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자가용 안 버리는 :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책을 읽나?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사랑을 하나?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숲을 품고 아끼고 돌보나?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아이를 돌보나?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죽음 아닌 삶을 바라보나? 자가용을 안 버리는데 어떻게 하루가 즐겁나? 자가용을 모는 그대는 가을에 풀벌레노래가 얼마나 구성진지 못 듣는다. 자가용을 모는 너는 봄에 푸릇푸릇 올라오는 잎내음이 얼마나 고운지 못 느낀다. 자가용을 모는 이녁은 겨울에 하얗게 덮는 찬바람이 얼마나 포근히 꿈길로 이끄는지 못 알아챈다. 자가용을 안 버리는 우리는 여름에 후끈후끈 내리쬐는 햇볕이 얼마나 열매를 속깊이 익히면서 이 별을 보듬는지 조금도 배울 길이 없다. 2022.9.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작가 차림 : “누구시지요?” “오늘 이곳에 강의를 하러 온 사람입니다.” “아, 네, 작가 선생님이시군요. 그런데 복장이 자유로우시네요?” 빙그레 웃는다. 대꾸하려다가 그만둔다. 이를테면 “네, 그러면 복장이 구속적이어야 하나요?”라든지 “넥타이에 양복을 갖추고 자가용을 몰아야 강의를 하는 차림새인가 보군요?”처럼 되물을 만하리라. 그런데 나는 ‘우리말·한글’을 들려준다.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쓴다. 말글을 다루는 사람은 ‘말글을 보아야’ 할 뿐, ‘겉모습이나 허울이나 껍데기’를 볼 까닭이 없다. 말글을 다루는 터전과 사람을 보아야 할 뿐, 차림새나 생김새를 볼 까닭이 없다. 겉으로 으리으리하게 꾸미면서 우쭐거리더라도 ‘말풀이’를 멋스럽게 붙일 까닭이 없다. 언제나 삶결을 그대로 말풀이로 갈무리할 뿐이다. ‘인사치레’란 언제나 ‘겉치레’이다. 치레하는 말을 쓸수록 스스로 허울에 갇히거나 잠긴다. 살림을 하고 사랑을 하면서 삶을 노래하는 결로 차근차근 거듭나려 한다면, 허울이 아닌 속빛을 북돋아 꿈을 짓고 펴는 ‘사람’으로 서리라. 2023.9.2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바가지 : 찰칵이(사진기)를 새로 장만해야 할 적에 새것으로 들이기도 하지만, 헌것으로 갖추기도 한다. 새것으로 살 돈이 모자라면 헌것을 쓰고, 바깥일을 보다가 갑자기 찰칵이나 눈(렌즈)이 멎으면 부랴부랴 ‘헌것이라도 있으면 고맙다’고 여기면서 산다. 1998년부터 찰칵이를 장만하고 고치면서 돌아보노라면, ‘멀쩡한 헌것’을 사고파는 분이 틀림없이 있으나, ‘안 멀쩡한데 감추는 헌것’을 사고파는 분이 수두룩하다. 멀쩡한 것을 제값을 받으면 안 아쉽다. 안 멀쩡한 것에 덤터기를 씌우는 바가지를 하니 얄궂다. 바가지랑 ‘안 바가지’는 어떻게 알아보는가? 척 보아도 싸하게 느낀다. 싸하게 느끼지만 ‘이곳에서 찰칵이를 바로 장만해야 바깥일을 볼 수 있는걸’ 하는 마음에 ‘알면서 덤터기를 쓴’다. 바가지를 씌우는 가게일꾼은 마치 이모저모 챙겨 주는 듯 움직인다. 바가지를 안 씌우는 가게일꾼은 이녁 일삯만큼만 길미를 남기고서 사고판다. 가게일꾼은 ‘바가지’가 아닌 ‘장사하는 일’을 할 노릇이다만, 장사하는 일보다 바가지로 기우는 가게일꾼이 흔하다. ‘삶·살림·사랑을 담아내는 일’을 바라보면서 즐거이 여미는 글꾼이 드물고, ‘치레·꾸밈·덧바름·허울·겉멋’에 사로잡히는 글꾼이 흔한 이 나라하고 닮았다고 느낀다. 장사판만 바가지일 수 없다. 글판도 바가지요, 나라판(정치·사회)도 배움판도 바가지이다. 2023.9.1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캐논 100디 화이트 : 열 살 무렵인 1984년에 아버지 찰칵이로 구름을 찍으며 논 적이 있다. 아버지가 안 쓰는 ‘낡은 전자동 값싼 찰칵이’를 마을 전파상에서 고친 다음에 마실날(소풍·수학여행) 챙겨서 동무를 찍어 주기도 했다. 빛꽃을 담는 길은 1998년 봄에 비로소 배웠고, 이해 여름부터 ‘헌책집’이라는 곳을 스스로 담아서 둘레에 알리고 나누자고 생각하며 살았다. 가난살림으로 구를 무렵에는 새것을 살 엄두를 못 내면서 헌것을 사서 쓰다가 고치고 또 고치다가 숨을 거두면 비로소 ‘새 헌것’을 장만했다. 