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백선엽이라는 분이 간도특설대에 몸담았던 사람이라고 한다. 한국전쟁에서는 참모총장을 했다고 한다. 나는 1970년대에 태어났으니, 이런 일이나 저런 일을 스스로 겪지 못해 모른다. 오직 책에 적힌 이야기로만 들을 뿐이다.

 1970년대에 태어나서 1980∼90년대를 인천에서 살아낸 사람으로서 백선엽이라는 분을 떠올린다면, 인천 제물포역 뒤쪽 도화동에 널찍하게 자리한 ‘선인재단’이다. 선인재단은 백선엽 씨와 백인엽 씨 이름을 따서 붙인 곳으로,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우글우글 모였다.

 선인재단은 사립학교인데, 이 사립학교는 열 해 즈음이던가, 인천에 뿌리를 둔 사람들이 싸우고 싸운 끝에 백선엽 씨와 백인엽 씨한테서 재단을 빼앗아 시립으로 바꾸었다. 왜냐하면, 선인재단이라는 이름으로 학교가 선 뒤로 끝없는 부정부패와 비리와 폭력으로 얼룩졌으니까.

 제물포역 둘레에 갈 때면 우람하게 버틴 선인재단이 드리우는 먹구름 때문에 서슬퍼런 기운에 싫었다. 버스가 선인재단 둘레를 거쳐 갈 때에는 이쪽을 쳐다보고 싶지도 않았다. 몇 만을 웃돌 학생들이 선인재단 수많은 학교에 우글거리도록 하는 일이 참말로 교육이 될는지 알쏭달쏭했다. 뺑뺑이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가야 할 때에, 부디 선인재단에 깃든 학교에 안 걸리도록 비손을 했다. 여중과 여고는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남중과 남고는 선인재단 쪽 학교로 가면 교사와 선배가 어마어마하게 폭력을 휘두른다는 소리를 일찍부터 들었으니까.

 학교에서 교사는 왜 몽둥이를 휘두르면서 교과서를 펼칠까. 학교에서 선배들은 왜 이맛살을 찌푸리면서 쉽게 주먹을 붕붕 휘두르며 걸어다닐까. 학교에서 또래 동무들은 왜 서로 무리를 지어 패싸움을 벌이거나 돌림뱅이 짓을 벌이려 할까. 학교라는 곳에서 조용하면서 착하게 배우고 어깨동무할 수는 없을까.

 한국전쟁에서 훈장을 받을 만큼 뛰어난 재주를 보였다면, 아무래도 ‘전쟁 영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으리라. 그런데, 전쟁 영웅이란 무엇이지? 사람을 더 많이 죽인 사람이 영웅 아닌가? 적군이라는 사람을 더 많이 더 빨리 더 쉽게 죽여야 영웅 아닌가?

 군대에서 장교로 있는 사람은 명령을 내리고 지시를 한다. 군화발로 걷어차며 어서 총알받이로 달려가라고 뒤에서 내몬다. 적군을 수없이 쓰러뜨리려고 아군이라는 사람은 또 얼마나 많이 쓰러져야 했을까. 적군을 죽이는 숫자만큼 아군이라는 사람도 죽어야 하지 않았을까. 두 나라 총알받이 군인, 곧 여느 사람들은 왜 싸움터로 나와서 낯도 이름도 모르는 서로를 나쁜 놈이라 여기면서 죽이고 죽어야 할까. 저마다 제 보금자리에서 흙을 일구며 착하게 살아가면 될 이웃이 아닌가.

 내 어릴 적 인천에서 지내던 나날을 곰곰이 떠올린다. 교사는 몇 해에 한 번씩 학교를 바꾼다. 나는 고맙게도 선인재단 쪽 학교에 안 걸리며 여섯 해를 보냈으나, 내가 다니던 학교에도 아주 마땅히 선인재단에서 일하던 교사가 들어오기 마련이다. 선인재단에서 일하던 교사가 들어온다고 하면 우리들 사이에서 수근수근 이야기가 퍼진다. “야, 선인재단 내기는 되게 무섭다며?” “선인재단에서는 엄청나게 줘팬다는데, 거기에서 온 선생은 어떨까?” “그 선생이 우리 학년을 안 맡으면 좋겠는데.”

