘 밤별은 초롱초롱하다. 시골밤빛이 돌아왔다. 《새 식구》를 오랜만에 되읽었다. 단출하게 여민 꾸러미에는 조촐하게 남기는 이야기가 흐른다. 요새는 어린이한테 들려주는 글을 쓰는 분이 부쩍 늘었으나, 거의 모두라 여길 만한 글을 아이들한테 왜 읽히는지 잘 모르겠다.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을 밝히고 꿈을 지피면서 숲을 품는 길을 들려주는 글은 없다시피 하다. 웬만한 글은 “서울에서 살아남기”가 바탕이더라. 아이들한테 “이렇게 해야 한다”고 외치는 글이 넘친다. 어른이자 어버이로서 “나부터 이렇게 살아가고 사랑한단다” 하고 속삭이는 글을 찾기 어렵다. 아이들은 배움터 아닌 마을하고 집하고 들숲바다에서 오래오래 하루를 누릴 적에 비로소 사람빛을 익힌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5.


《해협, 한 재일사학자의 반평생》

 이진희 글/이규수 옮김, 삼인, 2003.9.20.



큰아이가 아침 일찍 부엌을 비질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걸레를 빤다. 아이 곁에서 마루를 훔친다. 빗자루가 지나간 자리는 걸레가 지나간다. 둘이서 바지런히 쓸고닦는다. 마루를 환하게 치운 뒤에는 몸을 씻고서 빨래를 한다. 마루깔개는 묵직하기에 석벌빨래를 한다. 등허리를 톡톡 두들기며 마당에 서자니 “꽉꽉! 끼룩끼룩!” 노랫가락이 퍼진다. 두리번거리다가 하늘을 보니, 우리 집 위로 오리떼가 둘 ‘ㅅ’을 그리며 날아간다. 쉰 마리쯤 된다. 낮 15시에 둘이서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오늘은 유난히 부릉부릉 넘친다. 시골에 갈수록 사람은 줄고 쇳덩이는 는다. 《해협, 한 재일사학자의 반평생》을 한 자락 더 장만해서 새로 읽는다. 푸름이한테 읽힐 책을 꼽아 달라고 묻는 이웃님이 있으면, 첫째로 《아나스타시아 1∼10》을 들고, 《우리 마을 이야기 1∼7》을 둘째로 들고, 《해협》을 셋째로 든다. 어른이 읽기에도 속이 깊고, 푸름이가 우리 삶자락과 푸른별을 고루 헤아리는 눈썰미를 다스리는 길잡이로 삼기에 넉넉하다. ‘어른’이란 이름을 듣고 싶다면, 글을 쓴 이진희 님처럼 이야기를 여밀 줄 알면 된다. 들풀 한 포기를 헤아리면 된다. 들꽃 한 송이를 바라보면 된다. 아름길은 늘 우리 마음자락에서 길어올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4.


《평화발자국 19 풀》

 김금숙 글·그림, 보리, 2017.8.14.



지난해 끝무렵부터 ‘글빛노래’라는 이름으로 노래꽃을 새로 쓴다. 글쓰기를 어떻게 하면 즐거울까 하는 이야기를 노래로 여민다. 글쓰기란, 숲살림하고 같다. 글읽기란, 아이 마음을 읽는 눈빛이랑 같다. 글짓기란, 사람으로서 이 별에서 사랑할 길을 찾는 몸짓하고 같다. 숲을 품듯 글을 쓰면 아름답다. 아이를 돌보는 손길로 글을 읽으면 속내를 환히 알아본다. 이 별에서 어깨동무하는 이웃을 그리는 길을 열기에 언제나 스스로 눈부시도록 이야기를 여민다. 《평화발자국 19 풀》을 읽고서 한숨을 쉬었다. ‘꽃할머니’를 ‘그림감’으로 삼을 뿐, 오늘 이곳에서 우리가 읽을 발자취에다가, 어제 우리가 잊은 눈물에다가, 앞으로 우리가 일굴 숲길을 하나도 못 잇는구나. 왜 이렇게 서둘러서 ‘만화 작품’으로 선보이려고 하는가? 꽃할머니 이야기뿐 아니라, 온누리 모든 멍울과 눈물꽃 이야기는 더 찬찬히 삭히고 돌아보고 추스르면서 하나씩 내놓을 일이다. 마감에 치이고 바빠서 헐레벌떡 슥슥 그려내는 붓이라면, 아이들한테 뭘 보여줄 수 있겠는가? 무엇을 하는 하루인지 생각하자. 조용하면서 매캐한 하늘빛을 바라보자. 멧새를 보고, 멧새노래를 들으면서, 우리 마음밭부터 달래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3.


《당신이 바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고미 타로 글·그림/황진희 옮김, 시공주니어, 2020.2.20.



도화초등학교에 어김없이 ‘취학유예신청서’를 내러 간다. 올해 열네 살 작은아이가 “교과서 그림이 너무 엉성하다”고 얘기한다. 요새는 하도 배움책을 안 보기에 눈을 끌려고 이렇게 엮는구나 싶으나, 오히려 어지러우니 더 볼거리가 없다고 느낀다. 2011년 무렵에는 200쯤이던 시골 어린배움터인데, 2024년에는 마흔 밑이다. 시골을 떠난 어린이는 모두 서울로 갔을까? 시골은 왜 어린이가 남으려 하지 않을까? 시골이 오래오래 이으려면, 시골에서 나고자라는 아이가 이 고장에서 자란 다음에 사랑으로 짝을 맺어서 오롯이 사랑으로 아이를 낳는 살림을 수수하게 짓고는, 새 아이들이 새롭게 하루를 그릴 수 있어야 한다. 온나라 ‘인구소멸대책’은 하나같이 엉터리이다. 《당신이 바라는 것은 무엇입니까?》를 곱씹는다. 스스로 어떤 꿈으로 하루를 살아가는지 어린이랑 손을 맞잡고서 생각해 보자는 뜻을 느긋이 들려주는 얼거리이다. 나라가 살려면 ‘아무 그림책’이 아닌, ‘아름다운 그림책’을 같이 읽어야지 싶다. ‘이름난 책’이 아닌 ‘아름다운 책’을 손에 쥐고서 되읽을 적에 비로소 마을도 나라도 산다. 무엇보다도 우리 스스로 사람답게 사랑을 하려면, 스스로 아름글을 쓸 일이고, 이웃이 쓴 아름글을 챙겨 읽으면 된다.


#きみののぞみはなんですか #GomiTaro #五味太郞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