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236] 살림지기



  집에서 밥을 짓고 빨래를 하며 비질이랑 걸레질을 하는 아버지나 할아버지를 쉽게 보나요? 아직 꽤 많은 집에서는 집에서 하는 일을 으레 가시내한테만 맡기기 일쑤예요. 지난날에는 사내가 부엌에 얼씬조차 못 하게 하기도 했어요. 이러다 보니 집에서 일하는 사람을 놓고 낮잡는 말씨인 ‘부엌데기’나 ‘밥데기’가 있었어요. 그런데 부엌일이나 밥일을 사내가 했어도 사내한테 이런 이름을 붙였을까요? 그래도 집일을 알뜰히 건사하는 사람을 두고 ‘살림꾼’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해요. 살림을 잘 꾸리기에 ‘살림꾼’인데요, 어른들이 어떤 일을 하느냐를 살피는 자리에서는 ‘주부·가정주부’ 같은 한자말 이름을 흔히 써요. 아버지나 어머니가 집에서 살림이나 일을 도맡는다면 ‘주부’ 아닌 ‘살림꾼’이라고 밝히면 한결 나을 텐데요. 더 헤아려 보면 ‘살림님’이나 ‘살림지기’ 같은 이름을 새롭게 써 볼 만해요. 살림하는 이를 고이 여기기에 ‘살림님’이에요. 집에서 일하는 사람을 고마이 마주하기에 ‘살림지기’이지요. 오늘날에는 ‘부엌지기·밥지기’라든지 ‘빨래지기·비질지기·설거지지기’ 같은 이름을 즐겁게 쓸 만해요. 심부름을 잘 하는 어린이라면 ‘심부름꾼·심부름지기·심부름님’이라 할 테고요. 말 한 마디를 바꾸어 생각도 삶도 바꾸어요. 2017.4.7.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37] 향긋내



  냄새를 큼큼 맡습니다. 어디에서 구수한 냄새가 나는 듯합니다. 내음을 크음크음 맡습니다. 어디에선가 고소한 내음이 퍼지는 듯합니다. 밥을 지을 적에 나는 밥냄새는 구수할까요? 된장국이나 숭늉을 끓이면, 쑥국이나 미역국을 끓이면 구수한 냄새일까요? 멸치를 볶는다든지 깨를 볶는다든지 마른새우를 볶을 적에는 어떤 내음일까요? 이때에는 고소한 내음일까요? ‘냄새·내음’은 뜻이 같은 낱말이에요. 두 낱말을 줄여서 ‘내’라고만 하기도 해요. ‘밥냄새·밥내음·밥내’처럼 쓰고, ‘꽃냄새·꽃내음·꽃내’처럼 써요. 코로 맡는 느낌이 마치 꽃에서 나는 기운 같아 좋다고 할 적에는 따로 ‘향긋하다’라고 하지요. 한국말로는 ‘향긋하다’이고, 이를 한자말로는 ‘향기롭다’라 해요. 생김새가 꽤 비슷하지만 말밑만 다르고 뜻은 같은 ‘향긋하다·향기롭다’예요. 맡기에 좋은 느낌을 따로 ‘향기’라는 낱말로 가리키듯이 ‘향긋 + 내’ 얼거리로 ‘향긋내(향긋냄새·향긋내음)’라는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냄새가 고우면 ‘고운내·고운내음’이라 할 수 있고, 냄새가 좋으면 ‘좋은내·좋은내음’처럼 즐겁게 쓸 수 있어요. 2017.4.7.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35] 이름쓰기