 선인재단이 사립재벌에서 시립으로 바뀐 지 어느덧 열 해 즈음 되는 듯하지만, 나는 아직도 선인재단이라는 이름을 들을 때마다, 또 선인재단 이름 넉 자를 이루는 백선엽 씨 이름을 들을 때마다, 시커먼 소름이 돋는다. 부디, 백선엽 씨가 스스로 영웅이라는 이름표를 내려놓고, 백선엽 씨가 거느리는 널따란 산과 들에서 조용하면서 호젓하게 흙을 일구면서 무랑 당근이랑 배추랑 오이랑 가지랑 고추랑 감자랑 고구마를 길러서 예쁘게 살아가시기를 빈다. (4344.6.28.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정희 할머니, 그림 할머니


 그림 할머님을 네 식구가 찾아뵙는다. 옆지기와 첫째 아이와 옆지기 몸에서 자라는 둘째 아이까지 해서 네 식구가 찾아뵙는다. 그림 할머님으로 당신 고마운 삶을 일구는 박정희 님은 올해로 여든아홉 살이다. 우리 식구는 박정희 할머님이 여든다섯 나이일 때에 처음 뵈었고, 나는 일흔두 살 나이일 때부터 박정희 할머님을 알았다.

 여느 사람들은 그림 할머님인 박정희 님을 알기도 하고 모르기도 한다. 아니, 안다기보다 이름을 들어 보기도 하고 이름을 못 들어 보기도 한다. 으레 독재자 박정희라는 사람을 떠올리지 그림 할머님을 떠올리지 못한다. 어떤 이는 미국사람 ‘모세 할머니(grandma Moses)’하고 박정희 할머님을 빗대기도 하지만, 박정희 할머님은 그대로 박정희 할머님이다.

 박정희 할머니를 낳아 기른 아버님은 박두성이라고 여쭌다. 박두성 님은 일제강점기에 ‘한글 점글’을 만들었다. 흔히 ‘루이 브라이’라 하는 사람을 떠올리면서 박두성 님하고 견주기도 하지만, 박두성 님은 고스란히 박두성 님이다. 루이 브라이라는 사람이 ‘맨 먼저 점글을 만든’ 사람이지는 않다. 점글을 맨 먼저 만든 사람은 따로 있을 뿐 아니라, 루이 브라이 님은 장님이 더 손쉽게 쓸 뿐 아니라 널리 쓸 만한 ‘알파벳 점글’을 만든 사람이다. 박두성 님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장님이 손쉽게 널리 쓸 만한 ‘한글 점글’을 만든 사람이다.

 한글을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는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리라. 그러나 한글 점글을 만든 사람을 아는 한국사람은 매우 적다. 더욱이 한글 손말을 빚은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기란 훨씬 힘들다. 나도 아직 ‘한글 손말’을 빚은 사람이 누구인지를 모른다.

 그러나, 누가 한글 점글을 만들었는지 이름을 알든 모르든 얼마나 대수로운가. 한글 점글을 찍을 줄 알거나 읽을 줄 알아야지, 한글 점글을 만든 사람 이름만 안대서 무엇이 대단한가.

 딸 넷 아들 하나한테 육아일기를 만들어 선물로 베푼 그림 할머님인 박정희 님을 떠올리거나 기리거나 모시는 일이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름만 안다 한들 무슨 보람이 있으며, 놀랍거나 대단하다고 말해 보아야 무슨 뜻이 있는가. 나는 나대로 내 아이를 사랑하면서 하루하루 일굴 수 있으면 된다. 할머님은 할머님대로 할머님 삶을 사랑하고 고맙게 여기면서 할머님 삶을 일구었다. 할머님을 낳아 기른 어머니와 아버지는 당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넋을 고스란히 물려주었다.

 사랑이 있기에 일제강점기라는 무시무시한 때에 한글 점글을 만들 수 있다. 사랑이 있기에 다섯 아이에다가 여러 식구를 거느리면서도 그림그리기를 놓지 않을 수 있다. 사랑이 있기에 여든아홉 나이에도 수채그림 교실을 마련해 당신 밥벌이로 삼으면서 살아갈 수 있다.

