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24 이름값 이야기꽃



  글은 이름값으로 쓰지 않습니다. 글은 언제나 이야기꽃으로 씁니다. 누가 쓴 글이냐는 대수롭지 않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다루었느냐가 대수롭습니다. 이 글을 어디에 실었느냐도 대단하지 않아요. 이 글이 무슨 이야기를 짚느냐를 눈여겨볼 노릇입니다. ‘마을사람 아닌 구경꾼’ 눈이라면 마을 이야기가 아닌 뜬금없는 글이 될 테지요. ‘마을책집으로 책을 장만하러 나들이를 하지 않은’ 몸짓이라면 오늘날 마을마다 새롭게 여는 조촐한 책집이 어떤 몫을 하는가를 못 헤아리는 글이 될 테고요. 이제는 아저씨 아줌마에 어린이 할머니 할아버지 누구나 글을 쓰는 터전입니다만, 아직 숱한 책은 ‘교사·교수·작가·예술가·학자’란 이름을 내건 사람들이 쏟아냅니다. 그러나 “‘교사·교수·작가·예술가·학자’란 이름을 모두 내려놓고서 ‘살림꾼’이 되어 ‘소꿉놀이’를 ‘숲’에서 하는 아이”라는 마음이어야 비로소 이야기꽃이 피어나는 글을 쓴다고 느껴요. 아이는 늘 아이로서 글을 쓸 뿐입니다. 아이는 이름값을 따지거나 내세우지 않습니다. 말밭지기(국어학자)라서 낱말책을 쓰지 않습니다. ‘학자’란 이름을 떼고 ‘삶에서 말을 배워서 나누는 마음과 눈빛’일 적에 비로소 낱말책다운 낱말책을 쓸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23 서울말



  서울에서 살면 서울말을 씁니다. 서울말을 쓸 적에는 서울이란 고장에 따라서 바라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나눠요. 시골에서 살아 시골말을 씁니다. 시골말을 쓸 적에는 시골이란 터전을 살펴서 헤아리고 맞이하고 지으면서 나눠요. 서울은 높지도 낮지도 않습니다. 시골은 낮지도 높지도 않습니다. 삶빛이 달라 말빛이 다르고, 숨빛이 새로워 글빛이 새삼스러울 뿐입니다. 서울사람은 서울이란 고장을 마음 깊이 사랑하고 아끼면서 돌보아야 서울말과 서울글과 서울책이 아름답습니다. ‘사랑’은 ‘높이기·낮추기’가 모두 아닌, 오롯이 ‘사랑’입니다. 나라말(국가표준어)이 아닌 마을말을 바라보기로 해요. 틀말(계급언어)이 아닌 살림말을 가꾸기로 해요. 오늘날은 서울이 잿빛집으로 가득하지만, 워낙 서울도 푸른숲으로 아름다우면서 사람들이 오순도순 어우러진 고장이었습니다. 집이 가득하고 부릉부릉 찻길이 넘치는 오늘날 모습이 아닌, 풀꽃나무가 그윽하면서 생각도 이야기도 살림살이도 넉넉히 나누던 사랑어린 서울빛을 그려서 서울말로 담기를 바랍니다. 시골에서는 비닐하고 풀죽임물(농약)하고 틀(기계)이 아닌, 아이들이 신나게 맨발로 뛰놀고 나무를 타는 싱그러운 놀이빛을 그려서 시골말로 노래하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22 말밑



