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82] 시골에서 무엇을 할까

― 함께 노는 숲집



  하루 내내 일터에 매이는 삶이라면 누구나 무척 고단합니다. 하루 내내 일터에 얽매여야 한다면 아이와 마주할 겨를이 없고, 아이와 어울릴 틈이 없습니다. 하루 내내 일터에 붙들리는 삶이라면 곁님과 이야기를 나누기조차 어려울 테고, 집에서 느긋하게 쉬지도 못합니다.


  우리는 톱니바퀴가 아닙니다. 우리는 사회 구석구석에서 어느 자리를 맡아서 지켜야 하는 부속품이 아닙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저마다 다른 하루를 짓는 살림꾼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마을에서 하루를 일구면서 저마다 다른 아이를 사랑하고 아끼는 어버이입니다.


  시골에서 무엇을 할까요. 시골지기로서 일하고 놀지요. 도시에서 무엇을 할까요. 도시지기로서 일하고 놀아요. 시골에서는 시골을 가꾸고, 도시에서는 도시를 가꿉니다. 마을에서는 마을을 가꾸며, 나라에서는 나라를 가꿉니다. 들에 서면 들지기가 됩니다. 숲에 가면 숲지기가 됩니다. 학교에서는 학교지기입니다. 집에서는 집지기입니다.


  시골에서 할 일이라면 땅을 밟고, 땅을 만지며, 땅을 노래하고, 이 땅에서 자라는 나무와 풀을 아끼는 일이지 싶습니다. 내 보금자리부터 숲이 되도록 가꾸는 일을 시골에서 할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예부터 자란 우람한 나무를 앞으로도 잘 자라도록 아끼면서, 내가 오늘 이곳에서 살며 새롭게 사랑할 나무를 심을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를 듣다가 내 목소리를 틔워 노래를 부릅니다. 나무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다가 온몸으로 노래를 부릅니다. 햇볕이 따숩게 들려주는 노래를 듣다가 환하게 웃으면서 노래를 부릅니다. 풀벌레와 개구리와 멧새가 이루는 잔치노래를 듣다가 아이들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노래를 부릅니다.


  시골에서는 우리 집부터 푸른 숲집이 되도록 노래를 짓고 웃음을 지으며 이야기를 짓습니다. 시골에서는 우리 보금자리가 일터요 놀이터가 되도록 나무를 심고 흙을 살찌웁니다. 함께 놉니다. 함께 일합니다. 함께 사랑합니다. 4347.12.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81] 아끼는 마음

― 풀내음 맡는 이곳에서



  톱질을 하는 어버이 곁에 서는 아이들은 톱질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톱은 아직 저희가 손에 댈 수 없는 줄 알아차리면서 바라봅니다. 그러나 톱을 만지고 싶고, 저희도 톱으로 무엇인가 켜고 싶습니다.


  망치질을 하는 어버이 옆에 서는 아이들은 망치질을 가만히 쳐다봅니다. 망치는 아직 저희한테 무거워 망치질을 시늉조차 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망치를 쥐고 싶으며, 저희도 망치고 무엇인가 박고 싶습니다.


  아이들은 저희 몸에 맞는 것을 차근차근 찾아서 즐깁니다. 단추꿰기를 익히고, 옷입기를 익힙니다. 손발씻기를 익히고, 설거지를 익힙니다. 작은 심부름을 해내고, 제법 무거운 짐을 함께 나릅니다.


  아이들은 작은 손과 몸으로 작은 일을 거듭니다. 아이한테 커다란 일을 맡기거나 짐을 지우는 어른은 없습니다. 아이는 조그마한 일을 살짝 거들 뿐이지만, 어른은 아이가 보여주는 사랑스러운 손길을 느끼면서 새롭게 힘을 얻습니다.


  큰아이는 작은아이를 돌보고 아낍니다. 어버이는 아이들을 모두 돌보면서 아낍니다. 투박하고 커다란 손으로 아이들을 어루만집니다. 큰아이는 작은아이보다 살짝 큰 손으로 동생을 포근히 어루만집니다.