 책을 읽는 사람은 사람을 읽어야 한다. 사람을 읽는 사람은 사랑을 읽어야 한다. 사랑을 읽는 사람은 삶을 읽어야 한다. 책을 읽든 그림을 읽든, 또 글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매한가지이다. 글쓰기란 사람쓰기요 사랑쓰기이며 삶쓰기이다. 그림그리기란 사람그리기요 사랑그리기이며 삶그리기이다.

 내가 박정희 할머님을 좋아하면서 할머님 매무새를 사진으로 담아 보기도 하는 까닭을 든다면, 할머님 스스로 할머님 삶을 사랑하면서 이웃사람과 예쁜 이야기꽃을 피우기 때문이랄 수 있다. 나는 나대로 우리 시골집에서 네 식구 올망졸망 복닥이면서 더 사랑하고 아끼는 길을 찾고 싶다. 그러나 어제 하루도 나는 우리 아이한테 골을 많이 부렸다. 이쁘다 이쁘다 하고 말해야 하지만, 어쩌면 나는 나한테부터 이쁘다 이쁘다 하고 말을 못하니까 내 아이한테든 옆지기한테든 이쁘다 이쁘다 소리를 좀처럼 못하는 삶에 허덕이는지 모른다. 할머님 말마디를 띄엄띄엄 수첩에 옮겨적었다.


 “그렇게 굶어죽는 집에 시집을 가서 물지게도 못하고 밥도 못해요. ‘너는 그 상태로 시집 올 생각을 했니?’ 했는데, 나는 물지게하고 시집이 관계가 있는 줄 몰랐어. 딸 딸 딸 딸 낳으면서도 너무나 기뻐서, 너무나 예쁘고 말 잘 듣는다 말하면서 …… 나는 내가 하느님께 충성하는 만큼 이 아이들을 길렀는데, 적중했어요 …… 암만 생각해도 하나님은 무서운 분이에요. 말을 안 들으면 죽여. 이스라엘 사람들을 죽인 거를 봐요 …… 우리 남편은 상상도 못할 철부지 남편이었어. 나 없으면 밥도 안 먹고 내가 올 때까지 기다려. 그래도, 부모님 모시고 나에게 존경받는 사람으로 끝났어요 …… 이거 어떡하다가, 밥을, 그림 가르치며 먹는 셈이잖아 …… 그림을 그리며 보내잖아, 벅찬 거야, 이 희열의 순간들. 그림 그리는 시간들, 하나님 감사합니다, 제가 이 많은 하나님 은혜를 받고 살면서도 모자란데, 열심히 기도하겠습니다 하고 있으면 아이들이 ‘뭘 그리 감격해 해요?’ 하지만, 나는 그림 그리는 시간들이 소중하다고 …… 여기(화평동) 재개발 들어간다잖아. 문짝 팔아 먹고살 수는 없고, 남편이 병원 문 닫은 다음에 유치원을 할까 하다가, 그런데 내가 나이가 들어 힘이 없으니 아이를 들지를 못해 …… 내일 막내딸이 며느리를 얻어, 결혼식이야 …… 자기(막내딸)와 같이 예배 드리던 사람이 장로가 되고 권사가 되고 …… 울어야지, 감사해서 …… 하나님께 칭찬받는 사람이 되면 돼 … 요즘 사람들은 돈이 하나님보다 더 중요하고, 다들 미쳤어 …… 어느 분이 시험에 붙었어. 그래서 나한테 전화를 하지. 내가 아주 좋아할 줄 알고 …… 그림은 하나님의 솜씨를 그리워하면서 하는 수작이에요. 어쩌면 이렇게 예쁘게 할 수 있을까 하고 …… 어떤 이가 밤 아홉 시까지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더니, ‘안 돼요, 할머니 노동 착취 하면 안 돼요.’ 하고 다 보내요. 그러니, 그림을 그리던 분이 다 깔깔대요 …… 할머니가 좋아해서 미쳐서 그림을 그리니까, 이분들(나한테 그림을 배우는 분들)도 다 미쳐서 그리는데, 그림을 그리고 집으로 돌아가면 식구들도 다 좋아한대요. 화백이라고 불러 줘서 좋고, 집에서도 그림을 좋다 해서 좋고 …… 새로 목사님이 오셨는데 젊은 분이야, 목사님이 내 손주뻘 나이네. 아이고 예쁘다 그림 그리고 싶네요 하니까, ‘할머니 그림 그리세요?’ 해서, 네 그림 그립니다 하고는, 처음에 한 시간, 그리고 일 주일 뒤에 한 시간 더 그리면 액자 끼워서 드릴게요 했어 …… 그런데, 한 시간 그림을 그린 뒤에 목사님이 보고 이 그림 나 달라고 그래. 그래서 일 주일 뒤에 다시 와서 더 그려야 한다고 하는데 ‘더 그릴 게 뭐 있어요?’, 화가가 더 그릴 게 있다면 그런 거지요. 그러고 일 주일 뒤에 다시 와서 한 시간 더 그리니까 또 달라고 그래. 그래, 내가 처음에 한 시간 일 주일 뒤에 한 시간 그러고 나서 액자 끼워서 준다고 했지요 …… 그기(그 그림이) 하나님 작품이니까 좋지, 내 작품이니까 좋지는 않거든. 사람이건 자연이건 풍경이건 꽃이건, 내가 아이들을 기를 때에 늘 그렇게 길렀어요. 한 번도 ‘너 때문에 내가 할 일을 못했다’라거나 하지 않았어요 …… 맨날 애들보고 이쁘다 이쁘다만 했어요 …… 난 아이들 낳고 키우면서 돈은 못 벌고 사랑만 벌어 온 거 같아 …… 겉으로 미사여구를 잔뜩 늘어놓아도 뱃속으로 아시는 사랑이 하나님이다.” (4344.4.1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선희


