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6 포근빛



  아무리 매캐한 곳이어도 하늘과 구름은 늘 포근히 안아 주면서 삶을 즐기라고 알려주지 싶어요. 마음을 들인 자리에 햇살이 즐겁게 스며들리라 생각합니다. 마음을 들이지 않는다면 한여름에도 오들오들 떨거나 찬바람이 휭휭 불겠지요. 우리 삶터를 보면 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어버이 손길을 훌쩍 떠나야 합니다. 어린이집이 있으면 나쁘지 않습니다만, 왜 어버이는 아이랑 아침에 헤어져서 돈을 벌어야 하고, 저녁에야 비로소 얼굴을 봐야 할까요? 왜 아이는 ‘사랑으로 낳은 어버이’ 손길하고 떨어진 채, 삶도 살림도 사랑도 보금자리에서 못 누려야 할까요? 가만 보면, 어린배움터부터 푸른배움터 열두 해는 불구덩이(지옥)입니다. 배움수렁(입시지옥)이에요. 배움수렁을 앞두고 아이들을 ‘집밖에서 나돌도록 길들이는 얼개’인 우리나라입니다. 이와사키 치히로 님이나 바바라 쿠니 님 그림책을 펴면 ‘다정·행복’ 같은 말을 굳이 안 씁니다. 이러한 낱말이 아닌 삶자리에서 아이어른이 얼크러지면서 노래하는 나날이 스스럼없이 ‘다정·행복’일 테니까요. 책이름에 ‘다정·행복’을 쓴다면, 그야말로 사랑이 메마른 민낯을 보여주는 셈입니다. 포근한 책은 이름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스스로 해님을 품고 노래하기에 포근빛으로 물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5 떨이



  책을 읽는 사람은 그저 ‘책을 읽’습니다. 새책을 읽거나 헌책을 읽지 않아요. 새책으로 장만하더라도 새책집에서 값을 치르면 곧장 헌책입니다. 새책을 읽거나 옛책을 읽지도 않습니다. 오늘 알아보며 누릴 책을 읽어요. 즈믄 해 앞서 흐르던 이야기를 새로 담아내면 옛책일까요, 새책일까요? 겉종이나 속종이가 닳더라도 책은 그저 책입니다. 국물이 튀거나 비에 젖어도 책은 언제나 책이에요. 이야기를 담은 종이라는 몸은 낡거나 다칠는지 모르나, 속에 흐르는 숨결은 매한가지입니다. 사납빼기(독재자)가 아무리 책을 불살라도 책이 사라질 일은 없어요.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로 이룬 겉모습은 사라지되, 속에 담은 넋은 고스란합니다. ‘도서정가제’라는 일본스런 한자말로 붙인 이름은 “책에 제값을” 돌려주자는 뜻으로 세운 길(법)입니다만, 책을 안 읽는 벼슬꾼(국회의원)이 앞장서서 “태어난 지 열여덟 달이 지난 책을 누리책집(인터넷서점)이 후려치기로 팔아치울 수 있도록 하려”는 막짓(개악)을 틈틈이 벌이려 한다더군요. 책을 안 읽으니 “책에 제값을(도서정가제)”이 무슨 뜻인지 못 읽습니다. 책은 늘 책입니다. 후려쳐서 넘길 떨이(재고정리)가 아닌,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나 새빛을 들려주는 이야기씨앗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3.7.29.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4 아동학대법과 주호민



  우리나라에 엉터리(불법)가 무척 많습니다. 그물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뒷짓을 벌이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책을 놓고 얘기한다면, 퍽 오래도록 ‘새책집 일꾼’이 ‘헌책집 일꾼’을 ‘영업방해·불공정거래’를 한다면서 ‘신고·고발’을 하려고 든 적이 잦았습니다. ‘헌책집에서 같은 책을 사고팔면 새책을 팔 수 없다’는 말(논리)을 펴던데, ‘새책집 일꾼’은 ‘똑같은 책을 거저로 읽히는 책숲(도서관)’은 아예 안 건드렸습니다. ‘새책장사’로만 본다면 헌책집보다 책숲이 더 말썽이 아닐까요? 예전에는 ‘가정교육’이라 했고 요새는 ‘홈스쿨링’이라 하는 ‘집배움’은, 틀(법)로 보자면 ‘아동학대 불법행위로 벌금 200만 원 부과대상’입니다. 집에서 스스로 배우겠다는 길을 처음부터 가로막는 엉터리(불법)인데, 여태 손을 안 봅니다. ‘성추행·폭행을 일삼은 어린이’를 둔 주호민 집안은 ‘특수교사를 아동학대로 형사고발’을 했습니다. ‘서이초 길잡이 눈물꽃’으로도 불거진 ‘아동학대법 잘잘못’인데, ‘무고죄 처벌’과 ‘무고 피해자 보호대책’과 ‘알맞은 가르침(훈육)’이 빠진 ‘아동학대법’입니다. ‘아동학대 신고’만 하면 ‘신고자가 무슨 속셈(의도)인지 따지지도 않’는다면, 정작 누가 들볶일까요?


