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숲노래 사랑꽃 2022.12.4.

숲집놀이터 278. 문해력



갈수록 ‘문해력’이 떨어져서 걱정이라는 얘기를 듣는다. 그런데 우리말꽃을 쓰는 사람으로서 ‘문해력’이란 일본스런 한자말을 못 알아듣겠다. 갑작스레 떠오른 이 일본스런 한자말 ‘문해력(文解力)’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고 국립국어원 낱말책에 나온다. ‘초등 문해력’을 다룬 책이 밀물처럼 쏟아지는데, 죄다 부질없는 부스러기라고 느낀다. 어린이·푸름이가 “글을 잘 못 읽는다”고 걱정할 일은 터럭조차 없다. 글을 잘 못 읽는다면, 말부터 잘 못 알아듣는다는 뜻이다. 말을 잘 알아듣는 사람이 글을 못 읽을 수 없다. 그러면 생각하자. 어린이·푸름이는 어떤 말글을 못 알아보거나 못 읽는가? 바로 ‘어른들이 아무렇게나 쓰거나 어렵게 쓰거나 마구 뱉어내거나 쳇바퀴에 길든 말글’을 못 알아보거나 못 읽는다. 우리는 우리말을 제대로 배우지 못 한 나날이 무척 길다. 한글날 언저리에 기껏 ‘SNS 언어파괴’나 ‘공공기관 영어남발’ 같은 말이 떠돌지만 으레 그날 하루만 반짝한다. 모든 말썽덩이 말글은 ‘어른이 썼’다. 어린이를 탓하면서 ‘어린이가 골아프게 어려운 일본말씨나 옮김말씨나 영어를 외우’도록 내몰지 말자. 어른부터 우리말을 처음부터 새로 배울 노릇이다. 글에 ‘-의·-적·-화’만 안 써서 끝이 아니다. 우리 넋을 우리 마음에 어질게 담는 우리 말글로 생각을 가꾸는 길을 펴야 비로소 어른이다. ‘글힘(문해력)’은 ‘말힘(언어력)’을 사랑으로 돌보는 보금자리에서 비로소 깨어난다. 새말을 스스로 지을 줄 알면 말힘이 피어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숲노래 사랑꽃 2022.11.13.

숲집놀이터 277. 도시는 나쁠까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시골은 나쁘다”고 여길는지 모르고,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서울은 나쁘다”고 여길는지 모른다. 하나는 뚜렷하다. 서울이든 시골이든 스스로 마음에 들거나 사랑하는 곳에서 살아간다. 시골이 덜 마음에 들기에 시골에서 안 살고, 서울이 마음에 들 수 없어 서울에서 안 산다. 우리 집 아이들은 어버이나 둘레 어른이 안 가르쳤어도 스스로 몸마음으로 느껴 “우리는 서울에서 안 살겠어요. 우리는 학교라는 틀에 박힌 수렁에도 가지 않겠어요.” 하고 말했다. 가만히 보면 둘레 어른들은 우리 아이들한테 “서울에서 살면 이런저런 게 좋고, 학교에 가면 이런저런 게 좋아.” 하고만 말한다. 서울이나 배움터에서 무엇이 말썽이거나 뒤틀리거나 얄궂은지는 말하지 않더라. 아마 그분들 스스로 생각조차 안 한 대목이겠지. 시골에서도 얄궂은 모습은 으레 볼 수 있다. 서울에서도 돋보이는 대목은 많다. 그렇지만 전라도하고 경상도가 있듯, 강원도하고 충청도가 있듯, 제주도하고 경기도가 있듯, 다 다른 고장에서 저마다 푸르게 꿈을 키워서 하루를 일구기에 즐겁다. 어느 시골아이가 ‘서울·학교’가 어느 대목에서 얄궂고 말썽이며 끔찍하다고 생각을 밝힌다면, 이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서울·학교’에서 곪은 구석을 차근차근 바로잡거나 고치거나 손질할 수 있어야 비로소 ‘어른’이란 이름을 쓸 만하다고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다꽃

#숲노래노래꽃 #우리말동시사전

어린이랑 노래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말에 담는 살림을
숲빛으로 상냥하게 들려주는
작은 길을 #노래꽃 으로 여겨
마실길에 늘 챙긴다.

