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원고지 10장 : 글을 써 달라고 하는 곳이 있으면 꼭 “원고지로 몇 장입니까?” 하고 묻는다. ‘A4 한두 장’이나 ‘A4 서너 장’이라고 하면 종잡을 길이 없다. 더구나 이렇게 써 달라고 하는 데치고 글을 글로 바라보거나 여미지 않더라. ‘문화’를 다룬다고 하는 나라일터(공공기관)에서 내라는 글자락(서류)을 보면 ‘200자·400자·800자·1000자’처럼 제대로 밝힌다. 셈겨룸(시험문제)에서도 ‘글씨로 몇’만큼 써야 하는지 똑똑히 밝힌다. 인천 미추홀구에서 내는 〈나이스미추〉에서 우리말 이야기를 써 달라고 해서 써서 보냈다. ‘A4 종이 한두 장’을 말하기에 “그렇게 말하면 안 된다”고 “원고지로 딱 잘라서 몇 장을 써야 하는가 알려주어야 한다”고 했다. 그곳에서는 ‘원고지 10장’이라 하더라. 그래서 ‘원고지 10장’에 맞추어 줄거리하고 이야기를 잡아서 썼다. 그런데 이들은 글이 길다며 ‘A4 종이 한 장’으로 잘라 달라고 한다. “A4 종이 한 장이라고 하면 길이를 알 수 없습니다. 원고지로 셈해서 말씀하셔요.” 하고 대꾸했지만, 딴소리만 한다. 더구나 그들 스스로 글길이를 잘못 말했으면서 “잘못했다”나 “미안하다” 같은 소리도 없다. 그들 할 말만 하더니 전화를 뚝 끊는다. 땀흘려 일하는 벼슬꾼(공무원)도 있을 테지만, 엉터리 벼슬꾼도 많다. 이들은 나한테 “글이 어려우니 쉽게 써 주셔요.” 하는 말을 다섯 벌쯤 보태기도 했다. 이들이 말하는 ‘쉬운 글’이란 뭘까? ‘나이스미추’라는 이름이 쉽다고 여기는가? 인천 남구(미추홀구)는 숲노래 씨가 태어나서 어린날을 보낸 골목마을이지만, 예나 이제나 그 골목마을 벼슬꾼이 참하거나 착하다고 느낀 적이 아직 아예 없다. 우리 어머니가 그들(그 골목마을 공무원)한테서 받거나 겪어야 한 꾸지람을 잊지 못 한다. 어릴 적에 어머니 치맛자락을 붙잡고서 함께 동사무소에 갔는데 어머니더러 “잘못 썼다”는 둥 “한자도 못 읽고 못 쓴다”는 둥 “이런 쉬운 것도 왜 못 쓰느냐”는 둥, 30분 넘게 타박을 했지. 마흔 해쯤 앞서 우리 어머니는 아뭇소리도 못 하고 고개만 주억거릴 뿐이었다. 이 꼴을 여러 해 지켜본 어느 해에 열 살 아이가 천자문을 빠짐없이 익히고서, 이다음부터 동사무소에서 뭘 써서 내야 할 일이 있으면, 어린 내가 다 써서 냈고, 동사무소 공무원이 트집을 잡을라 치면 “아저씨가 잘못 읽었어요”라든지 “아줌마가 틀렸어요” 하고 옆에서 거들었다. 골목마을 다른 할매나 아주머니도 으레 동사무소 공무원한테 타박이며 꾸지람을 들었기에, 어머니를 따라 동사무소에 간 날이면, 이웃 할머니하고 아주머니 글자락도 으레 써 주곤 했다. 열네 살이 되어 중학교에 갈 적부터 더는 어머니하고 동사무소에 함께 가서 어머니를 거들지 못 했다. 2023.9.1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완전무장지대 : ‘비무장지대’란 헛소리이다. 거짓말이다. 터무니없다. 이름은 ‘비무장지대’라지만 남녘도 북녘도 꽝꽝꽝·펑펑펑(미사일·폭탄·지뢰·전차) 그득그득하다. 허울만 ‘비무장지대’이다. 그런데 이곳 ‘비무장지대’에 깃들기 앞서까지는 어떤 터전인지 참으로 몰랐다. 둘레에서 ‘비무장지대’라 말하니 그러려니 여겼다. ‘비무장지대’에서 보낸 스물여섯 달(1995.11.∼1997.12.)은 ‘삶눈(삶을 보는 눈)’을 송두리째 바꾸었다. 우리가 다같이 속는 허울말에 치레말에 겉말을 날마다 보고 느꼈다. ‘각티슈 상자’에 투표용지를 넣어서 모으는 ‘1997년 대통령선거’를 싸움터(군대)에서 치르면서 ‘부정선거’란 이런 짓을 가리키는구나 하고 느꼈다. 