  서로 아끼는 마음입니다. 서로 아끼는 마음을 키우는 삶입니다. 서로 아끼는 마음으로 하루하루 새롭게 누리는 삶입니다. 풀내음을 맡고 나뭇가지를 쓰다듬는 까닭도, 내가 나를 아낄 뿐 아니라 한식구와 이웃과 동무를 모두 아끼려는 마음으로 노래를 부르고 싶기 때문입니다. 내 땅을 내가 가꾸면서 두 발로 씩씩하게 설 때에 마음속에서 새로운 씨앗이 움트는 기운을 느낍니다. 4347.11.2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80] 아이와 함께 사는 곳

― 시골인가 도시인가



  내가 오늘 사는 이곳은 전남 고흥이고, 고흥군에서도 도화면이요, 도화면에서도 신호리이며, 신호리에서도 동백마을입니다. 우리 마을 어귀로 지나가는 군내버스를 타고 20분을 달려야 읍내에 닿고, 군내버스는 두 시간에 한 대 지나갑니다. 아침 일곱 시 십 분이 첫 버스가 지나가고, 저녁 여덟 시 반에 마지막 버스가 마을 앞을 지나갑니다. 그러나, 마을을 가만히 살피면, 어느 집이든 새벽 네 시 안팎에 하루를 열고, 저녁 예닐곱 시 언저리에 하루를 닫습니다. 저녁 일곱 시가 넘어가면 거의 모든 집에서 불이 꺼지고, 저녁 여덟 시쯤이면 아주 고요합니다.


  우리 집은 시골집입니다. 시골에 있으니 시골집입니다. 시골에서 사는 우리들을 바라보는 이웃은 ‘자연에 둘러싸여 산다’고 말하는데, 곰곰이 살피면 ‘자연에 둘러싸여 산다’기보다 ‘자연을 이웃으로 삼아서 산다’고 말해야 옳지 싶어요. 그리고, ‘자연’이란 어디 머나먼 곳에 있는 어떤 것이 아닙니다. 쉽게 말하자면 ‘숲’입니다. 그러니까, 우리 시골집은 숲을 이웃으로 삼는 집입니다.


  숲은 무엇일까요? 나무가 우거진 곳이 숲입니다. 다만, 나무가 우거진 곳은 나무숲이고, 풀이 우거진 곳은 풀숲입니다. ‘숲’이라고만 한다면 나무와 풀이 함께 우거진 곳입니다. 숲바람이 불고, 숲내음이 흐르며, 숲노래가 퍼지는 곳이 숲입니다.


  시골집에서 숲과 이웃을 하며 지내며 생각합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숲을 누리면서 지낼 만한 곳에서 아이를 키운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와 함께 즐겁게 꿈을 꾸고 사랑을 속삭일 만한 곳에서 산다고 느낍니다. ‘사랑’이 있는 곳을 찾아서 시골집에 깃들었고, ‘사랑’을 씨앗으로 심고 싶어서 숲을 이웃으로 삼습니다.


  도시에서는 사랑씨앗을 심지 못할까요? 아니에요. 도시에서도 사랑씨앗을 심을 수 있어요. 씨앗은 늘 마음으로 심으니까요.


  밭자락에 상추씨를 심든 무씨를 심든 늘 같아요. 먹을거리를 얻으려고 씨앗을 심을 테지만, 먹을거리를 왜 얻으려고 하느냐 하면, 삶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요, 삶을 왜 누리고 싶은가 하면, 하루하루 사랑을 지어서 나누고 싶기 때문입니다. 볍씨 한 톨을 심을 적에도 사랑을 심는 셈입니다.


  어디에서 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어디로 나들이를 다니든 대단하지 않습니다. 마음을 가꿀 수 있으면 어디에서나 아름다운 보금자리입니다. 마음을 돌볼 수 있으면 언제나 사랑스러운 삶터입니다. 다만, 우리 집 사람들은 풀과 나무를 가까이하는 곳에서 지내고 싶은 마음이요, 풀노래와 나무노래가 어우러진 곳에서 살고 싶은 마음일 뿐입니다. 숲이 들려주는 노래를 들으면서, 숲한테 우리 노래를 들려줍니다. 숲에서 퍼지는 냄새를 맡으면서, 우리가 짓는 밥내음을 나누어 줍니다. 함께 지내는 이웃인 숲이요, 서로 아끼면서 사랑이 자라는 시골이며, 다 같이 어깨동무를 하면서 노래할 수 있는 보금자리입니다. 4347.11.20.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79] 입가심 까망알

― 밥도 주전부리도 흙에서



  까망알은 입가심입니다. 아침에 밥을 먹기 앞서 살살 훑어 입에 털어넣으면 입가심입니다. 아침을 먹고 나서 햇볕을 쬐다가 살그마니 슬슬 훑어 입에 집어넣으면 주전부리입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흙에서 얻습니다. 쌀밥도 보리밥도 수수밥도 콩밥도 모두 흙에서 얻습니다. 아이들이 맛나게 먹는 옥수수도 흙에서 얻고, 수박이랑 딸기도 흙에서 얻습니다. 포도랑 능금이랑 배랑 복숭아랑 모두 흙에서 얻어요. 이리 보거나 저리 살피거나 모두 흙에서 자라 우리 몸으로 들어옵니다.