 노래꾼 이선희 님은 〈달려라 하니〉와 〈천방지축 하니〉 노래를 불렀다. 이 만화영화가 나중에 다시 나올 때에는 다른 사람 목소리가 흐르는데, 다른 사람이 이 만화영화 노래를 부르는 목소리를 들으니, 이선희 님 목소리가 하니 삶하고 얼마나 잘 어울리거나 걸맞는지 새삼스레 깨닫는다. 마음속에서 활활 불타지만 겉으로 보기에 사람들은 하니라는 자그마한 아이 가슴에 무엇이 있는지, 아니 자그마한 아이 하니 가슴이 활활 불타오르는지조차 느끼지 못한다. 이러다가 이 작은 아이가 뜨겁게 활활 불타오르면서 솟구칠 때에 비로소 입을 쩍 벌리며 놀란다. 도무지 삭일 수 없는 아픔과 슬픔과 미움과 기쁨과 괴로움과 힘겨움과 고마움과 안타까움에 꿈과 사랑과 그리움이 뒤엉크러진 불꽃. 이선희 님은 노래를 부를 때에 어떤 마음이었을까. 그저 목소리만 남다르거나 돋보이는 노래꾼이었을까. 응어리가 터럭만큼도 남지 않도록 활활 불태우는 노래꾼이었을까. 하니를 마음으로 껴안으면서 사랑하는 노래꾼이었을까. 저 스스로 하니와 같이 살아가며 외치는 노래꾼이었을까.

 “꼭 감은 두 눈 속에, 엄마 얼굴 아른아른, 사실은 보고 싶대. 왼발 깽깽 오른발 깽깽, 그렇게 홀로 선대.”

 기쁜 삶을 기쁜 빛으로 부르고, 슬픈 삶을 슬픈 바람으로 부르며, 즐거운 삶으로 일구는 노래가 가슴 시리도록 좋다. (4344.4.4.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병우


 공병우 님하고 함께 살았던 집식구는 공병우 님을 어떻게 바라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공병우 님이 살던 무렵에 만나뵌 일이 없을 뿐더러, 공병우 님이 쓴 책을 읽는다 하더라도 공병우 님 집식구를 알 수 있지는 않으니까요. 그저, 공병우 님이 남긴 글과 사진을 돌아보면서 당신 삶결을 더듬을 뿐입니다. 아마, 앞으로 쉰 해나 백 해쯤 뒤라면 공병우 님 집식구 이야기를 알 길이란 오늘보다 훨씬 적을 테며, 이백 해나 오백 해 뒤에 공병우 님을 되새길 사람들은 당신 글과 사진으로만 당신을 읽거나 살피겠지요.