사단장이 짚차를 타고 지나간대서 한 달 동안 멧길을 반반하게 다지는 ‘도로보수 공사’를 했고, 또 ‘사단장 선물’로 줘야 한다면서 모든 중대원이 멧숲을 뒤져서 ‘곰취작전’을 해야 했다. ‘곰취작전’이란, 사단장이란 놈한테 ‘곰취’를 열 자루 채워서 주어야 하는 일이다. 21사단에 있던 나는 ‘베트남전쟁에서 쓰던 소총에 박격포’를 그대로 물려받아서 썼다. ‘사단 연합 훈련’을 하며 만난 27사단 또래들은 ‘한국전쟁에서 쓰던 박격포’를 쓰더라. 그나마 내가 있던 21사단 박격포는 ‘두어 벌 재면 한 벌은 쏠 수 있’었는데, 27사단 박격포는 ‘아예 쏠 수 없는 헌쇠(고물)’를 그냥 들고 다니더라. 곰곰이 보면, 북녘도 크게 안 다르리라 느낀다. 우리가 쓰던 ‘K2 소총’은 베트남전쟁에서 쓰던 낡은 쇠붙이라서 열 벌이나 스무 벌을 못 쏘기 일쑤였다. 날마다 그렇게 기름을 먹이고 닦고 조여도 서너 벌을 쏘면 걸리거나 먹힌다. 한 벌조차 못 쏘는 총이 수두룩했다. 우리는 뭘 했을까? 쏠 수도 없는 총에 박격포에 기관총에 무반동총을 힘겹게 짊어지면서 멧골을 넘고 눈길을 타고 들길에서 뒹굴면서 뭘 한 셈일까. 북녘 젊은이도 비슷하리라. 숱한 젊은이는 무늬만 ‘군인’으로 젊은 나날을 흘려보내면서 ‘나라가 시키니 허수아비 노릇을 하는 종살이’를 하는 셈이다. 이런 데가 ‘비무장지대’이다. 그러고 보면, ‘겉으로는 잔뜩 쥔 총칼’이지만, ‘막상 쏠 수도 없는 헌쇠붙이’인 꼴이니, ‘완전무장지대인 척하는 비무장지대’가 맞을는지 모른다. 1998.1.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임옥상 할배 또는 꼰대 : 응큼짓(성추행)을 저지른 할배 임옥상이란 이름이 나돈다. 응큼짓을 저질렀으나 썩 뉘우치는 빛도, 창피하다는 낯도 없다. ‘글과 사람’은 다를까? 아니다. ‘글과 사람’이 다르다면, 고은·서정주·모윤숙·김활란·신경숙·박목월을 모두 나란히 ‘글(문학·예술)’로만 바라보아야겠지. 곰곰이 보라. 검은짓을 일삼은 이들치고 뉘우치거나 창피하다고 고개를 숙인 이가 누가 있는가? 뉘우침글(참회록)을 쓴 어른으로는 이원수 님 한 분을 빼고는 도무지 보기 어렵다. 왜 ‘이원수 기념관’이 그대로 있겠는가? 이원수 님은 총칼수렁 막바지에 아이들을 먹여살리려고 일본바라기를 했지만, 일본이 물러난 뒤에는 모든 총칼(이승만·박정희 독재)에 맞서서 어린이를 지키려고 힘썼다. 서슬퍼런 나라에서 우두머리(이승만·박정희 독재자)를 나무라는 글을 썼고, 어린이가 스스로 눈을 뜨고 일어나라고 북돋우는 글을 폈고, 전태일을 기리는 글을 1970년에 써내기까지 했다. 이원수 님은 1981년 1월에 숨을 거두기 앞서 딸아이 손바닥에 손가락으로 〈겨울 물오리〉라는 노래를 마지막으로 남겼다.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넘어선 얼음나라에서 손가락으로 겨우 남긴 글자락은 오늘날까지 이어서 우리 아이들한테 밑힘으로 흐른다. 그러면 임옥상 할배는 이제라도 뉘우칠 수 있을까? ‘공탁금’ 2000만 원을 앞세워 슬그머니 빠져나오면 되는가? 잘못을 뉘우친다면 스스로 모든 그림을 끌어내려서 불태울 줄 알아야 하지 않을까? 뻔뻔한 임옥상 할배를 감싸려는 무리는 풀빛모임(시민단체) 같지 않다. 뻔뻔하게 구는 그림할배를 따갑게 나무라면서 먼저 이이 그림을 끌어내리고 치울 노릇이지 않을까? 나이만 먹고 철들지 않는 이를 가리켜 꼰대라고 한다. 늘그막에 “임옥상 할배”로 남을는지, 아니면 “임옥상 꼰대”로 뒹굴려는지, 스스로 돌아보기를 바란다. 임옥상 씨는 이녁 누리집에 아직도 뉘우침글(반성문)조차 안 올렸더라. 대단하다. 2023.9.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조선일보한테서 이런 소리를 들어야 하나?

