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1 따라쓰기



  따라하려 들면 누구나 무엇이든 못 하게 마련입니다. 토끼는 토끼처럼 뛰고 달릴 뿐, 거북이처럼 기지 못 합니다. 거북이는 거북이처럼 길 뿐, 토끼처럼 뛰거나 달리지 못 합니다. 거북이가 헤엄치듯 토끼가 헤엄칠 수 있을까요? 둘레 숱한 이웃님은 자꾸만 ‘훌륭한 책(추천도서·권장도서·명작)’을 읽으려 하십니다만, 저는 제발 ‘훌륭한 책’을 읽지 말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훌륭한 책’을 아무리 읽는들 훌륭한 사람으로 깨어나지 않거든요. 훌륭한 사람으로 깨어나는 길은 늘 하나입니다.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나를 꾸밈없이 바라보고 사랑할 노릇입니다. 스스로 제 모습을 사랑하지 않기에 얼굴을 꾸미고 옷차림을 꾸밉니다. 말을 꾸미고 글까지 꾸미지요. 그러나 꾸밈은 참낯이 아닌 겉낯입니다. 속임낯이자 가림낯이에요. 따라하지 말아요. 따라읽지 말아요. 따라쓰지 말아요. 아무리 ‘훌륭한 책’이어도 따라쓰기(필사)를 하다가는 스스로 사랑하는 길을 잊고, 스스로 사랑하는 하루하고 멀리 떨어집니다. 오직 우리 모습을 꾸밈없이·티없이·가없이 즐겁게 노래하면 어느새 사랑이 피어나고, 우리는 저마다 다르면서 새롭게 ‘아름꽃’으로 나아갑니다. 가볍게 생각해요. 즐겁게 읽어요. ‘훌륭길’ 아닌 ‘우리길’을 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0 선거



  이기고 지는 길을 가르는 한 끗은 매우 작습니다. 때로는 크게 벌어진다고 하지만, 이기는 쪽을 바라보는 사람만 있는 일은 없습니다. 불꽃튀는 겨룸판이든 처음부터 확 벌어지는 겨룸판이든, 언제나 여러 목소리가 흘러요. ‘뽑기·고르기·가리기·추리기’는 늘 이긴 목소리로 나아갑니다. 여러 목소리를 담아내는 길하고 멉니다. 뽑기(선거)를 치러야 할 적마다 “안 뽑으면 안 될까?” 하고 생각해요. “모든 사람이 돌아가면서 나라지기에 고을지기에 마을지기를 맡으면 아름답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고인물은 썩는다고들 말하지만, 정작 벼슬자리는 하나같이 고인물입니다. 살림자리가 아닌 모든 곳은 흐름물이 없더군요. 아이어른 사이는 ‘굳은 틀’이 아니라, ‘서로 오가는 살림’입니다. 어른은 아이한테서 배우고, 아이는 어른한테서 사랑을 물려받으니, 둘 사이는 늘 싱그러이 빛나요. 이와 달리 벼슬판은 윗자리에서 밑자리로 시킴질만 있으니 딱딱하고 메마르며 고인물로 치달아 썩더군요. 뽑기(선거)를 하느라 나랏돈을 엄청나게 쓰는데, 뽑기가 없이 서로 일자리를 맡으면서 슬기로이 다스려야 나랏돈을 제대로 알맞게 쓰면서 쌈박질이 사라지는 아름누리로 거듭나리라 봅니다. 그만 뽑고 살림을 지을 하루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9 속