필름을 쟁여 찍던 무렵이다. 2006년으로 접어들어 이제는 필름으로만 찍기 어려운 줄 느껴 디지털로 건너가는데, 디지털은 헌것으로 사다가는 바가지를 쓰기 좋더라. 여러 디지털을 쓰다가 ‘캐논 100디 화이트’가 ‘35밀리 필름찰칵이 빛결’하고 아주 닮은 줄 느꼈다. ‘니콘 기계식 찰칵이 + 일포드 델타400 흑백필름’으로 얻은 빛결을 ‘캐논 100디 화이트’로 느낀 뒤, 이 찰칵이가 마르고 닳도록 곁에 두는데, 이제 더는 새것이 안 나오는 터라 헌것만 이래저래 찾아서 쓴다. “작품사진을 하려면 적어도 ‘마크 투’나 ‘마크 쓰리’로 가야 하지 않나?” 하고 묻는 이웃님이 많다. 그런데 ‘캐논 100디 화이트’는 ‘헌책집’이라는 책터를 담아내기에 가장 어울린다고 느낀다. 더 높은(고사양) 찰칵이를 손에 쥐기에 더 훌륭하거나 빼어난 빛꽃(사진)을 얻지는 않는다. 자리에 맞게 다루는 찰칵이가 있다. 사람이 살림하는 사랑을 바라보고 풀어내는 숨결은 ‘더 좋은’도 ‘더 뛰어난’도 아닌 그저 ‘푸르게 사랑’일 뿐이다. 오래도록 ‘일포드 델타400 흑백필름’을 ‘1600 증감’으로 찍어 왔는데, 이 필름을 우리나라에서 더는 살 수 없는 날까지 마지막 필름 한 통을 아끼면서 찍고 감았다. “왜 굳이?”라고 물어야 할까? 2억쯤 값이 나가는 두바퀴(자전거)여야 가장 잘 달릴까? 5000만 원쯤 값을 하는 두바퀴가 멧길을 가장 잘 탈까? 200만 원쯤 값이 나가는 두바퀴를 착착 접어야 가장 수월할까? ‘틀(기계)’을 본다면, 줄을 세워서 첫째부터 꼴찌까지 늘어놓을 수 있겠지. 그러나 ‘삶’이며 ‘글’을 본다면, 어떤 줄도 세울 수 없고, 어떤 높낮이도 따질 수 없다. 2023.9.1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작가노조 : 일두레(노동조합)는 ‘먹고살 만하다’거나 ‘잘 먹고산다’고 할 만한 일꾼(노동자)이 모여서 두레를 하는 자리가 아니다. 도무지 먹고살 만하지 않거나, 그야말로 먹고살기 빠듯한 일꾼이 깨알만 한 힘을 그러모아서 목소리를 내는 자리이다. ‘작가노조’를 꾀하려는 분들 목소리를 제법 예전부터 들었지만 예나 이제나 시큰둥하다. ‘작가노조’가 생기더라도, 숲노래 씨는 그곳에 몸담을 마음이 터럭만큼도 없다. 참말로 일두레란, ‘흙두레(농사꾼노조)’부터 있을 노릇 아닌가? 오늘날 ‘농협’은 흙살림을 짓는 사람들 자리에 안 선, ‘지역 기득권 독점단체’일 뿐이다. 그리고 ‘아이두레(육아노조)’부터 있어야 하지 않을까? 흔히 ‘독박육아’라 하듯, 홀로 아이를 맡아 돌보면서 고단한 어버이가 넘쳐난다. 여기에 ‘숲두레’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오늘날 숱한 환경단체는 시골이나 들숲바다에서 살지도 않을 뿐더러, 들숲바다 목소리를 들말·숲말·바다말로 들려주는 노릇조차 못 한다. ‘문인단체’에 ‘작가회의’가 있는데 작가노조는 왜 더 있어야 할까? 숱한 문인단체하고 작가회의가 엉터리에 엉성하기 때문에 작가노조가 있어야 한다고 여길 수 있다. 그러면 문인단체하고 작가회의가 여태까지 어떤 ‘밥그릇 큰잔치’를 벌여 왔는지부터 낱낱이 밝히고 까고 알리기를 바란다. 또한 작가노조를 꾀하는 분들 스스로, 한 해 글삯을 얼마쯤 받는지 또렷하게 다 밝히기를 바란다. 끼리끼리 보아주고 감싸주고 치켜세우는 문인단체·작가단체하고 나란히, 똑같이 끼리끼리 보아주고 감싸주고 치켜세우는 작가노조가 될 듯해 보이기에, 그곳에 깃들 마음이 없다. 그냥 봐도 알 수 있다. 신문·잡지·매체에 글을 싣는 사람은 하나부터 열까지 그 나물에 그 밥이지 않은가? 이러면서 강연·강좌에 초중고등학교 특강까지 그들이 끼리끼리 차지하면서 돌라먹기에 나눠먹기를 하지 않는가? ‘글두레(작가노조)’를 여는 마음은 하나도 안 나쁘다. 그러나 그들 가운데 근로장려금을 받는 글쟁이는 몇이나 있을까? ‘근로장려금’이 뭔지 알기나 할까? 그들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 있을까? 그들 가운데 ‘특정 정치인 지지’를 안 하면서 ‘아이들 곁’하고 ‘들숲바다 곁’에서 살림을 지으면서 살아가는 이는 몇이나 될까? 모임삯(노조 회비) 오천 원∼만 원에도 벌벌 떠는 살림인 ‘작은글꾼’ 살림살이를 어느 만큼 헤아리면서 글두레(작가노조)를 하겠다며 목소리를 내는지 그저 아리송할 뿐이다. 아는가? ‘조중동’에 글을 싣는 사람 가운데 어느 누구도 ‘글두레(작가노조)’ 얘기는 벙긋조차 하지 않는다. 그러면 뭐가 잘못이거나 말썽일까? 또다른 끼리질(카르텔)을 쌓으려 하지 말고, 글두레가 없이도 그들 스스로 바꿀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면 된다. 2023.9.1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