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9 고르는



  마을책집으로 책마실을 자주 나서지만, ‘고르기’는 하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골라서 사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읽고서 삽니다. 어느 마을책집으로 가든, 늘 이 마을책집에 있는 책을 살펴서 장만했을 뿐입니다. 저는 책집에 미리 여쭈어 어느 책을 갖다 놓아 주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문득 어느 책이 떠오른다 하더라도 그 책이 마을책집에 있으면 그자리에서 장만하고, 없으면 잊거나 다른 마을책집에 가서 장만합니다. 책집마실을 할 적에 ‘고르기(선택)·시키기(주문)’를 아예 안 하는데요, 책집마실은 “두고두고 되읽을 책을 찾아서 품으려는 길”입니다. 책집에 서서 읽고서 마음을 울리면 ‘글쓴이가 못마땅하건 말건 따질 일이 없’습니다. 마음을 안 울리는 책이라면 ‘글쓴이를 좋아했고 꾸준히 챙겨 읽었’어도 굳이 장만하지 않아요. 손수 사랑을 담기에 한결 즐거이 우리 몸에 들어올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밥도 바람도 물도 책도 글도 이야기도 매한가지입니다. 누가 “그런 책을 왜 읽어?” 하고 따지면 “후줄그레한 책을 읽어서 잘못했습니다. 다만 저는 낱말책을 쓰는 터라, 모든 사람들이 쓰는 온갖 말을 살피려면 모든 책을 사랑해야 해서요.” 하고 절을 합니다. 고르고 싶지 않아요. 읽고 새기고 새길을 지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8 책값 1억 6500만 원



  지난 2021년에 나왔다고 하는 《대한민국을 지배하는 혼맥지도》라는 책이 있다고 합니다. 글쓴이 신학림 씨는 김만배 씨한테서 ‘1억 6500만 원’을 받고서 이 책을 팔았다고 밝히는데, 책이 참말로 나왔는지부터 알 길이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없고, 누리책집이건 헌책집이건 아예 뜨지를 않아요. 〈한겨레〉 글바치는 김만배 씨한테서 9억 원을 받았다고 하니, ‘책값 1억 6500만 원’은 푼돈(?) 같아 보입니다. 책집하고 책숲에조차 안 들어가는 책에 이렇게 돈을 받았는데, 더구나 ‘대통령 선거를 며칠 앞둔 날’ 돈을 받고서 〈뉴스타파〉에 글(인터뷰 기사)을 실었군요. 책으로 같잖게 장난을 치고 뒷돈이 오가고 춤추는 글판입니다. 신학림 씨는 ‘조중동 이너써클’을 갈무리해서 나무랐다지만, 막상 이녁 스스로도 ‘먹물판 이너써클’로 돈잔치를 벌인 창피한 민낯입니다. 조중동만 손가락질한대서 이 나라가 깨끗하게 바뀌지 않습니다. 먼저 스스로 깨끗하게 살아야지요. 나라지기를 맡은 이가 모지리처럼 굴기에, 이녁도 모지리처럼 살아도 되지 않습니다. 휜 붓으로는 등도 손도 눈도 마음도 휘어버립니다. 곧게 쥐는 붓으로 곧게 살림을 지을 적에 비로소 스스로도 곧고, 푸른숲을 짓는 씨앗을 글 한 자락으로 심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

.

제발, 창피한 줄 압시다.

"세금 납부 아직 못 해"가 아닌 "세금 낼 마음이 아예 없었"겠지요.