  겉을 슥 보면 ‘훑다’입니다. 속을 제대로 보면 ‘읽다’예요. 이야기하고 줄거리를 알아차리려고 바라보기에 ‘읽다’요, 이야기나 줄거리를 건성으로 스칠 적에는 ‘훑다’입니다. 속·속살·속내하고 알·알맹이·알갱이를 받아들이려는 매무새라면 ‘읽다’이지만, 이런 매무새하고 멀다면 ‘훑다’예요. 책은 속으로 읽습니다. 책은 속을 읽습니다. 책은 마음으로 읽습니다. 책은 마음을 읽습니다. 속으로 읽어 속을 받아들이면서 기쁘게 배우는 길이기에 ‘읽다’예요. 속을 헤아리거나 살피려는 마음이 없으면 ‘훑다’이고요. 겉·껍데기·껍질이 나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쌀겨로도 밥을 지어서 먹어요. 겨를 벗긴 흰쌀보다는 겨까지 나란히 받아들이는 밥이 우리 몸을 한결 살찌웁니다. 그런데 겨만으로는 밥이 안 돼요. 속알을 감싼 겨에도 숨빛이 가득합니다만, 속알을 즐거우면서 든든히 누리려고 겨를 받아들입니다. 엮음새나 겉그림이란 ‘겨’예요. ‘겨’가 없이 알맹이만 살핀다면 뻑뻑해요. 겨는 겨대로 가꾸면서 속알을 든든히 빚는 길로 살피면서 나누기에 비로소 알뜰하고 알찹니다. 겨훑기를 넘어 밥짓기로 나아가려는 오롯읽기일 적에 지은이(글쓴이·엮은이·꾸민이·펴낸이) 숨결을 고스란히 맞이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8 지기



  어느 책집이든 책집지기가 돌봅니다. 책집을 꾸리는 밑힘은 늘 책집지기입니다. 책집지기는 스스로 사랑하는 책을 건사하면서 책시렁을 추스릅니다. 때로는 ‘손님이 바라는 책’을 갖추지만, ‘책집을 여는 마음’은 ‘그동안 스스로 사랑해 온 책을 두루 나누고 함께 이야기하는 자리’라고 느낍니다. 먹고살 길을 찾으면서 종이쓰레기터(폐지처리장)에서 헌책을 줍고, 골목에서 헌책을 건사하면서 길장사부터 연 책집지기는 ‘스스로 사랑할 책’을 쳐다볼 겨를이 없이 ‘손님이 바라는 책’만 살피면서 바쁘게 살아내며 비로소 책집을 차리는 나날을 맞이합니다. 책을 잘 모르는 채 ‘손님이 바라는 책’을 만지던 일꾼에 머물러도 안 나쁘지만, 책집지기라는 이름으로 거듭날 적에는 ‘손님이 함께 사랑해 주기를 바라는 책집지기 마음’을 책마다 살포시 얹어요. 스스로 배우며 사랑을 느낀 책을 한켠에 놓고, 손님한테서 배우며 사랑을 느낀 책을 곁에 놓는 얼개입니다. 지은이하고 읽는이 사이에 선 책집지기는 징검다리이자 길목입니다. 그리고 책집지기는 읽는이란 자리에 나란히 있기도 합니다. 스스로 읽기에 가꾸고, 배우며 읽기에 돌보고, 어깨동무로 읽기에 사랑하고, 새롭게 읽기에 빛나는 곳이 책집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7 망가진 세대



  요즈막을 살아가는 어느 또래한테 ‘망가진 세대’라는 이름을 붙인다는 말을 듣고서 이 이름을 자꾸 붙이려 하는 까닭을 생각해 봅니다. 저는 저대로 ‘망가진 또래’인 나날을 보냈고, 둘래 언니 또래나 동생 또래는 그들 나름대로 ‘망가진 살림’인 나날을 보내었습니다. 곰곰이 보면 어느 해에 태어난 사람이든 모조리 ‘망가진 터전’을 맞이했어요. 엉터리 벼슬판·바보스러운 싸움·모자란 먹을거리·총칼에 짓밟힌 나라·사람을 위아래로 가른 굴레·어리석은 우두머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다 다르게 흘러넘쳤습니다. 우리 삶길을 ‘망가진 길’이란 이름으로 바라보면 스스로 나뒹굴어요. 우리 삶길을 ‘스스로 새롭게 짓고 가꾸어 나누고 누리는 길’로 바라보면 스스로 기운을 내어 스스로 아름답습니다. ‘남 탓·나라 탓·돈 탓·자리 탓’을 할수록 스스로 빛을 잃어 빚(굴레)에 갇혀요. ‘내 길·내 사랑·내 삶·내 노래’를 바라볼수록 스스럼없이 깨어나면서 스스로 하늘빛으로 나아가요. 누구나 씨앗이자 나무요 숲이자 푸른별이고 온누리입니다. 다 다른 몸빛이면서 모두 하나인 숨빛이에요. 저들(힘바치·돈바치·글바치)은 우리가 참빛을 잃으면서 나뒹굴기를 바라기에 자꾸 ‘망가진 세대’란 말로 길들이려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