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곁말 96 싹눈쌀



  어릴 적에는 ‘나라쌀(정부미)’만 먹었습니다. 햅쌀(일반미)은 엄두도 못 내었습니다. 어머니는 설하고 한가위에만 햅쌀을 조금 샀습니다. 나라쌀은 여러 해를 묵힌 쌀이요, 바구미하고 바구미알이 으레 드글드글해서 해가 비추는 곳에 내놓은 뒤에 박박 문지르며 씻었고, 조리로 돌을 일어요. 나라쌀에는 바구미하고 돌이 많았습니다. 거의 씨눈까지 벗기면 흰쌀(백미)이요, 씨눈을 남기고 겨만 벗기면 누런쌀(현미)입니다. 우리 몸을 헤아리자면 씨눈이 있는 누런쌀을 먹을 노릇일 텐데, “이밥에 고기 먹고”란 옛말처럼 누런쌀보다는 흰쌀을 먹어야 좀 나아 보이는 살림이라고들 여겼어요. 요새는 누런쌀을 즐기려는 이웃님이 늘어납니다. 이러면서 싹눈을 틔운 누런쌀을 찾는 이웃님이 늘어요. 이 얼거리를 시골에서 헤아리면서 쌀 한 톨을 보듬는다면 나라살림이 아름길로 가리라 생각합니다. 겉만 반지르르한 살림이 아닌, 속에 씨눈이 있는 알찬 살림일 적에 누구나 든든하고 오붓해요. 싹이 터야 씨앗이요, 싹눈을 품어야 새해에 돋아나서 온누리를 푸르게 감쌉니다. 밥 한 그릇에 담는 숨빛도, 글 한 줄에 얹는 손빛도, 모두 새싹이요 잎싹이요 꽃싹이도록 가다듬고 돌봅니다.


ㅅㄴㄹ


싹눈쌀 (싹눈 + 쌀) : 싹·싹눈을 틔운 누런쌀. 싹·싹눈을 벗기지 않고 겉껍질만 벗긴 쌀. (= 씨눈쌀·싹누런쌀·싹눈누런쌀. ← 발아현미)


씨눈쌀 (씨눈 + 쌀) : 씨눈을 틔운 누런쌀. 씨눈을 벗기지 않고 겉껍질만 벗긴 쌀. (= 싹눈쌀·싹누런쌀·싹눈누런쌀. ← 발아현미)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2.13.

곁말 95 멋빛



  수수하게 쓰는 한 마디로 넉넉하게 마련입니다. 꾸밀 적에는 빛나지 않는 말일 뿐 아니라, 외려 빛이 바래요. 꾸미지 않고 삶을 고스란히 담기에 도리어 빛나는 말이에요. 우리가 쓰는 글은 언제나 말을 담는데, 이 말이란 바로 우리 삶이에요. 삶을 말로 풀어서 나누고, ‘말로 풀어서 나는 삶’을 남기거나 물려주려고 ‘소리를 옮긴 무늬인 글’로 담습니다. “넌 참 멋도 없구나!”라든지 “그대는 참 멋스럽군요!”라 할 적에 ‘멋’은 어떠한 결이나 뜻일까요? 사람들은 멋진 곳을 찾아가서 찰칵찰칵 담습니다. 보기에 좋거나 훌륭하거나 값지다고 할 적에 “아, 멋지네!” 하고 외칩니다. 사로잡기도 하고 끌어당기기도 하고 마음이 쏠리기도 하는 ‘멋’ 한 마디로 여러 삶을 담아낼 만한데, ‘-빛’을 살며시 붙여 봅니다. ‘-꽃’을 넌지시 달아 봅니다. ‘멋빛’을 보이며 한결 돋보이는 이웃이 있어요. ‘멋꽃’처럼 남다르게 눈부신 동무가 있어요. 어느 사람은 ‘멋별’일 테고, 어느 분은 ‘멋씨(멋씨앗)’일 테지요. ‘멋메(멋갓)’라든지 ‘멋바다’가 있으며, ‘멋구름’이나 ‘멋이슬’처럼 새록새록 마음을 실으면서 스스로 반짝일 만합니다. 우리 곁을 우리 손길로 가꾸면 멋은 시나브로 피어납니다.


