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빛 2021.7.31.

숲집놀이터 258. 더 자주



나는 어릴 적에 우리 아버지하고 말을 섞은 일이 아예 없다시피 했다. 국민학교를 다니며(1982∼1987) 학기마다 설문조사를 손을 들어서 했는데, 이 설문조사 가운데 하나는 “부모가 둘 다 있느냐, 어머니만 있느냐, 아버지만 있느냐”에다가 “어머니하고 하루에 얼마나 얘기하느냐, 아버지하고 하루에 얼마나 얘기하느냐”도 있었다. 담임이라는 이는 “아버지하고 하루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사나흘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주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달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해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따위까지 물었는데, 나는 그 어디에도 안 들었다. 우리 아버지는 그무렵 ‘국민학교 교사’로 일한 분이지만, 막상 이녁 아이하고 ‘한 해 한 시간은커녕 한 해 1분, 아니 한 마디쯤만 말을 섞은’ 사람이었으니까. 그렇다고 그분(우리 아버지)이 잘못이었을까? 글쎄, 아니라고 본다. “더 자주·더 오래·더 많이” 말을 섞거나 눈을 마주쳐야 어버이(또는 어른)는 아니라고 느낀다. 아이하고 지내는 틈이 매우 적거나 없다시피 하더라도 어버이(또는 어른)로서 잘못(죄책감)이라고 여기지 않으면 좋겠다. 우리는 아이하고 눈을 마주치며 말을 섞는 아주 짧은 틈이라 해도 눈을 반짝반짝 빛내면서 즐겁게 노래하면 된다. 아이들은 다 안다. 어버이(또는 어른)가 사랑인지 아닌지를. 사랑이 아니라면 하루 열 시간 마주하는 틈이 괴로울 테고, 사랑이라면 열 해에 1분만 마주하더라도 기쁘기 마련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빛 2021.7.31.

숲집놀이터 257. 어버이 틀에



어버이가 아이를 “어버이 틀”에 맞추려고 하는 몸짓은 잘못일까? 나쁠까? 틀릴까? 그릇될까? 엉터리일까? 바보일까? 엉성할까? 멍청할까? 어이없을까? 터무니없나? 괘씸한가? 주제넘는가? 못됐나? 글쎄, 어느 하나도 안 맞지 싶다. 온누리 모든 어버이는 저마다 오늘까지 살아낸 길을 바탕으로 아이한테 “어버이로서 가장 좋다고 여기는 틀”을 보여주면서 넉넉히 누리기를 바란다고 느낀다. 다만 “어버이로서 가장 좋다고 여기는 틀”이 “아이한테도 가장 즐거운 사랑”이 아니기 일쑤일 뿐이다. 아이한테는 어떤 길이 어울리거나 즐겁거나 사랑스러울까? 아이가 걸어갈 길은 언제나 아이한테 물어보면 된다. 아이하고 이야기하면서 아이 마음을 느끼고, 아이 수다에 귀를 기울이면서 아이 꿈을 헤아리고, 아이하고 생각을 주고받으면서 아이 사랑을 맞아들이면 넉넉하다. 누구 틀에 맞추고 안 맞추고는 썩 대수롭지 않다. 아이는 아이대로 아이 길을 간다. 어른이나 어버이는 어른이나 어버이로서 우리 길을 가면 된다. 이 길을 가다가 아니다 싶으면 뒤돌아서거나 처음부터 새로 가면 된다. 어른이나 어버이가 할 일은 쉽다. 마음을 틔우고 아이하고 얘기하면 된다. 이야기를 하면서 생각을 나누면 ‘틀’이 아닌 ‘길’이 서고, 이윽고 ‘사랑’이 무엇인지 스스로 알아보기 마련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숲집놀이터 256. 석 마디



열한 살 작은아이하고 자전거를 타고 녹동나루로 찾아가서 다리를 쉴 곳을 찾아서 앉는데, 녹동나루는 놀러오는 서울내기가 많은 구경터인 터라 시끌시끌하다. 사람이 많으면 갖은 소리가 귀로 스치기 마련이지만, 시끌시끌한 구경터에서는 새된 소리가 거슬릴 만큼 성가시더라. 아이를 데리고 다니는 젊은 어버이 입에서 “하지 마! 뛰지 마! 가지 마!” 이 석 마디가 끊이잖고 튀어나온다. 이쪽 어버이도 저쪽 어버이도 매한가지이다. 아이들은 뭘 해야 할까? 어른이 시키는 대로만? 아이는 어디서 뛰어야 하나? 아이가 뛰놀 빈터는 어디에 있는가? 아이는 어디로 가야 하나? 어버이가 그려 놓은 길로만 가야 하는지? 스스로 생각하고 몸을 아끼고 마음을 돌보면서 무럭무럭 자라날 아이가 나무도 타고 물에도 들어가고 풀잎도 쓰다듬고 하늘바라기도 하다가 벌러덩 드러누워 바람을 마실 널널한 빈터가 온나라 어디에도 있어야지 싶다. 모든 어버이는 마당 있는 집을 누려야 하고, 모든 아이는 마당이며 골목이며 뒤꼍이며 숲이며 마음껏 누빌 수 있어야지 싶다. 내가 아이들한테 들려주고 싶은 석 마디는 “해봐. 뛰어. 다녀와.” 2021.6.6.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1.6.1.

