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배움수첩 2018.9.23.


마음머리

← 인정머리

: 사람한테 있는 마음을 한자말로 ‘인정’이라 한다. “인정머리 없다”라면 ‘매몰차다·차갑다·쌀쌀맞다’로 나타내면 되는데, 조금 더 재미있게 ‘마음머리’라는 낱말을 지을 수 있을까.


공받기·공던지기

← 캐치볼

: 영어로는 ‘캐치볼’이겠지. 그런데 ‘캐치볼 = 받다 + 공’이다. 아이들은 으레 ‘공받기’나 ‘공던지기’를 한다. 두 말을 나란히 써도 좋으리라.


몸값·일삯

← 개런티

: 어디에 나가면서 받는 돈을 영어로 ‘개런티’라 하고, 이를 ‘출연료’로 고쳐써야 한단다. 곰곰이 따지면, 방송이나 영화 같은 데에 나가서 받는 곳이란, 그러한 데에서 일하고서 받는 ‘삯’이다. ‘일삯’이라고 할 수 있다. 때로는 ‘몸값’이라 해도 된다.


이름빛·이름결·이름값

← 브랜드 이미지

: 상표 값어치를 높이려고 ‘브랜드 이미지’를 돌본다고 한다. ‘상표’란 물건에 붙이는 이름이다. 그러면 ‘이름값’이라 할 수 있고, 이름값을 돌보거나 지키려는 일이라면 ‘이름빛·이름결’처럼 새말을 지어서 나타내면 어떨까.


뜯어먹다·우려먹다·살림뜯기·세금뜯기·마구뜯다

← 가렴주구

: 세금을 마구 뜯는대서 ‘가렴주구’라 한다는데, 쉽게 ‘세금뜯기’라 해도 되리라. ‘뜯어먹다’나 ‘우려먹다’라 할 만하고, ‘마구뜯다’라 할 수 있다. ‘살림뜯기’도 어울린다.


떼싸움

← 패싸움

: ‘패’라는 한자말은 ‘떼’나 ‘무리’를 뜻한다. ‘떼싸움’이라 하면 어떨까. 요새는 ‘떼노래’를 ‘떼창’처럼 쓰기도 하니, ‘떼-’를 앞에 붙이는 말씨도 가지를 뻗을 만하다.


지난값·옛값·응어리값·더께값

← 전생의 업·과거의 대가

: 예전 삶에서 져야 하던 짐이나 잘못을 “전생의 업”이나 “과거의 대가”라고도 하는데, 조금 더 쉽고 부드럽게 나타낼 길은 없을까. 수수하게 ‘지난값·옛값’은 어떨까. 응어리진 일을 풀거나 더께처럼 겹으로 쌓인 것을 푼다는 뜻으로 ‘응어리값·더께값’을 쓸 수 있을까.


길이길이·오래오래·두고두고

← 자손만대·대대손손

: ‘자손만대’나 ‘대대손손’이라 하지 않더라도 ‘길이길이·오래오래·두고두고’ 같은 말이 있다. ‘오래도록·오랫동안’을 쓸 수 있고, 짧게 ‘길이·오래’만 써도 된다.


솜씨있다·솜씨좋다·잘하다·재주있다·재주좋다

← 능하다

: ‘잘하다’라고만 해도 되겠지. 더 생각해 보면 ‘솜씨있다·솜씨좋다’를 한 낱말로 삼을 수 있다. ‘재주있다·재주좋다’도 써 볼 수 있다.


뒷뜻·다음뜻·나중뜻

← 후자의 의미

: 글을 쓸 적에 ‘전자·후자’를 굳이 써야 한다고 여기는 분이 있다. ‘앞·뒤’라고 해도 좋을 텐데. “전자의 의미”라면 ‘앞뜻’으로, “후자의 의미”라면 ‘뒷뜻·다음뜻·나중뜻’처럼 여러 가지로 나타낼 만하다.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말 배움수첩 2018.9.22.


한길뚫기·한곳뚫기·한길파기·한길걷기·한곳파기

← 일점돌파·일점돌파 전면전개

: 얼마 앞서부터 ‘일점돌파’란 말을 듣는다. 일본에서 싸움판을 벌이며 쓰던 한문인 ‘일점돌파 전면전개’에서 앞마디만 딴 말씨이지 싶다. 우리로서는 “한 곳을 뚫다”라 하면 되고, 줄이면 ‘한곳뚫기·한길뚫기’가 되겠지. ‘한길걷기’나 ‘한곳파기’도 어울린다.