  “자, 이름을 써 볼까?” 하고 누가 말합니다. 이 말을 듣고서 ‘내 이름’을 가만히 적어 봅니다. 그런데 어른들은 ‘이름’이라는 낱말 말고 다른 낱말, ‘서명’이나 ‘사인’ 같은 낱말을 으레 나란히 써요. ‘서명’이란 무엇이고, ‘사인’이란 무엇일까요? ‘서명’은 한자말로 “이름을 쓰는 일”을 가리켜요. ‘사인’은 영어로 “이름을 쓰는 일”을 가리키고요. 이름을 쓰는 일이라면 가볍게 ‘이름쓰기’라는 낱말을 지으면 돼요. 글을 쓰는 일을 두고 ‘글쓰기’라 하듯이 말이지요. 그래서 편지를 쓰는 일이라면 ‘편지쓰기’가 되어요. 일기는 ‘일기쓰기’가 될 테지요. 누가 책을 쓴다면 ‘책쓰기’가 되고, 생각을 쓴다면 ‘생각쓰기’가 되어요. 이름은 글판을 두들겨서 쓸 수 있지만, 손으로 쓸 수도 있어요. 손으로 쓰는 글은 ‘손글·손글씨’이니, 손으로 이름을 적는다면 ‘손이름·손이름쓰기’라 해 볼 만해요. 2016.10.17.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34] 떼노래



  떼를 지어서 노래합니다. 개구리가 여름에 떼를 지어서 노래해요. 요새는 도시가 커지면서 서울이나 부산 같은 고장에서는 ‘개구리 떼노래’를 듣기 어렵지만, 시골에서는 개구리 떼노래를 여름마다 들을 수 있어요. 다만 시골에서도 농약 쓰임새가 줄지 않는다면 앞으로 시골자락 개구리 떼노래도 자취를 감추리라 느껴요. 가을이면 샛노란 논마다 참새가 떼지어 날면서 째째거리는 ‘참새 떼노래’가 퍼져요. 겨울에는 까치나 까마귀가 무리를 지으며 ‘까치 떼노래’라든지 ‘까마귀 떼노래’가 퍼지지요. 또 한가을에는 풀벌레가 풀밭에서 떼노래를 베풀어요. 참으로 멋진 떼노래라고 할 만해요. 봄에는 제비가 돌아와 처마 밑에 둥지를 툴면서 새끼 제비가 떼노래를 부른답니다. 이런 멋지고 사랑스러운 떼노래를 듣는 사람들은 신나는 잔치마당을 열어 다 같이 떼노래를 부르지요. 마당에서도, 마을에서도, 또 너른 터에서도, 공연장이나 학교에서도 사이좋게 어깨동무를 하면서 기쁘게 떼노래를 불러요. 2016.10.10.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33] 혼놀이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이 있어요. 혼자 노는 사람이 있어요. 혼자 책을 읽는 사람이 있어요. 혼자 영화를 보거나, 혼자 나들이를 다니거나, 혼자 배우는 사람이 있어요. 여럿이 밥을 먹을 수 있고, 함께 놀 수 있으며, 다 같이 나들이를 다닐 수 있어요. 혼자 밥을 먹기에 ‘혼밥’이라 하지요. 혼자 놀면 ‘혼놀이’가 되고, 혼자 책을 읽어 ‘혼책’이에요. 그러면 여럿이 밥을 먹거나 놀거나 책을 읽으면 ‘함밥’이나 ‘함놀이’나 ‘함책’이라 해 볼 수 있을까요? ‘혼잣말’이나 ‘혼잣손’이라는 낱말처럼 예전에는 ‘혼자’를 다 붙였는데 ‘혼’만 떼어서 ‘혼밥’이나 ‘혼마실’처럼 써도 재미있어요. 한 글자만 붙일 적에는 ‘홀’을 써서 ‘홀몸’이나 ‘홀소리’처럼 썼지요. 그러니 예전 말투라면 ‘홀밥·홀놀이·홀책·홀마실’처럼 써야 알맞고, ‘함께밥(같이밥)·함께놀이(같이놀이)·함께책(같이책)·함께마실(같이마실)’ 같은 새 낱말을 지을 수 있는 셈이에요. 다시 말해서 ‘혼잣밥·혼잣놀이·혼잣책·혼잣마실’처럼 쓸 만한 말이었는데 요즈음 ‘혼밥·혼놀이·혼책·혼마실’ 같은 재미난 새말이 태어났어요. 2016.9.2.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