  누군가 물을 테지요. 뭍고기나 물고기는 흙에서 안 오지 않느냐 하고. 네, 얼핏 보면 이렇게 여길 만해요. 그러나, 뭍고기는 풀을 먹고 자랍니다. 사람이 먹는 뭍고기는 모두 풀을 밥으로 삼는 짐승입니다. 바다나 냇물에서 낚는 물고기도 흙에서 비롯해요. 물고기가 어디에 알을 낳을까요? 시멘트바닥에 알을 낳을까요? 아니에요. 물고기는 흙바닥에 알을 낳아요. 돌 틈에 알을 낳는다 하더라도, 냇물이 흐르는 곳에 모래나 흙이 있어야 돌 틈도 있습니다. 바다는 어떠할까요? 바닷가 갯흙은 숲에서 흘러내려온 흙과 모래가 쌓여 이룹니다. 숲흙이 있어야 갯벌이 생기고, 갯벌이 생기면서 영양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요. 바다도 바닥은 흙입니다.


  흙을 밟기에 삶을 꾸립니다. 흙을 가꾸기에 삶을 누립니다. 흙을 아끼기에 삶을 사랑합니다. 흙을 돌보기에 삶을 노래합니다.


  입가심 까망알을 먹으려고 흙을 밟습니다. 아이와 함께 흙을 밟고, 풀을 스칩니다. 주전부리 까망알을 찾으려고 흙을 밟습니다. 아이랑 나란히 흙을 만지고, 풀내음을 맡습니다. 4347.11.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78] 유자 바구니
― 우리 집 살림살이는 나무


  곁님 어머니가 김치를 보내 주었습니다. 커다란 상자 가득 담긴 김치를 보고는 도무지 그냥 지나칠 수 없어, 우리 집 뒤꼍으로 갑니다. 우리 집 유자나무 한 그루를 가만히 올려다봅니다. 나무가 아직 그리 안 크고 가지도 많이 안 뻗습니다. 그렇지만 열매가 제법 달립니다. 잘 썰어서 차로 담기에 얼마 안 되는구나 싶지만, 두 집으로 나누어서 선물로 보내자고 생각합니다. 두 아이를 불러 함께 유자를 딴 뒤, 작은 종이상자에 담아서 우체국으로 들고 가서 부칩니다.

  유자알만 넣으니 선물상자가 살짝 허전해서 굵은 모과알을 둘씩 보탭니다. 굵은 모과알을 둘씩 더하니 선물상자가 제법 도톰합니다.

  덜 여문 유자는 따지 않습니다. 제대로 여물 때까지 여러 날 기다리기로 합니다. 유자나무에 남은 열매를 마저 따면 이 열매를 우리가 건사해서 쓸 수 있을 테지만, 남은 열매도 사랑스러운 이웃한테 보낼 수 있습니다. 우리 집 뒤꼍에 지난해에 심은 복숭아나무 한 그루는 올해에 꽤 잘 자랐어요. 이듬해에는 복숭아알을 맛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직 많이 서툴고 잘 모르며 제대로 보듬지 못했지만, 앞으로 하나씩 다스리고 건사하면서 우리 집 살림살이인 나무를 살뜰히 사랑하자고 생각합니다.

  살림살이란 무엇일까 하고 돌아보면, 무엇보다 첫째로 ‘나무’이지 싶습니다. 마당에서 우람하게 자라는 후박나무도 우리 집 대단한 살림입니다. 후박나무 곁에 있는 초피나무와 동백나무도 우리 집 대단한 살림입니다. 가녀린 장미나무도 우리 집 살림이요, 매화나무와 감나무와 무화과나무와 뽕나무와 모과나무도 우리 집 살림입니다.

  열매를 주기에 살림이지는 않습니다. 언제나 푸른 바람을 베풀고, 늘 푸른 그늘을 베풀며, 늘 푸른 노래를 베푸는 한집 숨결이기에 살림입니다. 우리 집 아이들하고 우리 집 나무 곁에 서서 굵직한 나뭇줄기와 가느다란 나뭇가지를 살살 쓰다듬거나 껴안을 적에 무척 즐겁습니다. 4347.10.3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