하나되다·한덩이 되다·한덩어리 되다·똘똘 뭉치다·힘모으다

← 대동단결

: 하나가 될 적에 ‘하나되다’라 하면 된다. 사전에는 이 말이 아직 없지만, ‘하나되다’는 진작에 올림말로 삼을 만했다. 하나가 될 적에는 힘을 하나로 모을 테니 ‘힘모으다’도 새말로 지을 만하다. “한덩이가 되다”라 해도 좋다.


막쓰다·마구쓰다·펑펑쓰다·펑펑질

← 사치

: 아끼지 않고서 마구 쓸 적에 한자말 ‘사치’를 쓰곤 하는데, 마구 쓴다면 ‘마구쓰다’처럼 새말을 지을 만하다. ‘막쓰다’라 해도 되고, ‘펑펑쓰다’도 재미있고 ‘펑펑질·펑펑짓’ 같은 말도 어울린다.


마음나미·마음자락

← 정나미

: ‘정나미(情-)’란 말씨는 어떻게 비롯했을까? ‘마음나미’로 써 볼 수 있을까? ‘마음자락’ 같은 말도 가만히 혀에 얹어 본다.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말 배움수첩 2018.9.21.

집길·집엣길
← 귀가·귀갓길
: 집으로 가는 길이면 ‘집길’이어도 된다. 학교로 가니 ‘학교길’이고, 멧자락을 타려니 ‘멧길’이다. ‘집엣길’은 어떨까.

숨은뜻·속뜻
빗대기·드러내기·나타내기·보여주기
← 메타포
: ‘메타포’는 두 가지로 쓴다는데, 첫째는 ‘숨은뜻·속뜻’으로 옮길 만하다. 둘째는 ‘빗대기·드러내기·나타내기·보여주기’로 옮길 만하고. 문학을 하거나 글을 쓰는 분들이 쉽고 또렷하면서 즐겁게 이러한 말을 잘 살려서 쓰면 좋겠다.

꽃맺음·꽃노래·꽃길·꽃마무리·아름길·아름마무리
← 해피엔딩·행복한 결말
: 즐겁게 끝맺으니 “즐거운 마무리”라 하면 된다고 여겼으나 좀 길다 싶었다. 이러다가 ‘꽃길’ 한 마디가 마음으로 스며들면서 실마리를 술술 푼다. 즐겁게 끝맺는 이야기를 ‘꽃길’로 나타내어도 어울린다. 그리고 ‘꽃맺음·꽃마무리’라 해도 된다. 아름답게 맺으니 ‘아름마무리’도 좋은데, ‘아름길’이라 할 수도 있다. 마무리가 꽃길이라면, 즐겁게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꽃노래’를 써도 되리라.

왈칵질·불뚝질
← 순간의 감정·순간의 화
: 어느 한때 참거나 누르지 못하고 터뜨리는 성이나 부아라면 ‘왈칵성·왈칵부아’나 ‘불뚝성·불뚝부아’라 해도 어울린다. ‘왈칵·불뚝’은 ‘왈칵질·불뚝질’처럼 써도 될 테고.

입맞추다·입맞춤·뽀뽀하다·뽀뽀
← 키스
: 사전에도 ‘입맞춤’은 올림말로 나오나 “입맞춤 : = 키스”로 다룬다. 참 안타깝다. 거꾸로 된 사전 뜻풀이 아닌가. ‘입맞추다’도 새로 한 낱말로 삼아서 쓸 만하다.

수수님·투박님·수수쟁이·수수벗·순이돌이
← 장삼이사
: 수수한 사람들을 가리킬 적에는 ‘순이돌이’ 같은 말을 쓰면 어떨까. 수수한 사람이기에 ‘수수님·수수벗’ 같은 말도 생각해 본다.

뭇사람·젊은이·사람들·착한 사람들
← 선남선녀
: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가리키려 한다면 “착한 사람들”이라 하면 된다. 그냥 여러 사람들을 나타내려 한다면 ‘뭇사람’이나 ‘사람들’이라 하면 되고.

살림길·삶짓기·살아남기
← 생존 전략
: 살아남거나 살아갈 길을 짠다면 ‘살림길’이나 ‘살아남기’라 하면 된다. ‘전략’ 같은 전쟁말은 부디 털어내면 좋겠다.

