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주례사는 비평인가 : 곰곰이 생각해 본다. ‘주례사 비평’이란 말은 아주 틀렸다. ‘주례사’는 ‘비평’일 수 없고, ‘비평’은 ‘주례사’일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쏟아지는 책에 ‘비평’은 거의 안 실린다. 하나같이 ‘주례사’이다. 그런데 다들 ‘비평’이란 이름을 붙인다. 치켜세우거나 오냐오냐 하는 글이 비평일 수 없다. 주례사일 뿐이다. 꽃잔치(혼례식)이기에 꽃말(주례사)을 하겠지. 새로 나온 책이니 잘되라는 뜻으로 꽃말만 그득그득 담을 수 있겠지. 다만, 책이 나오고 난 뒤에 우리는 ‘이야기(비평)’를 들려주어야 한다. 꽃잔치를 마친 지 한참 지났는데에도 언제까지 오나오냐 할 셈인가? 우리 스스로 ‘좋아하는 글바치’라면 더더욱 따갑게 아프게 이야기를 들려줄 노릇이다. 생각해 보라. 그대가 좋아하는 사람이 벼랑길로 달려가는데 안 말리겠는가? 그대가 좋아하는 글바치가 곤두박질을 하는데 안 붙잡겠는가? 막장으로 치닫는 글바치가 스스로 눈을 번쩍 뜨도록 따갑고 아프게 이야기(비평)를 하는 이들이 사라진다. 사라질 뿐 아니라, 이야기(비평)를 하는 사람을 나무라거나 내치기까지 한다. 이제 온나라가 오냐오냐판이다. ‘서이초·주호민·왕의 DNA’에 ‘고은·신경숙·안희정·신학림·임옥상’ 따위가 어디에서 비롯하고 불거졌겠는가? 바로 이 오냐오냐판을 스스로 일으키고 세운 우리한테서 싹텄다. 2023.10.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살아가는 힘 : “무엇을 믿으며 살아가는가?” 하고 묻는 분이 곧잘 있기에 “아무것도 안 믿고, 나 스스로도 안 믿고, 하늘도 안 믿습니다. 밀어붙이는 길인 믿음은 제가 살아가는 길하고 한참 멀어요.” 하고 대꾸한다. 이러고서 “믿지 않고 생각할 뿐입니다. 생각하면서 헤아릴 뿐입니다. 헤아리다가 돌아보고, 돌아보다가 스스로 걸어갈 오늘 하루는 오직 사랑하는 길일 뿐인 줄 느낍니다. 그리고 이 사랑은 숲빛으로 푸르게 품고 풀면서 할 적에 스스로 살아가는 빛으로 샘솟는구나 하고 알아차립니다.” 하고 보태어 이야기한다. 2010.10.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손끝 발끝 결려서 : 밤 한 시에 일어나 하루를 연다. 새벽 여섯 시에 이웃마을로 걸어가서 첫 시골버스를 타야 하기에, 이때까지 여러모로 집안일과 글일을 추스른다. 새벽 여섯 시 사십오 분에 들어오는 시골버스를 탄다. 꾸벅꾸벅 졸면서도 노래꽃(시)을 한 자락 쓴다. 고흥읍에 닿는다. 여수로 들어가는 버스를 기다리면서 선 채로 졸지만 눈썹살과 눈두덩과 뒷머리와 뒷목을 천천히 주무르면서 하루쓰기(일기)를 더 한다. 이제 시외버스가 들어오는 아침 일곱 시 이십 분. 자리에 앉자마자 까무룩 곯아떨어진다. 십오 분쯤 죽은 듯이 쓰러졌다가 스르르 눈을 뜬다. 여수남초등학교 삼학년 어린이한테 들려줄 이야기는 며칠 앞서부터 다 추슬렀으나, 새롭게 돌아본다. 어린이가 쓴 글을 다시 읽으면서 손질해 놓는다. 