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닷컴> 2015년 10월호에 실은 글입니다.

..

시골도서관 풀내음
― 스스로 자라는 나무처럼


  나무는 해마다 자라며 줄기와 가지가 굵습니다. 차츰 커지는 품으로 그늘을 한결 넓게 베풉니다. 나무가 크는 만큼 드센 바람을 막고, 멧새는 더 많이 찾아듭니다.

  만화영화 ‘빨간머리 앤’을 보면, 능금꽃이 하얗게 핀 흙길을 마차가 지나가요. 능금나무는 키가 매우 커서 능금나무가 우거진 사잇길을 마차가 넉넉하게 달립니다. 능금 따는 철에는 누구나 사다리를 능금나무에 대고 올라가서 가지가 다치지 않도록 열매만 알뜰히 땁니다.

  한국에 있는 능금밭에서는 어떤 모습을 볼 수 있을까요? 무럭무럭 자라는 능금나무 가지를 휘거나 꺾지 않는 능금밭은 얼마나 될까요? 나무가 자라는 결에 맞추어 사다리를 받치고 올라가서 열매를 따려는 능금밭 일꾼은 몇이나 될까요?

  무화과밭은 무시무시하기까지 합니다. 무화과나무는 해마다 가지를 뭉텅뭉텅 쳐야 더 굵은 알이 맺는다고 하면서 굵은 쇠줄로 나무를 땅바닥에 바싹 닿도록 꽁꽁 묶기도 합니다. 그리 높지 않은 비닐집에 무화과나무를 앉은뱅이처럼 가두고 이리저리 묶고 당겨서 더 자라지 못하도록 하기 일쑤입니다. 그런데 이런 감옥 같은 무화과밭이나 능금밭에 ‘체험학습’을 하러 가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어른들도 나무 한 그루가 어디에서 어떻게 자라야 비로소 ‘나무’인 줄 모릅니다. 나무에서 얻는 열매에 담긴 ‘성분과 효능’만 따질 뿐, 시달리거나 들볶인 나무에서 맺는 열매가 참말 사람한테도 이바지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헤아리지 못합니다.

  우리 집에서 자라는 무화과나무나 감나무나 모과나무는 그저 그대로 자랍니다. 따로 가지치기를 안 합니다. 우리 집 나무는 모두 하늘을 바라보면서 가지가 굵습니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무화과알이 더 많이 맺는데, 울타리를 타고 올라가거나 걸상이나 사다리를 받쳐서 열매를 땁니다. 아이들이 손수 열매를 따고 싶다고 하면 걸상을 받쳐서 올라가도록 합니다.

  우리 집은 아직 ‘땅갈이’를 하지 않습니다. 우리 식구가 깃든 집은 꽤 오래 빈집이었지만, 무척 오랫동안 쓰레기가 파묻힌 땅이었습니다. 그래서 쓰레기를 파낸 뒤 이 땅을 여러 해 묵힙니다. 따로 아무것도 안 심고 갈지도 않으면서 가끔 풀을 베어 눕혀 주기만 합니다. 그런데 갈지 않았어도 땅이 제법 폭신합니다.

  일본에서 마흔 해 즈음 자연농을 했다는 가와구치 요시카즈 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담은 《자연농, 느림과 기다림의 철학》(눌민,2015)이라는 책을 읽어 봅니다. 일본 시골지기는 “논두렁길은 풀뿌리 때문에 무너지지 않을 뿐 아니라 딱딱하지도 않습니다. 풀을 없애버리면 풀뿌리가 없어지기 때문에 무너져버립니다. 땅을 갈지 않으면 흙은 부드러워진 곳과 만나게 되므로 ‘아, 역시 그랬었구나!’ 하고 깨닫게 되었습니다(71쪽).” 하고 이야기합니다. 여기에 덧붙여 “다양한 풀들과 작은 동물이 동시에 살아야 서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많은 것들이 반년 안에 죽고 그 시체가 다음 생명의 무대가 되는 것입니다. 봄에 싹을 낸 풀이 자라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고 어미가 죽으면, 지금까지 없었던 다른 성분을 만들어 더욱 풍요로워지는 것입니다(79쪽).” 하고도 이야기합니다.