ㅅㄴㄹ


멋빛 (멋 + 빛) : 멋이 나는 빛. 멋스러운 빛. 반짝이면서 무척 보기 좋은 모습. 반짝이면서 아름답게 보이는 모습. (= 멋꽃. ← 품위, 품격, 매력, 마력, 단정端整, 단아端雅, 미美, 미적美的, 미학美學, 미려, 수려, 유려, 예술, 감성충만感性充滿, 소울풀soulful, 낭만, 로망, 묘妙, 가인佳人, 재자가인, 절세가인, 군계일학, 백미白眉, 백단百端, 예禮, 예법, 예의, 예의범절, 예절, 고품격, 우아, 호사豪奢, 특산, 명물, 하이센스, 추천지, 관광명소, 유명장소, 명소, 핫플, 비경秘境, 포토제닉)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2.13.

곁말 94 나룻삯



  그림꽃책(만화책)을 읽다가 문득문득 눈이 트이는 낱말을 만나곤 합니다. 글책·그림책은 우리가 주고받는 말씨를 담기보다는 ‘머리로 갈무리하거나 추스른 글씨’가 바탕이라면, 그림꽃책은 사람들이 그때그때 나누는 말씨를 그대로 옮기곤 해요. 머리로 이리저리 굴려서 다듬은 글씨는 ‘국립국어원 낱말책’ 틀이나 맞춤길을 조금 지나치게 따지느라 딱딱하기 일쑤요, 우리가 살아가며 도란도란 나누는 말씨는 ‘국립국어원 낱말책에 실리건 안 실리건’ 대수로이 여기지 않으면서 불현듯 새말을 엮거나 옛말을 되살리곤 해요. 1997년에 《흙》이란 이름으로 나온 그림꽃책(만화책)이 있습니다. 이 그림꽃을 내놓은 분은 《미스터 요리왕》이란 이름으로 나온 그림꽃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삶을 이루는 밑자락을 찬찬히 짚으면서 살림길을 누구나 스스로 어질게 갈고닦는 살림을 그림으로 풀어낸다고 느끼는데, 《미스터 요리왕》을 한창 읽다가 ‘나룻삯’이란 낱말을 보았습니다. ‘뱃삯’하고 거의 같으면서 조금 다르게 쓰는 말씨라 할 텐데, “나루터에서 내는 삯”이니 ‘뱃삯’뿐 아니라 ‘하늘삯(항공료)’도 ‘길삯(교통비)’도 담아낼 만해요. 오늘날에는 뱃나루뿐 아니라 하늘나루(공항)도 있고 버스나루·기차나루도 있어요.


ㅅㄴㄹ


나룻삯 (나루 + ㅅ + 삯) : 1. 배를 타면서 내는 삯. 배를 타려면 내야 하는 돈. 2. 돌아다니거나 무엇을 탈 적에 드는 삯. (= 뱃삯. ← 선임船賃, 선비船費, 경비, 여비, 차비車費, 노자路資, 노잣돈, 교통비, 통행료, 운임비, 운임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말 / 숲노래 우리말

곁말 93 한터울



  이제는 ‘연년생’이 무엇을 가리키는 줄 알고, 소리도 제법 냅니다. 어린날에는 ‘연년생’이 뭔 소리인지 잘 몰랐고, 무엇보다 소리를 못 내었습니다. 속으로 “어른들은 왜 이렇게 뭔지 모를 말을 하고, 게다가 소리도 내기 어려운 말을 왜 자꾸 쓸까?” 하고 생각했어요. 어른들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자니, ‘연년생 = 한 살 터울’이더군요. 또 속으로 “뭐야? 한 살 터울인 사이라면 ‘한살터울’이라 하면 되잖아? 쉽게 말하면 되는데 왜 어렵게 말을 한담!“ 하고 생각했지요. 말 그대로입니다. 터울이 한 살이 지니 ‘한살터울’입니다. 한 해를 살아가는 풀을 ‘한해살이(한 + 해 + 살이)’라 하듯 ‘한 + 살 + 터울’이라 하면 넉넉합니다. 여러 해를 사는 풀이라서 ‘여러해살이’예요. 삶 그대로 말로 옮깁니다. 살림을 고스란히 말로 담기에 아이어른 누구나 수월하면서 즐거워요. 한자로 말을 짓고 삶을 그리는 터전이라면 ‘연년생’을 쓸 테지만, 우리한테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살림을 지은 숨결을 그대로 말에 실을 노릇입니다. 새말은 새마음에서 싹터요. 새길은 새빛을 품는 몸으로 걸어요. ‘한살터울’은 ‘한터울’처럼 줄일 만합니다. ‘한터울’은 ‘한또래’랑 비슷한말로 삼을 수 있습니다.