+


‘아동학대’라면, 두 살 어린 여학생한테 응큼질(성추행)을 할 뿐 아니라 몸집이 작은 여학생만 골라서 때리는 짓을 일삼아 온 아이를 가르치지(훈육) 못한 ‘주호민 집안’이라고 여길 만하다. ‘어버이 노릇을 하지 못한 주호민 집안’에야말로 ‘아동학대’로 고발을 해서, 함께 ‘법’으로 ‘심판’을 하도록 일이 나아간다면, 이때에는 ‘중립기어’를 박고서 기다릴 만하다. 교육부장관과 경기교육감이 ‘주호민 집안’을 아동학대로 고발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3 랑



  여럿을 나란히 놓으려 할 적에 ‘-와·-과’를 붙이기도 하지만, 글말입니다. 입말로는 ‘-하고’나 ‘-랑·-이랑’이에요. 소리를 내어 글을 읽으면 쉽게 알아챕니다. “아이와 놀다”나 “어른과 일하다”라 소리를 내려면 턱 걸려요. “아이랑 놀다”나 “어른하고 일하다”라 소리를 내면 부드럽습니다. 우리가 말을 말답게 하려면, 언제나 어린이 눈빛을 헤아리면 넉넉합니다. 쉽고 즐겁지요. “아이랑 나눌 말”을 살피기에 쉬우면서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말합니다. “어른하고 나눌 말”을 생각하기에 즐거우면서 알차고 눈부시게 말합니다. 앎(지식)을 뽐내거나 틀(이론)을 내세우려 하기에 “아이랑 등지”고 “어른하고 멀리합”니다. 글·책만 붙잡기에 그만 딱딱하게 ‘-와·-과’로 이으면서 갖은 일본 한자말에 영어가 범벅인, 더구나 지난날 중국을 섬기던(사대주의) 말버릇이 툭툭 나와요. 자, 어린이 눈빛을 잃으면 뭔 뜻인지 종잡지 못할 ‘아무말잔치’를, ‘뒤죽박죽 엉성말’을 그냥그냥 내뱉는 사람이 되고 말아요. 어른스레 눈빛을 밝히면서 아이랑 마음을 마주하기로 해요. 슬기롭고 어질며 참하게 눈망울을 빛내면서 아이하고 손을 잡고 뛰어노는 숨결로 글 한 줄을 여미고 책 한자락을 함께 읽어 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2 등산



  “등산 하시나요?” “아닙니다.” “뭐 하시는 분이세요?” “국어사전을 씁니다.” “뭐라고요?” “우리말사전을 쓰는 사람이 나라에 몇 없으니 아마 처음 보실 텐데 국어사전을 쓰기에 어디를 가든 온갖 책을 잔뜩 사서 모든 말을 살피고 수첩에 모든 말을 적어요.” “우리말도 좋은데 사람들이 영어를 너무 많이 써요.” “어느 말이건 스스로 마음을 나타내도록 생각을 지으면 되는데 학교를 오래 다니고 책을 많이 읽을수록 나 아닌 남이 들려주는 틀에 쉽게 갇히니 스스로 무슨 말을 쓰는 줄도 모르지요. 좋거나 나쁜 말이란 없이 그저 오늘 우리 모습을 고스란히 비출 뿐이에요.” 책짐을 이고 지고 안고 다니면, 더구나 민소매 깡똥바지(또는 치마바지) 차림에 80리터 등짐차림인 사람을 쳐다보며 비슷비슷하게 묻기에 비슷비슷하게 얘기합니다. 문득 돌아보니 저처럼 책짐을 짊어지고서 걷거나 버스·전철을 타는 이웃을 못 본 지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책사랑벗은 서로서로 못 만나는 셈일는지 모릅니다만 스무 해 앞서만 해도 길에서 이따금 스쳤어요. 누리책집으로 장만하는 이웃이 늘었을 테고, 부릉이 짐칸에 싣는 이웃도 늘었을 테며, 책을 이제는 안 읽는 이웃도 늘었겠지요. 그러나 저는 꿋꿋하게 책사랑길을 갈 생각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