  나무는 밑이 든든하기에 줄기를 튼튼히 올립니다. 집은 밑이 단단하기에 기둥을 탄탄히 세워 지붕을 올립니다. 사람은 마음이며 몸을 이루는 밑바탕을 어질면서 참하게 가꾸기에 삶을 즐겁게 일구면서 사랑을 곱게 펴고 누립니다.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밑뿌리가 있습니다. 뿌리 없는 나무가 없고, 바닥 없는 집이 없고, 마음 없는 사람이 없듯, 밑이 없는 말은 없어요. 먼 옛날부터 수수한 어버이는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수수한 보금자리에서 수수하게 태어나는 아이들한테 수수하게 말을 들려주면서 삶을 스스로 깨닫도록 북돋았습니다. 수수한 어버이가 살림을 지으면서 쓰던 모든 말은 숲에서 수수하게 태어났어요. 숱한 말은 수수한 눈빛으로 스스로 빚거나 엮은 삶노래라 할 만합니다. 말밑읽기란, 말밑을 이루는 삶·살림이 숲에서 깨어난 사랑으로 어떻게 노래를 이루는가를 헤아리는 길입니다. 말밑을 읽기에 말뜻을 제대로 알아차려요. 말밑을 모르기에 말뜻을 엉뚱히 넘겨짚어요. 말밑을 찾고 살피기에 말결을 곰곰이 짚으면서 말빛을 드러내지요. 말밑을 생각하며 돌보기에 “오늘을 이야기로 짓는 수수께끼를 누구나 스스로 찾아나서는 놀이요 노래인 삶을 즐거이 사랑하며 일으키는 숨결을 밝히고 빛내는 하루”로 나아간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21 추행·표절작가 글자락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김동인·모윤숙·이광수·서정주’처럼 얼룩이 널리 알려진 글꾼이 남긴 글자락을 보기글로 싣습니다. 그런데 얼룩이 잘 알려지지 않은 글꾼이 남긴 글자락도 보기글로 꽤 싣습니다. 왜 ‘얼룩글’을 실을까 하고 돌아보면, 첫째 말글지기(국어학자) 스스로 얼룩글꾼(추행작가·표절작가)하고 한통속입니다. 둘째, 얼룩글꾼한테서 배웠습니다. 셋째, 얼룩글이어도 말글지기가 그런 글을 좋아합니다. 넷째, 얼룩글이더라도 사람들이 머잖아 잊어버리리라 여깁니다. 낱말책에 보기글로 담으려면 ‘티끌도 얼룩도 없는 글자락’일 노릇입니다. 얼룩글꾼인 줄 들통났다면 얼룩글을 낱낱이 털어낼 뿐 아니라, 어떤 얼룩글을 언제 어떻게 털어냈는지 보탬말을 넣을 수 있어야겠지요. 그렇지만 ‘표절작가 신경숙’은 버젓이 새책을 선보일 뿐 아니라 책수다(북콘서트)를 다닙니다. ‘추행작가 고은’도 버젓이 새책을 내면서 고개를 뻣뻣이 듭니다. 얼룩글꾼 스스로 창피한 줄 알면 글을 못 쓸 텐데, 창피를 모르기에 지난날에는 남몰래 얼룩질을 일삼았고, 오늘날에는 뻔뻔히 글장사를 하는데, 이름난 펴냄터에서 이들을 내세워 돈벌이를 하고, 사람들은 우르르 추켜세웁니다. 글빛을 스스로 깎은 이들을 털어내야 말빛이 살아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20 사실 진실



  한글로 나온 숱한 낱말책은 “장소(場所) :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 “곳 : 공간적인 또는 추상적인 일정한 자리나 지역”, “자리 : 사람이나 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 “공간(空間) :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처럼 풀이합니다. 낱말책을 읽어서는 ‘장소·곳·자리·공간’이 무엇인지 알 길이 없고, 우리말·한자말을 아무렇게나 섞다가 그만 종잡지 못하는 넋으로 흐르지요. 한자말 ‘사실·진실’은 무엇을 가리킬까요? 쉽게 보자면 “겉모습·껍데기 = 사실”, “속모습·알맹이 = 진실”입니다. 아직 우리네 낱말책은 ‘겉모습·껍데기(올림말 늘리기+엉성한 뜻풀이)’에 갇힌 채 ‘속모습·알맹이(제대로 뜻풀이+말밑·말결 밝혀서 나누기)’가 없는 셈입니다. 말을 말다이 알려면 겉이 아닌 속을 보면서 삶을 읽고 살림을 가꾸어 사랑으로 가는 실마리를 찾아나설 노릇입니다. 낱말을 더 많이 알아야 글을 더 잘 쓰지 않습니다. 아는 낱말이 적더라도 삶을 말에 어떻게 얹어서 살림빛을 노래하는가를 읽어내어 다룰 줄 아는 사람이기에 글을 즐겁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레 씁니다. ‘모르는 말’을 찾으려고 낱말책을 들추면 늘 모를 뿐이에요. ‘배울 말’을 찾으려고 낱말책을 펴면 늘 새롭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