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91] 농약 안 쓰는 까닭

― 풀과 나무와 개구리와 새



  마을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으레 “약 좀 치면 시원하게 다 죽겠는데.” 같은 말을 들려줍니다. 참말, 농약을 쓰면 풀은 모조리 시원하게 죽겠지요. 그러나, 우리 집에는 농약이 없습니다. 모기나 파리나 바퀴벌레를 잡는다는 벌레잡이약도 없습니다. 모기향도 피우지 않습니다.


  이 땅에 돋는 풀 가운데 사람이 쓰지 못할 풀이란 없습니다. 거의 모든 풀은 밥이 되어 줍니다. 날푸성귀로 먹을 수 있고, 날푸성귀가 아니어도 풀물을 짜서 마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풀이 있기에 비가 아무리 몰아쳐도 흙이 덜 씻깁니다. 나무 둘레에 풀 한 포기가 없으면, 뿌리 둘레에 있는 흙이 비에 휩쓸려서 흔들거리기 마련입니다. 풀이 보기 싫다면 낫으로 치면 될 노릇이지, 뿌리째 뽑아야 하지 않고, 농약으로 죽여야 하지 않습니다. 풀 잘 먹는 염소를 집에서 키운다면 더더구나 농약을 못 쓰겠지요.


  시골에서 살며 풀이 돋고 죽는 흐름을 살펴보면, 아주 거친 땅, 이른바 ‘붉은닥세리’ 같은 땅에는 망초와 쇠비름나물이 신나게 퍼집니다. 한 달이 안 되어 어른 키만큼 솟아납니다. 줄기는 얼마나 억센지 낫으로 끊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 풀을 잡느라 농약을 쓰면 이듬해에 더 모질게 돋기 마련이에요. 이와 달리, 이 풀을 그대로 지켜보노라면, 이듬해에는 망초와 쇠비름나물이 거의 안 돋습니다. 이 풀은 흙을 살리는 거름이 되어 새로운 풀이 돋습니다. 망초와 쇠비름나물은 딱딱하게 굳은 땅속으로 뿌리를 힘차게 파고듭니다. ‘붉은닥세리’라고 하는 망가진 땅에 이 풀이 뿌리를 내리면, 땅속에 차츰 틈이 생겨서 바람이 드나들 길이 생기고, 땅이 천천히 숨을 쉬면서 살아나려고 합니다. 이리하여, 망초와 쇠비름나물이 퍼진 땅은 한두 해 뒤에 다른 풀한테 밀려요. ‘제법 살아나서 조금 기름진 땅’에서 돋는 다른 풀이 자라지요.


  빈터에 자라는 풀이 보기 싫다면 발로 밟으면 됩니다. 풀은 서너 차례 밟으면 고개가 꺽여서 더 오르지 못합니다. 사람이 밟고 다시 밟으면 제아무리 잘 돋던 풀이라 하더라도 뿌리로만 땅속에서 뻗으면서 위쪽에서는 살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여러 해가 흐르면 땅은 차츰 ‘풀이 죽어서 생기는 거름’으로 더 기름진 모습으로 거듭나고, ‘더 기름진 땅에서 잘 돋는 풀’로 확 바뀝니다.


  도시로 내다팔아야 하는 ‘상품’으로 남새를 길러서 거두어야 할 때에도 두둑마다 풀을 ‘밟아’ 주기만 하면 됩니다. ‘밟아서 바닥에 깔리’도록 하면 됩니다. 그러면 다른 풀이 더 자랄 수 없고, 풀뿌리가 땅속에 있으면 큰비가 몰아쳐도 흙은 덜 깎이고, 풀이 겨우내 말라 죽으면서 새로운 흙으로 바뀌니, 밭자락에서 흙이 사라질 일이 없습니다. 이러한 땅이 되면, 이 땅에는 풀벌레가 노래하고, 개구리가 겨울잠을 자며, 온갖 새가 찾아들고 벌과 나비도 알맞게 춤추는 예쁜 ‘집숲’이 되어요. 4348.4.23.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집 제비와 제비집

동영상을 찍어 보았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90] 우리 집 꽃나무

― 아름다운 지구별을 꿈꾸며



  나는 도시에서 지낼 적에 큰아이를 데리고 날마다 골목마실을 다녔습니다. 큰아이가 마음껏 뛰거나 달릴 수 있는 골목을 찾아다니기도 했지만, 큰아이가 꽃과 풀과 나무를 언제나 아끼고 어루만질 수 있는 골목밭을 찾아다녔다고 할 만합니다. 한 가지를 더 헤아리면, 아이와 함께 나도 꽃과 풀과 나무를 마음에 담으면서 아름다운 생각으로 삶을 가꾸고 싶었습니다.


  시골에서 살며 작은아이가 태어났고, 두 아이는 날마다 ‘우리 집 꽃’과 ‘우리 집 풀’과 ‘우리 집 나무’를 바라봅니다. 우리 집 꽃을 아침저녁으로 언제나 쓰다듬을 수 있고, 우리 집 나무와 아침저녁으로 인사할 수 있어요.


