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이어폰 : 인천·서울에서 살며 칙폭길(전철길)을 다니거나 거님길을 지날 적에 이따금 ‘라디오 소리를 크게 트는 아재나 할배’를 스치곤 했으나, 이제 서울에서는 이런 얼뜬 사람은 드물다. 다만 ‘거룩말씀·거룩노래’라면서 이녁 믿음(종교)을 퍼뜨리려고 떠드는 사람은 곧잘 있다. 전남 고흥에서 살며 시골버스에서든 버스나루에서든 길에서든, 손전화로 누리놀이(인터넷게임)를 하거나 그림(유튜브 동영상)을 보며 시끄럽게 소리를 트는 아재나 할배나 어린이나 푸름이나 젊은이를 자주 스친다. 이들은 스스로 무슨 짓을 하는지 헤아리지도 않고, 이들을 나무라거나 타이르거나 따지는 사람은 없다시피 하다. 얼근한 얼굴로 누리놀이를 하는 아재한테 “소리 좀 끄시오” 하고 나무랄 사람이 없을 듯싶기도 하다. 우루루 무리지어 누리놀이를 하는 푸름이를 보며 “이어폰을 써야 하지 않니?” 하고 타이를 사람도 없을 듯싶다.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배움터에서 손전화를 내놓고서 배운다고 하지만, 정작 손전화를 받을 적에 “길이나 버스나 열린터(공공시설)에서는 소리를 틀지 않고, 귀에 꽂고서 들어야 합니다.” 하고 듣거나 배운 적이 아예 없을 수 있겠다고 느낀다. 길잡이(교사)도 어버이(부모)도 이녁 아이들이 길이나 버스에서 어떤 몸짓인지 하나도 모를 만하리라. 그런데 생각해 보자. 우리가 걸어다니는 모든 길에 “담배꽁초 버리지 마시오. 담배 함부로 피우지 마시오.” 하는 알림판을 끝없이 세워야겠는가? “사람을 때리지 마시오. 길고양이를 걷어차지 마시오.” 하는 알림판을 온갖 곳에 잔뜩 세워야겠는가? 요새 배움터는 들머리(교문 주변)에 ‘학교폭력 예방·금지’를 알리는 글씨를 크게 붙이는데, 이런 글씨를 붙여야 바보짓(폭력)을 멈출 수 있을까? 알림판을 안 세우더라도, 사람으로서 됨됨이를 다스릴 노릇이다. 굳이 알림말을 들려주지 않더라도, 어릴 적부터 집이며 마을에서 마음결을 사랑으로 포근히 돌볼 노릇이다. 아주 조그맣게 보이는 매무새를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추스르지 못 할 뿐 아니라, ‘어른 아닌 꼰대’인 아재하고 할배가 길과 버스에서 허튼짓을 멈추지 못 한다면, 시골은 더더욱 곯다가 텅텅 비어 사라질 만하겠지. 어버이여!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손전화만 사주는가? 왜 소릿줄(이어폰)을 안 사주는가? 어버이여!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길과 버스에서 소릿줄을 귀에 꽂고서 둘레에는 시끄러운 소리를 안 퍼뜨려야 하는 가벼운 매무새를 가르치지 못 한다면, 그대는 어버이가 맞는가? 2023.10.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국군의 날 : 열세 살 작은아이가 문득 “아버지, 왜 ‘국군의 날’은 있고, ‘숲의 날’은 없어요? 사람들이 알아야 할 것은 숲이지 않아요? 숲을 모르고 전쟁무기만 내세우면 어떡해요?” 하고 묻는다. 여러모로 알아보니 2012년에 유엔에서 3월 21일을 ‘International Day of Forests’로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세계 숲의 날’이나 ‘세계 산림의 날’쯤으로 옮기는 듯한데, 우리말을 제대로 쓰자면 ‘숲날’이나 ‘온숲날’이나 ‘온누리 숲날’이라 해야겠지. 그러면 ‘숲날·온숲날’에는 무엇을 할 만할까? 사람들이 나무를 심을 만한 빈터가 이 나라 어디에 있을까? 이미 나무가 자라는 옆에 어린나무를 박는가? 부릉부릉 매캐한 길을 걷어내고서 나무를 심어 숲으로 돌리는가? ‘공공기관·아파트·군대·공장·관광지·긴다리·터널·케이블카’를 걷어내고서 나무를 심을 짬을 마련하는가? 누구나 보금자리에서 “마당에 심어 돌보는 나무”를 누리지 않는다면, ‘숲날·온숲날’ 같은 이름을 2012년부터 쓴다고 하더라도 허울로 그친다. 더구나 ‘숲’이라는 우리말조차 못 쓰면서 ‘산림·삼림’이라 한다든지, ‘풀·푸르다’라는 우리말마저 안 쓰면서 ‘에코·그린·청정’이라 한다면, 겉치레로 그치게 마련이다. ‘숲날·온숲날’은 목돈을 들여서 자랑하거나 잔치를 벌이는 날이 아니다. 한글날·스승날·어버이날 같은 때도 돈을 들여서 뭘 보여주거나 치켜세워야 하는 날이 아니다. 한 해 내내 스스로 푸르게 마음을 추스르고 가꾸고 일구면서 사랑을 품을 적에 비로소 숲빛에 풀빛으로 사람다운 넋을 돌아보리라. 2023.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남이 해주는 밥 : “남이 해주는 밥이 가장 맛있더라.” 하고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뜨악하다. 나는 “내가 지은 밥이 가장 맛있다.”고 밝힌다. 간장에 맨밥을 말건, 식은밥을 고추장에 비비건, 손수 짓고 차려서 누리는 밥이 가장 맛있다고 여긴다. 어떻게 남이 해주는 밥이 맛있을까? 이런 마음이라면 “남이 써주는 글이 가장 아름답다”고 여기게 마련이고, “남이 일을 해주면 가장 수월하다”고 여기리라. 나는 언제나 “내가 스스로 쓰는 글이 내 마음을 살찌운다”고 여기고, “어떤 일도 고되거나 힘들 까닭이 없이 스스로 기꺼이 맡으면서 스스로 새롭게 거듭난다”고 여긴다. 이따금 “남이 해주는 밥”을 먹을 수 있고, 으레 “남이 쓴 책”을 읽지만, 언제나 “내 삶을 내 손으로 스스로 쓰”고, “내 하루를 내 눈빛으로 추스르고 갈무리해서 스스로 여미어 책으로 지”으려고 한다. 2004.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대수롭다 : 네가 어느 집에 살건, 내가 어느 곳에 살건 대수롭지 않다. 네가 무슨 일을 하건, 내가 무슨 꿈을 꾸건 대수롭지 않다. 너도 나도 저마다 다르게 별이다. 나도 너도 서로 다르게 숲이다. 우리는 모두 다르게 빛이다. 너는 네 삶을 짓는다. 나는 내 오늘을 짓는다. 너는 네 사랑을 가꾼다. 나는 내 숨빛을 가꾼다. 우리는 서로서로 살림길을 걸으면서 살림꽃을 피우는 마음이다. 모든 일이 대수롭지 않은 줄 안다면, 모든 일은 똑같이 대수로우면서 반짝반짝 영글어 즐겁고 아름답게 살림살이로 사랑으로 이야기로 글쓰기로 일놀이로 피어난다. 2023.9.2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아름길 : 아름다운 책을 찾아나서는 길이란, 나부터 아름다운 눈빛과 손빛이 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1999.9.30.


美しい本を探す道とは、私から美しい目と手の色になる道だと思います。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