너무 창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신학림 책값 1억 6500만 원 : 2023년 9월 첫머리를 ‘책값’이 달군다. 신학림 씨가 받았다는 책값은 1000자락도 500자락도 100자락도 아닌, 고작 1자락(셋이 한묶음)인데 1억 6500만 원이었단다. 모름지기 글바치한테는 ‘기자 윤리강령’ 같은 ‘지킴길’이 있다. 시·소설·수필을 쓰는 글바치뿐 아니라, 교사·교수·기자로 붓을 놀리는 모든 글바치가 스스로 지키고 돌아보고 새기는 다짐(윤리강령)일 텐데, 글삯은 제대로 받되, 검은돈·뒷돈·몰래돈은 모두 물리쳐야 한다고 여긴다. 왜 그러하겠는가? 검은돈·뒷돈·몰래돈을 받고서 쓰는 글은 참글이 아닌 거짓글로 기울 테니까. 왼쪽이건 가운쪽이건 오른쪽이건 똑같다. 글을 쓴 삯만 받을 노릇이다. 넘치는 글삯은 물리쳐야 맞다. 글바치로서 일군 열매인 글이나 책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글 한 자락이나 책 한 자락에 천만 원이나 일억 원을 받아야겠는가? 아니다. 물리쳐야지. 그러나 신학림 씨는 뉘우칠 줄 모를 뿐 아니라, 창피도 부끄럼도 없다. 더구나 이이를 감싸려는 몇몇 글바치(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도 입을 싹 씻거나 딴청을 부린다. 붓을 쥐고서 참빛을 밝히려는 길에 서려는 사람이라면, 모든 말썽·잘못·티끌·허물을 말끔히 털고 씻을 노릇이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여느 어버이도 아이 곁에서 말썽·잘못·티끌·허물을 말끔히 털고 씻을 노릇인데, ‘글잡이’라는 사람은 언제나 정갈하고 밝게 눈을 뜨고 말을 펴도록 스스로 갈고닦고 벼리고 씻고 다스릴 일이다. 부디 신학림 씨는 1억 6500만 원 가운데 16만 5천 원만 남기고서 모두 뱉어내기를 바란다. 낛(세금)도 내기를 바란다. 그리고 다시는 붓을 쥘 생각조차 하지 않기를 바란다. 2023.9.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군사시설 : 전남 고흥 나로섬에 때려박은 ‘우주발사대’가 ‘우주선 쏘는 곳’이 아닌 ‘군사시설’인 줄 시골 푸름이조차 알더라. 다만, 모르는 시골 푸름이도 제법 있으나, 스스로 생각하면서 스스로 하루를 그리는 푸름이는 바로 알아보더군. 그렇지만 숱한 ‘어른’이란 이름인 이들은 그곳이 군사시설이 아닌 듯 숨기거나 덮어씌우기에 바쁘다. 이러면서 남몰래 고흥만에 ‘경비행기시험장’을 끌어들였고, 이곳에서 ‘무인군사드론 실험’을 꾸준히 이었으며 ‘군공항’을 뒷길로 끌어들이는 짓도 해왔다. 전남 벌교에서 전남 고흥으로 들어서는 ‘고속도로 같은 네찻길’이 있는데, 이 네찻길 사이사이에 ‘군사시설’이 있다. 그런데 이 잿더미가 군사시설인 줄 까맣게 모르더라. 강원 멧골짝 ‘완전무장지대(비무장지대가 아니다)’로 들어서면 숱하게 나오는 잿더미요, 서울에서 일산·파주로 가는 찻길에도 이런 잿더미가 있다. 북녘이 남녘으로 쳐들어오면 북녘 싸움수레(탱크)가 못 지나가도록 길막이를 하려고 ‘가로지르는 길’처럼 꾸며놓은 묵직한 잿더미(시멘트블록)인데, 이 따위가 시골 한복판에 버젓이 있는 꼴을 못 알아본다면, 어떻게 그대를 ‘어른’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저 철없는 바보일 뿐이다. 2021.8.2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