뒷돈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7 쏟비



  비가 쏟아지는 아침에 비를 쫄딱 맞았습니다. 비를 쫄딱 맞는 김에 10분쯤 가만히 서서 빗물에 확 젖었습니다. 아침에 시골버스를 타고서 옆고을 포두로 건너갔고, 버스에서 내려 걷다가 왈칵 내리는 비를 만났어요. 함박눈처럼 오는 비이니 ‘함박비’인가 하고 생각했습니다. 쏟아지는 비이니 ‘쏟비’, 곧 ‘소낙비·소나기’인데, 멧골에서 쏟아지는 물은 ‘쏟물’이고, 줄여서 ‘쏠’입니다. 위에서는 쏟아지고 밑에서는 솟습니다. 솟듯 돋는 풀이라서 ‘솔(정구지·부추)’이고 솔잎(소나무잎)입니다. 비를 흠뻑 맞으면서 돌아보자니, 이 비는 왈칵 쏟아집니다. 옳거니, ‘왈칵비’입니다. 갑자기 내린다 여기면 ‘갑작비’입니다. 등짐도 비에 홀라당 젖으면서 비랑 얽힌 여러 우리말을 돌아봅니다. 아니, 갑자기 쏟아지면서 왈칵 찾아드는 결을 헤아립니다. 쏟아내거나 쏟아붓는 말이라면 ‘쏟말’입니다. 무럭무럭 솟아나는 말이라면 ‘솟말’이겠지요. 높이 솟듯 세워 ‘솟대’이잖아요. 그나저나 벼락비·소낙비·왈칵비·갑작비·쏟비·함박비는 어느새 그치고 구름이 걷힙니다. 해가 나면서 웃습니다. 언제 비가 왔느냐는 듯이 시치미입니다. 말이란, 스스로 겪는 삶을 바라보며 짓겠지요. 생각이란, 스스로 흐르는 삶을 사랑하며 짓고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6 포근빛



  아무리 매캐한 곳이어도 하늘과 구름은 늘 포근히 안아 주면서 삶을 즐기라고 알려주지 싶어요. 마음을 들인 자리에 햇살이 즐겁게 스며들리라 생각합니다. 마음을 들이지 않는다면 한여름에도 오들오들 떨거나 찬바람이 휭휭 불겠지요. 우리 삶터를 보면 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어버이 손길을 훌쩍 떠나야 합니다. 어린이집이 있으면 나쁘지 않습니다만, 왜 어버이는 아이랑 아침에 헤어져서 돈을 벌어야 하고, 저녁에야 비로소 얼굴을 봐야 할까요? 왜 아이는 ‘사랑으로 낳은 어버이’ 손길하고 떨어진 채, 삶도 살림도 사랑도 보금자리에서 못 누려야 할까요? 가만 보면, 어린배움터부터 푸른배움터 열두 해는 불구덩이(지옥)입니다. 배움수렁(입시지옥)이에요. 배움수렁을 앞두고 아이들을 ‘집밖에서 나돌도록 길들이는 얼개’인 우리나라입니다. 이와사키 치히로 님이나 바바라 쿠니 님 그림책을 펴면 ‘다정·행복’ 같은 말을 굳이 안 씁니다. 이러한 낱말이 아닌 삶자리에서 아이어른이 얼크러지면서 노래하는 나날이 스스럼없이 ‘다정·행복’일 테니까요. 책이름에 ‘다정·행복’을 쓴다면, 그야말로 사랑이 메마른 민낯을 보여주는 셈입니다. 포근한 책은 이름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스스로 해님을 품고 노래하기에 포근빛으로 물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5 떨이



  책을 읽는 사람은 그저 ‘책을 읽’습니다. 새책을 읽거나 헌책을 읽지 않아요. 새책으로 장만하더라도 새책집에서 값을 치르면 곧장 헌책입니다. 새책을 읽거나 옛책을 읽지도 않습니다. 오늘 알아보며 누릴 책을 읽어요. 즈믄 해 앞서 흐르던 이야기를 새로 담아내면 옛책일까요, 새책일까요? 겉종이나 속종이가 닳더라도 책은 그저 책입니다. 국물이 튀거나 비에 젖어도 책은 언제나 책이에요. 이야기를 담은 종이라는 몸은 낡거나 다칠는지 모르나, 속에 흐르는 숨결은 매한가지입니다. 사납빼기(독재자)가 아무리 책을 불살라도 책이 사라질 일은 없어요.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로 이룬 겉모습은 사라지되, 속에 담은 넋은 고스란합니다. ‘도서정가제’라는 일본스런 한자말로 붙인 이름은 “책에 제값을” 돌려주자는 뜻으로 세운 길(법)입니다만, 책을 안 읽는 벼슬꾼(국회의원)이 앞장서서 “태어난 지 열여덟 달이 지난 책을 누리책집(인터넷서점)이 후려치기로 팔아치울 수 있도록 하려”는 막짓(개악)을 틈틈이 벌이려 한다더군요. 책을 안 읽으니 “책에 제값을(도서정가제)”이 무슨 뜻인지 못 읽습니다. 책은 늘 책입니다. 후려쳐서 넘길 떨이(재고정리)가 아닌,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나 새빛을 들려주는 이야기씨앗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