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7.27.

숲집놀이터 283. 비날과 작은새



올해(2023)에는 비가 잦다. 지난해에도 꽤 잦았으나, 올해에 대면 아무것도 아니다. 볕날이 적고 비날이 잦으며 긴 올해 봄이며 여름을 가만히 돌아보노라면, 시골에서는 비가 멎을 적에 득달같이 곳곳에서 풀죽임물(농약)을 사납게 잔뜩 뿌리더라. 그런데 풀죽임물을 사납게 뿌리고서 10∼30분쯤 뒤에 어김없이 구름이 몰려들어 함박비를 쏟네. 비가 잦아서 풀죽임물을 뿌려 본들 덧없다면, 아예 풀죽임물에 죽음거름(화학비료)이 없이 흙살림을 할 만하다. 유난히 비날이 잦으면서 올해에는 그야말로 유난스레 ‘풀벌레도 매우 적’다. 다만, 우리는 몇 가지를 똑똑하게 알아야 한다. 작은새는 거미에 모기에 애벌레를 밥으로 삼는다. 작은새가 밥으로 삼을 거미에 모기에 애벌레가 사라지면, 갑작스레 풀벌레가 들끓으면서 모든 흙짓기(농업)가 무너진다. 사람이 사람으로서 논밭살림을 하자면, 씨앗을 심어서 가꾸어 얻은 낟알이며 열매를 ‘사람·새·풀벌레랑 숲짐승’이 하나씩 나눌 적에 아름답다. 새는 대단하면서 놀랍고 훌륭한 ‘흙살림 도움이’ 노릇을 한다. 그리고 ‘풀벌레’가 늘 어느 만큼 있어야 새가 한해살림을 꾸린다. 숲짐승도 어느 만큼 있어야 들숲바다가 푸르다. 숲빛을 읽고 나누는 눈썰미란, 아이랑 어른이 이 땅에서 함께 익히면서 품을 어진 삶길이라고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7.27.

숲집놀이터 282. 아무나 홈스쿨링?



“아무나 집배움(홈스쿨링)을 할 수는 없다”만 “누구나 집배움(홈스쿨링)을 할 수 있도록 어버이부터 스스로 배울 노릇”이라고 본다. 왜 아무나 집배움을 할 수는 없느냐 하면, 아이랑 집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보여주고 들려주고 알려주면서 함께하려면, 어버이로서 ‘온살림’을 먼저 스스로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레 익힐 노릇이다. 하루아침에 뚝딱 ‘집배움(홈스쿨링)’을 못 한다. 차근차근 오래도록 어버이에 어른으로서 살림빛을 익히는 매무새여야 한다. 그런데 “아이를 여느배움터(제도권학교)에 넣더라도, 어버이로서 집에서 함께 보여주고 들려주고 알려주면서 배우고 나누는 살림길과 사랑길은 늘 있어야 할” 노릇이다. 아이가 삶을 배우도록 이끄는 몫을 여느배움터(공공기관 학교)에만 맡길 수 없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는 “돈만 잘 벌면 어버이 노릇이 끝”이 아니다. 어버이는, 아이한테 밥을 먹이고 옷을 입히고 잠을 재운대서 ‘어버이 노릇’을 다했다고 여기지 않는다. 어버이로서 아이들이 물려받고 지켜보면서 배우는 ‘살림·사랑’에다가 ‘사람다움·숲빛’을 나란히 누리도록, 어버이란 자리를 늘 새롭게 돌아보고 스스로 갈고닦을 줄 알아야지. 2023년 7월 26일에 문득 불거진 ‘두 살 어린 9살 여학생한테 성추행·폭력을 일삼은 아이를 둔 주호민 집안’을 헤아려 본다. ‘주호민 집안’은 먼저 ‘어버이 되기 + 사람으로 사랑하는 살림을 짓기’부터 배우기를 바란다. 《아나스타시아 1∼10》(블라지미르 메그레) 같은 책을 장만해서, 제발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서 날마다 차근차근 읽어 주면서 스스로 삶을 돌아보시기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6.