숲집놀이터 255. 나



“사름벼리 씨, 네 모습을 그려 보겠니?” “내 모습?” “이를테면, 하나 보여줄게. 사름벼리 씨가 그림을 그리면서 곁들이는 모습 있잖아? 여기 입가 왼쪽에 점을 찍은 나뭇잎처럼.” “아하.” “어른들은 한자말로 ‘자화상’이라 하는데, 우리는 그냥 ‘내 모습’이나 ‘나’라고 하면 돼. 사름벼리 씨를 사람들한테 보여준,는 ‘나’를 그려 주렴.” 사름벼리 씨는 여러 모습을 그린다. 마무리는 미르(용). 곰곰이 생각해 보니 ‘사름 + 벼리 = 미르’이기도 하겠구나 싶다. 너는 너를 너답게 너 스스로 바라볼 줄 아는구나.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전남교육청’에 남긴 글

.

.

학교밖 청소년 교육참여수당



어제인 2021년 5월 26일 ‘학교밖 청소년 교육참여수당’이 있다는 전남교육감 정책을 처음 알았습니다. 오늘 아침인 5월 28일이 되어서 살피니 2021년 1월부터 이러한 정책을 폈구나 싶은데, 14살 청소년과 11살 어린이를 집에서 돌보며 가르치는 저희는 이러한 정책이 있다는 이야기를 여태 듣지도 알지도 못했습니다.


14살 청소년과 11살 어린이는 스스로 ‘집에서 배우는 길’을 가겠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14살 청소년은 7년째, 11살 어린이는 4년째, 집에서 스스로 배우고 살림을 익힙니다.


고흥 아닌 다른 전남 지자체에서 올린 알림글을 보니, ‘학교밖 지원센터 등록 및 월 6회 참가’를 조건으로 내걸던데요, ‘학교밖 청소년’이라기보다 ‘집에서 스스로 삶을 배우고 살림을 익히는 청소년과 어린이’가 굳이 왜 ‘지원센터 등록’을 해야 하는지요? 그런 기관이나 시설에 등록을 안 하고 싶어서 두 청소년과 어린이는 ‘집에서 스스로 배울거리를 찾아서 지내’는걸요?


이러한 정책이 있어도 전남 고흥군 교육청이나 군청이나 ‘학교밖 청소년 관리를 맡는 학교’에서 딱히 연락을 받은 일이 없기도 합니다. 관리자 자리에서 보자면 ‘학교밖 청소년’일 테지만, 14살 청소년과 11살 어린이는 ‘학교밖’이 아닌 ‘우리집 배움길’을 갈 뿐입니다.


다만, ‘우리집 배움꽃’한테 전남교육청에서 ‘교육참여 수당’을 지급하고자 한다면 ‘읍내 학교밖 지원센테 강제 등록’ 같은 조항이나 조건을 안 달아야 걸맞지 않을까요? 시골에서 읍내를 다녀오기도 멀고, 시간도 오래 걸릴 뿐더러, 왜 그래야 하는지 알 길이 없기도 할 뿐더러, 14살 청소년과 11살 어린이가 스스로 찾아서 배우고 싶은 숲과 살림과 사랑이라는 결을 헤아려도, 마음이 갈 만한 교육프로그램이 없기조차 합니다.


또한 11살 어린이라면 ‘교통카드 입금’을 한다는데, 11살 어린이나 14살 청소년이나 스스로 사서 읽고 싶은 책이라든지, 스스로 갖추려는 학용품을 사려면, 청소년과 어린이 은행계좌에 ‘교육참여 수당’을 넣어 주어야, 청소년과 어린이가 스스로 자유롭게 쓸 텐데요?


간추립니다.


1. 이런 제도가 있는 줄 다섯 달이 되도록 몰랐다.

2. 이런 제도를 마련했어도 정작 ‘우리집 배움꽃(학교밖 청소년)’이 스스로 활용할 길이 안 좋다.

3. 사후대책이나 후속조치는 있는지?


ㅅㄴㄹ


글을 남겨 놓는다.

뭔가 애써 꾸린다고 한다면

부디 '우리집 배움꽃'이 들려주는 말을

공무원 스스로 챙겨서 듣고

움직이기를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