  이웃집 꽃나무도 사랑스럽습니다. 우리 집 꽃나무도 사랑스럽지요. 이웃집 꽃나무는 이웃집까지 찾아가야 비로소 마주하면서 바라볼 수 있어요. 우리 집 꽃나무는 우리 집 마루에 앉아서도 바라볼 수 있고, 우리 집 마당에 서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잠자리에 누울 적에도 우리 집 나무가 바람 따라 살랑살랑 흔들리며 춤추는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온갖 새가 우리 집 나무에 찾아들어 노래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내가 아이들과 이곳에서 돌보면서 사랑하는 나무는, 내 이웃한테는 ‘이웃집 나무’가 됩니다. 우리 아이들이 이곳에서 늘 바라보며 아끼는 나무는, 내 동무한테는 ‘우리 모두한테 푸른 바람을 나누어 주는 나무’가 됩니다. 도시에 살든 시골에 살든 모든 사람이 저마다 ‘우리 집 꽃나무’를 누리면서 아낀다면, 이 지구별이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고 가만히 꿈을 꿉니다. 4348.4.12.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89] 마을이란

― 바라보는 길대로



  마을은 한두 사람 손으로 가꾸지 않습니다. 마을은 여러 사람 손으로 함께 가꿉니다. 한 사람 손으로 가꾸는 삶터는 보금자리입니다. 내 보금자리라면 내 손으로 가꾸고, 우리 보금자리라면 곁님과 아이와 내 손으로 가꿉니다.


  올해 첫무렵에 마을 뒤쪽 비탈밭에 햇볕전지판이 잔뜩 들어섰습니다. 두 달 남짓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끄러운 쇳소리가 나더니, 꽤 넓다랗구나 싶은 자리에 이런 시설이 들어섭니다. 이렇게 햇볕전지판이 크게 하나 생긴 뒤 다시 한 달이 지나니 옆쪽 비탈밭에도 새로운 햇볕전지판이 들어서려 합니다.


  마을 어르신이 땅을 내놓았으니 군청에서든 전기회사에서든 햇볕전지판을 땅에 박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마을사람들 뜻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땅임자가 땅을 팔겠다고 하니 땅임자 마음입니다. 땅임자가 더는 밭으로 일구지 않겠다고 하니 햇볕전지판을 박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시설을 마을에서 거리끼지 않고 합니다. 이제 이 마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앞으로 늙은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한 분씩 더 저승길로 떠나고 빈집이 늘면, 다른 비탈밭도 이렇게 햇볕전지판 시설로 바뀌어야 할까요. 아니면, 시골에서 살고 싶다고 하는 도시사람한테 이 땅을 내주어 집을 새로 짓고 가꾸면서 살도록 해야 할까요.


  나무를 심은 자리는 흙이 살아나지만, 시멘트를 들이붓거나 시설을 박은 자리는 흙이 죽습니다. 그대로 묵히는 밭은 흙이 기름지게 거듭나지만, 비닐을 씌우거나 시설을 박은 자리는 흙이 살아날 길이 막힙니다.


  마을사람 스스로 먼 앞날을 내다보거나 바라보지 않는다면, 마을에 함께 깃드는 사람은 먼 앞날을 그릴 수 없습니다. 마을사람 스스로 오늘 이곳을 제대로 살펴보거나 헤아리지 않는다면, 바로 마을사람 스스로 맑으면서 밝은 바람을 마실 수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칠까요? 높은 학교를 모두 마치고 도시로 떠난 아이들은, 시골에 남은 늙은 어버이한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가요? 4348.4.9.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88] 노는 집

― 삶을 밝히는 놀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놉니다. 아이도 어른도 아침부터 저녁까지 놉니다. 저마다 스스로 가장 하고픈 놀이를 찾아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놉니다.


  우리 몸짓은 모두 놀이입니다. 잠을 자도 놀이입니다. 촛불을 가만히 바라보아도 놀이요, 똥이나 오줌을 누어도 놀이입니다. 밥상맡에서도 놀이입니다. 밥을 짓거나 설거지를 할 적에도 놀이입니다. 이야기를 나눌 적이든 책을 읽을 적이든 모두 놀이입니다. 밭에서 풀을 뜯어도 놀이요, 자전거를 몰 적에도 놀이입니다. 비질을 하거나 걸레질을 할 적에도 늘 놀이입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합니다. 아이도 어른도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합니다. 저마다 제 삶을 밝힐 일을 찾아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쉬지 않고 일합니다.


  스스로 가장 기쁜 일을 하면 쉴 까닭이 없습니다. 스스로 가장 기쁜 일을 하기에, ‘쉬자’는 생각이 아니라 ‘일하자’는 생각이 되어, 늘 웃고 노래하면서 춤출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나는 밥을 짓는 부엌에서 춤을 춥니다. 밥냄비에 불을 넣고 나서 춤을 추고, 밥상에 밥과 국을 그릇에 담아 올린 뒤에 춤을 춥니다. 아이들을 부르면서 춤을 추고, 밥을 다 먹고 설거지를 하기 앞서 춤을 춥니다.


  시골집은 아래층이나 위층이 없으니 마음껏 춤을 춥니다. 신나게 발을 구릅니다. 마당에서도 발을 구릅니다. 하하 웃고 목청껏 노래합니다. 도시에 있는 이웃도 누구나 늘 춤을 추고 목청껏 노래할 수 있으면, 일과 놀이는 늘 하나이면서 아름다운 하루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4348.4.2.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시골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