ㅅㄴㄹ


한터울 (한 + 터울)

1. 한 살을 터울로 낳은 아이. 한 살을 터울로 아이를 낳음. 한 아이가 태어나고서 한 해 뒤에 태어난 아이. 아이를 낳은 다음해에 아이를 낳음. (= 한살터울·한해터울·한해받이. ← 연년생)

2. 나이·생각·마음이 같거나 비슷한 사이. (= 한또래 ← 동갑, 동년배, 동학년, 동창同窓, 동기同期, 동문同門, 동료, 팀메이트, 동급생, 형제, 형제간, 자매, 자매간)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말 / 숲노래 우리말 2023.2.4.

곁말 92 꽃할매·꽃할멈·꽃사람·꽃잎·꽃



  강덕경·김순덕·김복동·심달연 님을 비롯한 여러 할머니가 남긴 그림에 유난히 ‘꽃’이 많습니다. 〈책임자를 처벌하라〉나 〈끌려감〉이나 〈빼앗긴 순정〉 같은 그림 곁에 〈못 다 핀 꽃〉이 있습니다. ‘꽃’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꽃이 왜 꽃인지 얼마나 알까요? 꽃이 꽃인 뜻이나 말밑이나 말결을 모르는 채 아무 데에나 섣불리 ‘꽃’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노리개로 삼지는 않는지요? ‘꽃할머니’라는 이름은 여러 할머니 그림에서 처음 비롯했습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일본 한자말 ‘위안부(慰安婦)’를 “1. 주로 전쟁 때 남자들의 성욕 해결을 위하여 군대에 강제로 동원된 여자 2. [역사] 일제에 강제 징용되어 일본군의 성욕 해결의 대상이 된 한국, 대만 및 일본 여성을 이르는 말 = 일본군 위안부”처럼 풀이합니다. ‘국립국어원 뜻풀이 = 나라 목소리(정부 관점)’입니다. 나라에서는 꽃할매한테서 멍울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서 눈물을 함께 흘리며 새빛을 가려는 마음을 여태 안 틔웁니다. 총칼을 거머쥐며 나라가 시키는 대로 앞장서는 슬픈 사내는 싸울아비로 뒹굴면서 가시내를 짓밟게 마련입니다. 총칼은 ‘살리는 길’이 아닌 ‘죽이는 수렁’입니다. 꽃할멈은 “못 다 핀 꽃”이어도 “꽃길을 밝히는 사랑빛”입니다.


ㅅㄴㄹ


꽃할머니 (꽃 + 할머니) : 1. “풀·나무가 씨앗·열매을 맺으려고 피우는 숨결”인 ‘꽃’이고, “사랑을 받거나 아름답거나 멋진 사람”인 ‘꽃’이며, “사랑스럽거나 아름답거나 눈부신 나날·때·철·삶”인 ‘꽃’이자, “가장 돋보이거나 대수롭거나 뜻있거나 큰 자리·사람·일”인 ‘꽃’이다. ‘꽃할머니’는 아이들하고 뒷사람한테 “열매를 맺으려고 피우는 사랑이라는 아름다운 숨결을 뜻있고 크고 넓고 깊게 들려주거나 보여주거나 알려주거나 물려주는 할머니”를 가리킨다. 꽃순이로 피어나는 삶·살림을 손수 짓고 가꾸면서 아이들하고 뒷사람한테 사랑이라는 씨앗을 물려주는 할머니인 꽃할머니를 가리킨다. 2. “사랑을 받거나 아름답거나 멋진 삶·살림을 지을 무렵 싸움터로 끌려가서 시달리고 들볶이고 억눌리면서 몸·마음에 멍울과 생채기와 눈물이 깃든 할머니”를 가리킨다. 꽃순이로 피어날 길이 가로막힌 채 몸·마음에 멍울과 생채기와 눈물이 깃들었으나, 이 멍울과 생채기와 눈물을 달래고 씻으면서 아이들하고 뒷사람한테 ‘어리석은 총칼·싸움을 사랑으로 녹여서 없애는 슬기롭고 참한 삶빛’을 들려주고 보여주는 할머니이다. (= 꽃할매·꽃할멈·꽃사람·꽃잎·꽃. ← 위안부, 위안부 할머니, 위안부 피해자, 종군위안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