잠약
← 수면제
: 잠이 들려고 먹는 약이라면 ‘잠약’이라 하면 된다. ‘먹는약·바르는약’이라든지 ‘가루약·물약’처럼 쉽게 알 수 있도록 이름을 붙이면 좋겠다.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빛이 없음"을 나타내는 두 가지 낱말 '캄캄하다'와 '어둡다'는

어떻게 뜻이나 느낌이나 쓰임새가 다를까요?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


캄캄하다·어둡다

→ 빛이 없어서 제대로 볼 수 없을 적에 ‘어둡다’라 합니다. 빛이 있어서 제대로 볼 수 있으면 ‘밝다’입니다. ‘캄캄하다’는 빛이 없고 아주 까맣기에 아무것도 안 보일 적에 씁니다. ‘어둡다’는 빛깔이 짙거나 검은빛에 가까울 적에도 쓰고, 슬픔이나 걱정이 가득하여 마음이 무거운 모습을 가리키며, 눈으로 잘 못 보거나 귀로 잘 못 듣는 모습을 가리킵니다. ‘캄캄하다’는 꿈을 끌 수 없는 모습과 잘 알지 못하는 모습을 더 가리키는데, 이때에는 ‘어둡다’라는 낱말도 함께 씁니다.


캄캄하다 (> 깜깜하다)

1. 아주 까맣기에 아무것도 안 보이다

 - 이렇게 캄캄한 데에서 촛불이 어디 있는지 어떻게 찾을까

 - 캄캄한 데에서는 눈을 감고 느낌으로 발을 천천히 내딛으면 돼

 - 해가 진 숲은 훨씬 캄캄하다

2. 꿈을 꿀 수 없이 힘겹거나, 앞날을 볼 수 없이 끔찍하다

 - 오빠가 아끼는 사진기를 떨어뜨려서 망가진 탓에 눈앞이 캄캄하다

 - 자꾸 걱정만 하니까 더 캄캄하지

 - 캄캄한 앞날에 한 줄기 빛이 비춘다

3. 속내를 잘 알지 못하다 (어리석다)

 - 시골에서 산 적이 없어서 시골에서 하는 일은 아직 캄캄해요

 - 바탕이 되는 것을 모르니 다른 것도 캄캄할 수밖에 없지

 - 캄캄절벽 . 캄캄벼랑


어둡다

1. 빛이 없거나 여려서 제대로 볼 수 없다

 - 어두운 방에 숨어서 너희들 무엇을 하니

 - 그믐달에는 밤길이 한결 어둡습니다

 - 해가 지는 줄도 모르는 채 어두운 골목에서 더 뛰놀았어요

2. 불빛이 매우 여려 제대로 비추지 못하다

 - 등불이 어두우니 전구를 갈아야겠어요

 - 이쪽 길은 등불이 있어도 늘 어둡더라

3. 빛깔이 짙거나 검은빛에 가깝다

 - 이쪽은 어두운 빨강을 썼고, 저쪽은 밝은 빨강을 썼어요

 - 오늘은 어두운 옷이 잘 어울릴 듯해요

 - 그림을 너무 어둡게 그리지 않았을까 

4. 슬픔이나 걱정이 가득하거나 마음이 무겁다

 - 걱정이라도 있는 듯이 하루 내내 어두운 얼굴이네

 - 옆집 아이는 많이 어두워 보여

 - 어두운 집안을 바꾸고 싶어서 한결 밝게 웃으면서 노래합니다

5. 꿈을 꿀 수 없이 힘겹거나, 앞날을 볼 수 없이 끔찍하다

 - 아무리 어두운 나날이어도 마음속에 사랑을 품으면 다시 기운을 낼 수 있다

 - 어두운 나라에서도 밝은 이야기를 빚어 노래한 분들이 있어요

 - 가난한 살림은 앞으로도 어두울 듯하다

6. 눈이 잘 안 보이거나 귀가 잘 안 들리다

 - 할머니는 눈이 어두워서 책을 못 읽으시니 내가 옆에서 읽어 줍니다

 - 할아버지는 귀가 어두워서 조금 크게 말해야 하지요

7. 속내를 잘 알지 못하다 (어리석다)

 - 너는 도시내기라 시골에 어둡고, 나는 시골내기라 도시에 어둡지

 - 서울은 워낙 넓고 어수선해서 서울사람도 서울 길에 어둡기 마련이에요

 - 이웃나라에 굶는 동무가 있었다니 여태 너무 캄캄하게 지냈구나

8. 어떤 것을 혼자서 지나치게 가지려고 하다

 - 학급 반장 자리에 눈이 어두워서 동무를 괴롭히거나 윽박질렀구나

 - 돈에 눈이 어두워서 나쁜 짓을 저지르지 마셔요

9. 못 미덥거나 엉큼하거나 나쁘다

 - 어두운 꿍꿍이로 무슨 짓을 벌이려는지 궁금하군

 - 지나간 어두운 그림자는 떨치고 이제부터 밝고 새롭게 살면 됩니다

10. 사람이나 사회가 올바르게 깨지 못하다

 - 네 어두운 눈을 뜨게 하려고 함께 봉우리에 오르자고 했어

 - 나쁜 짓이 그치지 않는 어두운 사회를 밝게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를 가리키는 세 낱말을

찬찬히 돌아봅니다.