 사진밭에서 공병우 님을 생각하거나 말하는 일은 대단히 드뭅니다. 공병우 님을 생각하거나 말하는 자리는 안과 의사인 공병우 박사와 세벌식 한글타자기를 만든 한글운동꾼 공병우 님입니다. 그러나 공병우 님은 짧고 굵게 사진쟁이로 살기도 했습니다. 더욱이, 나이 일흔을 넘긴 때에 누구도 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던 사진일을 했습니다.

 공병우 님이 누구보다 거룩하거나 대단하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또한, 공병우 님한테는 의사나 한글운동꾼이나 사진쟁이라는 이름이 그다지 걸맞지 않구나 싶습니다. 그저 공병우 님은 당신 삶을 좋아하면서 아름다운 길을 걸으려고 온힘을 쏟은 멋진 사람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신 목숨을 고마이 여기며 기쁜 나날을 마음껏 누리려고 온땀을 바친 착한 사람이 아니랴 싶어요. (4344.3.22.불.ㅎㄲㅅㄱ)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1-03-22 23:18   좋아요 0 | URL
공병우님이란면 세벌식 타지기를 만드신 그 안과 의사분이신가요?

숲노래 2011-03-23 07:42   좋아요 0 | URL
네.. 글에 썼잖아요. ㅋㅋㅋㅋ

카스피 2011-03-23 22:10   좋아요 0 | URL
ㅎㅎㅎ 이런^^;;;;
 



 윌리엄 스타이그


 윌리엄 스타이그 님 그림책을 들여다볼 때마다 이분이 얼마나 전쟁을 싫어하는지를 느낍니다. 윌리엄 스타이그 님 그림책을 펼칠 때마다 이분이 ‘전쟁이 몹시 좋아하는 나머지 전쟁무기 만들기와 전쟁하기를 그치지 않는 미국’이라는 나라와 ‘미국을 닮은 나라’를 얼마나 미워하는지를 느낍니다.

 그런데 윌리엄 스타이그 님 그림책에는 미움이나 짜증이나 싫음이나 괴롭힘 따위는 조금도 깃들지 않습니다. 참으로 너그러운 사랑과 더없이 우스꽝스러운 괴물만 나옵니다. 너그러운 사랑은 우스꽝스러운 괴물을 감싸고, 우스꽝스러운 괴물은 고이 흙으로 돌아가 너그러운 사랑 손길로 어루만지는 거름이 됩니다.

 사랑이란 전쟁이 아닙니다. 무기를 든 사랑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사랑은 따뜻합니다. 차가운 사랑이란 어디에도 없습니다.

 사랑에는 진보가 없고 보수가 없습니다. 사랑은 진보나 보수로 나누지 못합니다. 사랑은 오로지 사랑입니다. 사랑이기에 그예 사랑입니다. 사랑이라는 마음이기 때문에 밥 굶는 사람 누구나 이웃으로 여겨 따뜻한 밥그릇을 건넵니다. 밥 굶는 사람이 진보라서 한 술을 더 뜨거나 밥 굶는 사람이 보수라서 한 술을 덜지 않습니다. 밥 굶는 사람이 전태일이기에 반찬을 열 가지 더 내놓는다거나 밥 굶는 사람이 전두환이라서 굶어죽으라고 걷어차지 않습니다.

 사랑은 예쁜 꽃한테도 햇볕을 나누어 주고, 사랑은 미운 꽃한테도 햇볕을 펼쳐 줍니다. 사랑이기에 누구나 떠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입니다. 사랑인 까닭에 누구라도 기쁘게 숨쉴 수 있는 맑은 바람입니다. (4344.3.18.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