어느새 누더기가 되는
#노래꽃적이

그래도 새로 그리고 쓰며
서울(도시)하고 시골이
서로 사이에 숲을 두며
이웃이 되기를 빈다.

그리고
서울을 씩씩하게 버리고
부릉이는 다부지게 버리고
맨발 맨손 맨몸으로
#해바람비 를 품을 동무를
그린다.

#나는노래이다

군산에서 떠난 버스는 광주에 닿고
고흥으로 돌아가는데
해님을 보며 웃는다.

#숲노래 씨는
아직 민소매 깡똥바지.
#용서점 #부천용서점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살림꽃
2022.10.31.

서른 해 남짓 함께한
긴바지는
지난해부터
깡똥바지로 바뀌었다.

밑단을 잘라서
안팎으로 덧대고
또 덧대고
자꾸 덧대어도
낡은 자리는 해진다.

아이들 예전 옷 가운데
꽃무늬천을 잘라
새로 덧댄다.

조금만 기우고서
자전거 몰아
면소재지에
붕어빵 사러 가려 하다가
해가 넘어간다.

시골에서는
저녁 다섯 시 넘으면
붕어빵 장수도 들어간다.

서울도 다들 좀
일찍 닫고
집에서 서로 얼굴 보며
얘기하는 살림으로
이제라도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이태원사고 를
추모로만 끝내지 말자.
저마다 삶을 확
바꾸어야 한다.
#숲노래 #바느질 #깡똥바지
#시골살이 #고흥살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2.8.31.

숲집놀이터 276. 한집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가부장제’였을까? ‘가부장제’란 ‘가부장’이란 중국말을 쓰던 무렵에 서거나 퍼졌을 텐데, 중국이나 일본을 섬기던 무리가 나라를 휘어잡던 무렵이 아닌, 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살림을 지으며 살아가던 때에는 이런 낡고 고약한 틀이 설 까닭이 없었다. 나라(정부·국가)를 보면, 으레 사내가 우두머리에 서면서 가시내를 몽땅 짓밟으려 한다. 어느 나라이고 가시내가 어깨를 펴는 틀이나 터전하고 멀다. 그런데 어떤 나라가 서든 ‘나라를 섬기지 않는 조그마한 집이나 마을’에서는 ‘가부장’이 없다. 나라(정부·국가)는 늘 사내를 홀려서 작은힘(가부장권력)을 쥐어 주고서 돈·이름·힘이란 떡고물을 안긴다. 숱한 사내는 우두머리가 시키는 대로 홀리고 휩쓸린다. 거의 모든 가시내는 나라한테 안 홀리고 안 휘둘리면서 아이를 바라보고 짝꿍을 마주한다.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 집이라면 ‘나라를 안 쳐다보고, 나라에서 주는 떡고물을 거스르면서, 오직 아이랑 곁짝을 바라보는 살림’이다. 사람은 ‘너랑 나’ 둘이 어우러져서 ‘우리’를 사랑으로 맺는 슬기로운 살림길을 걸을 적에 비로소 빛난다.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는 말은 “사람은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가시버시(남녀·부부)가 수수한 사람으로서 서로 사랑이란 슬기로 마주하는 살림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사회생활 = 우두머리 허수아비 노릇’이다. 우리 살림집이 즐거이 ‘한집’을 이루자면, 아무도 우두머리(가부장)일 수 없다. 어버이도 아이도 저마다 지킴이요 돌봄이로서 보금자리를 가꾸기에 반짝반짝 별빛으로 햇빛으로 즐거운 오늘을 짓고 누리고 나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