  문득 생각해 보아도 이 나라 거의 모든 논밭은 땅이 딱딱합니다. 밭일을 하는 분들은 해마다 기계를 써서 밭을 갈아엎습니다. 기계가 아니고는 밭일을 못하는데 밭은 해마다 더 딱딱해지지 싶어요. 사막처럼 된다고 할까요. 논도 물이 빠지면 이내 딱딱해집니다. 가을걷이를 마친 논은 아무 풀도 돋지 않으면서 겨우내 딱딱해져요. 봄이 되어 딱딱한 논은 들풀이 돋으면 이때부터 흙이 보들보들 풀립니다. 이와 달리 어느 누구도 비료나 농약조차 안 주는 숲은 흙이 늘 아주 폭신합니다. 아무도 숲을 갈지 않아요. 아무도 숲에 기계를 들이밀지 않아요. 그러나 ‘땅갈이’를 하지 않는 숲은 흙이 까무잡잡할 뿐 아니라 폭신합니다. 게다가 어떤 나무이든 숲에서 아주 잘 자라요. 우리 집에서도 땅갈이를 안 하고 풀만 가끔 벨 뿐 그대로 두는 자리는 흙이 까무잡잡하면서 구수한 냄새가 나고 폭신합니다. 우리 집에서 묵히는 땅에 있는 흙은 어떤 나무이든 잘 자라도록 할 만큼 기름지다고 느낍니다.

  아이들하고 우리 집 무화과를 따고 감을 따면서 생각합니다. 나무가 제 결대로 자라면서 해마다 키가 무럭무럭 자라는 나무를 살살 쓰다듬으면서 생각합니다. 기계가 들어가고 비료와 농약을 맞아야 하는 땅은 까무잡잡한 기운이 사라지면서 누렇거나 허옇게 바뀝니다. 비닐로 덮어씌우면 흙은 더욱 누르스름해지다가 허연 기운이 퍼집니다. 햇볕을 쬐고 비바람을 맞으면서 갖은 들풀이 자라는 흙은 언제나 까무잡잡하면서 폭신하고 구수합니다.

  나무는 비닐집에서 자랄 수 없습니다. 가지치기에 시달리는 나무는 제대로 못 자라면서 일찍 죽습니다. 들을 숲처럼 가꾸지 않는다면 남새도 나무도 모두 들볶이다가 일찌감치 죽을 테고, 숲하고 동떨어진 데에서 산다면 사람도 모두 끙끙 앓다가 제 결을 잃겠구나 싶습니다.

  해마다 자라는 나무를 이러한 결대로 바라볼 수 없다면, 사람은 무엇을 얻거나 배우거나 누릴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나무뿐 아니라 아이와 어른도 해마다 꾸준히 자랄 텐데, 슬기롭게 자라면서 아름답게 철드는 사람이 아니라 ‘가지치기’를 받아야 하는 나무처럼 ‘틀에 박힌 굴레’에 갇힌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만할까요?