숲집놀이터 281. 책임



곁짐승(반려동물) 이야기가 글로도 책으로도 쏟아진다. 여러 글하고 책을 읽다 보면 으레 “동물과 함께 사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평생 책임지겠다는 마음이에요( 《선생님, 반려동물과 함께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40쪽).” 같은 줄거리가 흐른다. 이런 글을 읽으면 마음이 쿵 내려앉는다. 왜 ‘평생 책임’이 ‘가장 큰일’이라고 말할까? 어린이한테 너무 힘들고 짐스러운 말이 아닌가? 아이도 어른도 ‘목숨 맡기(생명 책임)’가 아닌 ‘목숨 사랑’을 들려주어야 알맞을 텐데? 곁짐승이건 곁풀꽃이건, 곁에 두는 짐승이나 풀꽃이기 앞서 숲에서 살아온 숨결인 줄 느끼고 제대로 바라보면서 사랑할 적에, 비로소 곁에서 돌보는 길을 곱게 찾아내리라 본다. 적잖은 사람들이 왜 곁짐승이나 곁풀꽃을 마구 다루거나 괴롭힐까? 사랑이라는 살림길을 누리거나 지은 적이 없는 탓 아닐까? 사랑으로 돌보지 않고 먹이만 잘 준들 ‘돌봄’일 수 없다. 오로지 사랑으로 함께살기를 하기에 ‘곁’이란 이름을 붙인다. 누구하고 살든, 누구랑 배움터를 다니든, 우리 마음에 씨앗으로 놓을 한 가지는 처음도 끝도 언제나 사랑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2.12.31.

숲집놀이터 280. 매이다



집을 ‘짓’는다. 집에서 ‘지낸’다. ‘지그시’ 흐르는 하루를 집에서 누린다. 노래하고 하늘을 날아오르며 열매랑 꽃씨랑 꽃망울을 누리는 새가 알을 포근히 품으려고 여미는 곳을 둥지나 보금자리라 하는데, 사람이 사는 집이 둥지답거나 보금자리답다면 사랑이요, 둥지나 보금자리하고 멀다면 ‘짐’이다. 어느덧 너무 많은 아이들이 배움터(유치원·학교·학원)에 너무 오래 매인다. 너무 많은 어버이는 일터(회사)에 매인다. 아이도 어버이도 “어릴 적에 어버이한테서 사랑받아 자란 나날”을 누리거나 나눌 겨를이 없다시피 하면서, 다들 머리에 부스러기(지식)는 많이 쌓되, 사랑은 잊다가 잃지 싶다. 집배움하고 틀배움(제도권교육)이 너무 벌어졌을 뿐 아니라, 이제 집배움은 가뭇없이 사라졌다고 할 만하기에, 이 틈을 바꾸지 않으면, 스물을 넘어가는 젊은이가 삶과 살림과 사랑이라는 길을 놓치기 쉽다고 느낀다. 나라(정부)가 틀배움(제도권교육)에 마음을 써야 하기는 하되, 우리 스스로 집배움하고 마을배움하고 숲배움을 팽개치면서 일터에 지나치게 매인다면, 나라 앞날보다도 우리 보금자리 앞날이 시커멓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2.12.24.

숲집놀이터 279. 너랑 나



아이를 언제 낳는가? 아이는 언제 태어나는가? 어버이 자리에서는 “언제 낳는가?”라면, 아이 자리에서는 “언제 태어나는가?”인데, 어버이로서는 바깥일도 집안일도 알맞게 가누면서 스스로 온하루를 오늘에 이바지하는 길을 새롭게 열어야 하는구나 싶을 무렵 아이를 낳는구나 싶다. 아이로서는 어버이가 스스로 기운내어 활짝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놀도록 북돋아야 하는구나 싶을 무렵 태어나는구나 싶다. 어버이하고 아이는 ‘하루(시간)’를 같이 보내려는 사이인 사람이다. 아이하고 어버이는 ‘오늘(시간)’을 함께 누리려는 사랑인 사람이다. 아이들이 붓을 쥐며 날마다 천천히 꿈을 짓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어버이로서 나도 새삼스레 기운을 내어 하루를 짓는 그림을 마음에 띄운다. 넌 종이에 담으렴. 난 마음에 담을게. 너도 마음에 꿈을 사랑으로 옮길 테지? 나도 종이에 꿈을 사랑으로 차곡차곡 여밀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