아침 열 시 오십 분부터 ‘긁읽눈(문해력 증진 수업)’을 편다. 이미 한 시간쯤 앞서 어린배움터에 닿아서 노래꽃을 한 꼭지 더 썼고, 커피를 마시고 물을 마시고 손낯을 씻으면서 잠을 쫓는다. 열두 시 이십 분에 오늘 이야기꽃(강의)을 마친다. 여러 ‘글살림 등짐’을 짊어지고서 여수 시내를 걷는다. 이튿날에는 죽림초등학교 어린이하고 이야기꽃을 편다. 이때에 쓸 종이를 마련하려고 글붓집(문방구)을 어림하지만, 요새는 배움터 앞에 글붓집이 없다. 요새는 글붓집이 아닌 ‘다이소’에 가야 붓도 종이도 살 수 있다. 한참 걸었다. 여수 시내버스를 탔다. 여수 마을책집 한 곳을 찾아가려고 오르막 골목을 한참 걸었는데, 책집은 사라지고 찻집(카페)만 덩그러니 있다. 아, 헛걸음이로구나. 터덜터덜 걷자니 동동다리 곁에 어린이놀이터가 있네. 걸상에 주저앉아 다리를 쉰다. 땀에 젖은 웃옷을 갈아입는다. 이제 열네 시를 조금 넘는다. 길손집은 열다섯 시부터 연다는데 어찌할까 망설이면서 해바라기를 하다가 그냥 들어가 보기로 한다. 한 시간 일찍 들어가는 김에 1만 원을 더 치른다. 발을 씻고 고무신을 헹구고, 땀에 젖은 옷을 빨아서 옷걸이에 꿰고 나니 기운이 다한다. 손끝 발끝 머리끝이 온통 결린다. 쓰러진다. 쓰러져서 세 시간쯤 그대로 꿈나라로 날아간다. 2023.10.1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한글날 : 해마다 돌아오는 한글날을 맞이할 적마다 새삼스럽게도 사람들 스스로 말빛하고 글결을 스스로 잊다가 잃는다고 느낀다. 훈민정음날이 아닌 한글날인데 세종 임금만 우러르거나 찾을 뿐 아니라, 주시경이라는 이름은 아예 모르는 채 지나가기 일쑤이다. ‘한글’이란 이름을 지으면서, 스스로 ‘한힌샘’이란 새이름으로 거듭나려 하면서 우리말길을 처음으로 세운 어른을 알아보려는 마음을 스스로 일으키지 않는다면, 우리는 ‘입으로 벙긋벙긋하지만 마음은 꽉 막힌’ 쳇바퀴일 수밖에 없다. 한글날 주시경 님을 돌아보거나 헤아리지 않는 몸짓이란, 아이를 돌보고 사랑하면서 집살림을 사랑으로 거느린 숱한 어머니 숨결과 땀방울을 잊거나 모르는 얼뜬 모습하고 닮는다. ‘훈민정음’이 1400년대에 태어났어도, 주시경 님이 ‘한글’이란 이름을 지은 1900년대 첫무렵이 아니었으면, 이 글씨는 우리글로 쓸 수 없었다. 500해에 걸쳐 뒷전으로 내몰린 글씨가 어떻게 500해 만에 갑작스레 우리글로 자리잡고 퍼져서 ‘총칼일본(일본 제국주의)’을 물리치고서 홀로서기를 이룰 수 있었는지 처음부터 하나씩 살피고 생각할 일이다. 2023.10.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읽는모임 : 같은 책이어도 다르게 보고 읽는 마음을 나누면서 서로 놓친 대목도 헤아리지만, 책 하나를 둘러싸고서 즐거이 어우러지는 바람이 흐르기에 ‘읽는모임’이 즐겁지 싶다. 읽기만 하는 자리가 아닌, 읽는 마음이 모이는 ‘읽는모임’이다. 더 잘 알아내거나 파헤치려는 자리가 아닌, 언제나 새롭게 마주하면서 오늘 이곳에서 누린 삶을 새삼스레 되새기려는 ‘읽는모임’이고. 2021.3.1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