  화학농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먹이는데, 비닐집에서 하거나 나무를 들볶는 유기농이라면 화학농보다 무엇이 얼마나 나을는지 궁금합니다. 시골은 시골스러우면서 숲내음이 날 때에 비로소 시골이요, 시골밥은 숲내음이 퍼지는 곡식이랑 남새랑 열매일 때에 싱그러운 숨결로 아름다울 텐데 하고 생각합니다. 하늘숨 마신 무화과알을 날마다 몇 알씩 따서 아이들하고 노래하면서 먹습니다. 나무 열매를 얻을 적마다 나무한테 고맙다고 절을 하며 나뭇줄기를 어루만집니다. 4348.9.16.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한테 이곳은 (사진책도서관 2015.10.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며칠째 방송국에서 전화가 온다. 방송국에서는 내가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사는 이야기를 찍고 싶어 하는구나 하고 느낀다. 하루이틀 찍는 방송이 아니라 이레쯤 찍는다 하고, 여러 날 들여서 찍으려 하는 만큼 이것저것 묻는다. 그런데, 방송국 작가나 피디가 묻는 말은 굳이 내가 그분들한테 전화로 들려줄 만한 이야기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동안 내가 쓴 책에 다 나온 이야기요, 내가 누리집에 다 올린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방송국에서는 ‘미리 알아본다’는 뜻에서 전화로 살펴보는 셈이라 할 테지만, 내가 쓴 책을 제대로 읽었으면 굳이 전화로 이것저것 알아볼 일이 없다. 내가 쓰는 글을 찬찬히 읽기만 했어도 딱히 전화로 이것저것 물어볼 일조차 없다. 게다가 나는 도서관 지킴이를 모으려고 손전화 번호를 누리집에 버젓이 적어 놓으니까, 내 손전화 번호쯤이야 누리집에 올리는 도서관일기를 읽었으면 모를 수가 없다. 아니면 내가 쓴 책을 펴낸 출판사에 전화를 걸면 손전화 번호쯤 얻는 일은 손쉬우리라.


  지난 구월 첫머리에 다친 오른무릎은 아직 말끔하게 낫지 않는다. 제법 잘 걸어다니기는 하더라도, 자전거로 면소재지를 다녀오더라도, 예전 같은 다리가 아니라고 느낀다. 그렇지만 나는 내 오른무릎을 사랑한다. 예전 같은 다리도 사랑하고, 요즈음 같은 다리도 사랑한다. 여러 시간 바깥일을 보거나 돌아다니다 보면 오른무릎이 욱씬욱씬 쑤시면서 길바닥에 주저앉을 만큼 되어도 이 무릎을 사랑한다. 틀림없이 내 몸하고 마음에서 달라지거나 새롭게 거듭나는 숨결이 있으니 이 무릎이 이렇게 몸앓이를 할 테지.


  나무를 생각하고, 땅과 풀을 생각한다. 우리 보금자리와 도서관을 나란히 생각한다. 고흥에서 지낸 지 다섯 해째이지만 아직 살림을 깔끔하게 갈무리하지 못했다. 이러한 살림살이하고 내 오른무릎이 아예 동떨어졌다고 여길 수 없다. 집과 도서관을 늘 아늑하고 깔끔하게 손질할 수 있는 몸짓일 때에 오른무릎도 한결 거뜬히 다스릴 수 있는 마음결이 되리라 느낀다. 그러니까, 가지를 꺾여도 나무는 나무 그대로이듯이, 삽차한테 밟혀도 땅은 땅 그대로이듯이, 뿌리가 뽑혀도 새로운 씨앗이 트는 풀이듯이, 나 스스로 이곳에서 일구는 이야기를 헤아려 본다. 우리한테 이곳은 삶터요 사랑터요 책터요 꿈터이면서 이야기터이다.


  다음에는 전화를 받지 말자고 생각한다. 나는 ‘방송에 찍히기를 손사래치기만 하는’ 사람은 아니니까, 내가 쓴 책이랑 글을 먼저 읽고서 ‘찍을 마음이 들면 그때 전화하시오’ 하고 말하며 짧게 끊어야겠다고 생각한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15호 (사진책도서관 2015.10.5.)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15호를 며칠 앞서부터 엮었으나 금요일에 마침 도서관에 책손이 찾아오셔서 피디에프 파일을 인쇄소로 보내지 못했다. 월요일에 파일을 보냈고, 도서관 이야기책이 고흥으로 오기를 기다린다. 오늘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이 고흥으로 날아온다. 도서관 이야기책이 오늘 오도록 했으면 오늘부터 우체국에 갔을 텐데. 며칠 기다려서 수요일이나 목요일부터 책하고 이야기책을 함께 부치면 될 테지.