한국말사전 뜻풀이가

앞으로 차츰차츰 넉넉할 수 있기를 빕니다.


..


춥다·차다·차갑다

→ ‘춥다’와 ‘차다’와 ‘차갑다’는 모두 날씨를 가리키는 자리에서 씁니다. 온도가 낮은 날씨일 적에 이러한 낱말을 씁니다. ‘차갑다’는 ‘몹시 차다’를 가리킵니다. 한편, ‘춥다’는 몸으로 낮은 온도를 느낄 적에 쓰고, ‘차다·차갑다’는 살갗에 닿는 낮은 온도를 느낄 적에 씁니다. 그래서, “네 손이 차구나”라든지 “네 손이 차갑구나”처럼 쓰지만, “네 손이 춥구나”처럼 쓰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바람이 차다”와 “바람이 차갑다”처럼 쓸 수 있어도, “바람이 춥다”처럼 쓸 수 없습니다. ‘춥다’는 몸으로 느끼는 날씨를 가리키는 자리에서 쓰기에 “나는 안 추운데 너는 춥구나”처럼 씁니다. “우리 집은 춥다”고 하면, 우리 집에 있으면 몸으로 느끼는 기운이나 온도가 낮다는 뜻입니다. “우리 집은 차다”처럼 쓰지 못합니다. “방이 차다”고 하면 방바닥이 차다는 뜻으로는 쓸 수 있어요. 방바닥에 손을 대면 손(살갗)이 차거나 방바닥에 앉으면 엉덩이(살갗)가 차다는 뜻으로만 쓸 수 있습니다.


춥다 

1. 온도가 낮은 날씨이다

 - 추운 날씨에는 옷을 두껍게 입고 가렴

 - 이렇게 추운 날에는 새들이 먹이를 어떻게 찾을까요

 - 추운 겨울이 지나면 따스한 봄이 찾아옵니다

2. 몸으로 느끼는 기운이나 온도가 낮다

 - 겨울이기는 하지만 방이 왜 이렇게 춥니

 - 추운데 배고프기까지 하니 너무 힘들다

 - 언니는 그리 춥지 않다면서 옷을 얇게 입어요

차다

1. 온도가 낮은 날씨이다

 - 오늘은 날이 차니까 옷을 따뜻하게 입어야겠어요

 - 삼월은 봄이어도 아침저녁으로는 아직 차니까 도톰한 옷을 입습니다

2. 살갗에 닿은 것이나 바람이, 기운이나 온도가 낮다 (얼음 같은 것이 닿는 느낌)

 - 바람이 차니 귀가 얼얼하다

 - 몸이 아플 적에는 찬 것을 함부로 먹지 말아야지

 - 아직 불을 넣지 않아서 방바닥이 차니까 방석을 깔자

 - 네 손이 많이 차구나

3. 사랑스러운 마음이 없다 (쌀쌀하다)

 - 이웃 아저씨는 말투가 너무 차서 좀 꺼림칙하다

 - 네 동무인데 너무 차게 굴지 않나 모르겠어

 - 차디찬 말을 들으니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

차갑다

1. 온도가 무척 낮은 날씨이다

 - 차갑고 매서운 날씨에도 설날 해돋이를 보려고 사람들이 많이 나왔어요

 - 할아버지는 차가운 날에도 이웃집에 마실을 다녀오십니다

2. 살갗에 닿은 것이나 바람이, 기운이나 온도가 몹시 낮다

 - 냉장고에 넣은 수박이 차가워서 이가 시리다

 - 차갑게 식은 밥을 따뜻하게 덥혀서 먹습니다

 - 바람이 차갑게 불어도 눈놀이를 하다 보면 땀이 송송 돋는다

 - 볼이 꽁꽁 얼고 차가우니 얼른 털모자와 귀도리를 쓰렴

3. 사랑스러운 마음이 아주 없다 (매몰차다)

 - 네 목소리가 차가워서 무섭기까지 해

 - 잘못했다고 뉘우치는데 차가운 눈빛은 거두어 주렴

 - 사람이 너무 차가우니까 선뜻 다가서기가 어려워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