  새로 낸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은 우리 도서관이 한결 튼튼하게 서는 길에 아름다운 뒷배가 될 수 있기를 빈다. 도서관 이야기책은 두 달에 한 차례씩 꼬박꼬박 내놓아서 보낼 수 있기를 빈다. 모두 다 잘 되리라. 시골마을에서 길어올리는 시골노래를 골골샅샅 흩뿌리면서 멋지고 사랑스러운 이웃님을 두루 만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함께살기〉 15호에는 《책짓기》라는 이름을 붙인다. 삶짓기처럼 책을 짓는 삶을 노래하는 작은 이야기꾸러미이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을 한 번 쉬고 (사진책도서관 2015.10.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놀이터에 가기 앞서 도서관에 들른다. 도서관에 책을 몇 권씩 옮긴다. 다 읽은 책도 옮기고, 아이들이 덜 읽거나 안 읽는 그림책도 옮긴다. 책을 덜어낸 살림집에서는 책을 덜어냈어도 티가 안 나고, 책을 옮겨 놓는 도서관도 몇 권쯤 더 둔들 티가 안 난다. 그러나 차츰차츰 달라지는 책결을 천천히 느낀다.


  자전거 사고가 난 지 달포쯤 지나면서 이럭저럭 자전거를 달린다. 몸도 많이 나아졌다. 다만 아직 옹근 몸은 아니니, 자전거를 타기 앞서 숨을 크게 한 번 쉰다. 마음속으로 말을 건다. 그래, 나는 잘 달릴 수 있지. 이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얼마든지 씩씩하게 달릴 수 있지.


  작은아이는 일산 이모한테서 선물로 받은 삽차를 들고 기쁘다. 얼른 이 삽차를 들고 면소재지 놀이터에 가고 싶다. 놀이터 모래밭에서 모래를 실컷 푸면서 놀고 싶다. 이리하여 도서관에는 아주 살짝 머물다가 놀이터로 가기로 한다. 모래를 마음껏 푸면서 노는 날을 얼마나 기다렸을까. 다음에는 바닷가에도 삽차를 가지고 가 볼까. 바다를 다녀오자면 다리가 더 튼튼해야겠지. 다시금 숨을 크게 몰아쉬면서, 앞으로 아이들하고 누릴 삶을 헤아려 본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왜나무 (사진책도서관 2015.9.2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어귀에 커다란 아왜나무가 한 그루 있다. 이만큼 커다란 아왜나무를 한국에서 보기는 쉽지 않으리라 느낀다. 깊은 숲속이 아니라면 사람들한테 시달리고, 깊은 숲속이어도 솎아내기라든지 조림사업 같은 이름으로 나무가 시달리기 때문이다.


  도서관 어귀에 있는 커다란 나무가 요 한 해 사이에 크게 시달린다. 뿌리가 뽑히거나 줄기가 잘린 나무가 매우 많다. 아왜나무도 크게 시달렸다. 뿌리 언저리 줄기 쪽에도 가지가 우거지고 잎도 많이 다는 아왜나무인데, 섣부른 가지치기를 해 놓는 바람에 나무가 다 죽으려고 한다.


  그렇지만 아래쪽에서 천천히 새 줄기가 오르려 한다. 아왜나무는 아프고 힘들지만 씩씩하게 새 숨결을 올리려 한다. 네 철 푸른 나무로서 힘을 내고, 언제나 푸른 나무로서 기운을 낸다.


  아왜나무는 누가 처음에 이곳에 심었을까. 쉰 살쯤 된 아왜나무일까. 이 나무가 앞으로 백 살도 살고 이백 살도 산다면 어떤 모습이 될까. 오백 살이나 천 살 아왜나무로 이 자리에서 우람하게 설 수 있기를 빈다. 나도 이 아왜나무와 함께 오백 해나 천 해를 잇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서리는 책을 이 시골자락에서 아이들하고 기쁘게 써서 우리 서재도서관에 건사하자고, 또 우리 이웃님들이 쓰고 엮은 아름다운 책들을 우리 서재도서관에 고이 간수하자고 새삼스레 다짐해 본다. ㅅㄴㄹ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