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90 : 삶놀이, 책놀이, 사랑놀이

 


  엘린 켈지 님이 쓴 《거인을 바라보다》(양철북,2011)라는 책이 있습니다. 누군가 이 책을 한글로 옮겼고, 또 누군가 이 책을 펴냈기에, 나는 고작 13000원을 들여 틈틈이 책장을 넘기면 ‘고래와 얽혀 그동안 알지 못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새록새록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글쓴이는 고래 연구를 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마주하며 이 책을 썼다고 하는데, 연구자나 학자는 으레 “우리가 고래에 대해 아는 지식이란, 연구자들이 수면에서 얻어낸 극히 일부분의 정보로부터 추론한 것에 불과하며 그조차도 계속 같은 장소만을 관찰해 얻은 정보(57쪽)”라고 말한답니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안다’고 할 때에는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아는 셈일까 헤아려 봅니다. 누군가 나무를 ‘안다’고 한다면, 나무 한 그루와 얽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아는 셈일까 생각해 봅니다. 카렐 차페크 님은 《원예가의 열두 달》(맑은소리,2002)이라는 책을 쓰며 “입수한 식물을 전부 완벽하게 테스트하고 마스터하고 실제로 감상하기까지는 1100년이 걸린다(225쪽).” 하고 말합니다. 1100년을 살지 않은 주제에 무슨 턱없는 소리이냐고 따질 수 있을 텐데, 어느 풀이건 나무이건 꽃이건 하나도 똑같지 않아요. 풀 한 포기를 알려고 하면, 한해살이를 낱낱이 살펴야 하고,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갈래 풀포기를 모두 살펴야 하는데, 이렇게 살피고 저렇게 살피자면 ‘한 가지 풀’만 하더라도 자그마치 1100년을 들여다봐야 모든 모습을 살필 수 있다는 소리예요.


  내가 너를 알려면 너랑 함께 살아 보아야 알까요. 내가 너랑 함께 살아도 내가 못 보는 네 모습은 없을까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이녁 아이를 얼마나 안다 할 만할까요. 오늘날 거의 모든 어버이는 아이들을 보육원이나 어린이집에 맡깁니다. 어느 집에서는 돌쟁이조차 ‘전일제’로 보육원에 맡겨요. 때로는 할머니 손에 오래도록 맡기기까지 해요. 이런 요즈음 흐름을 돌아본다면, 요즈음 어버이는 이녁 아이를 ‘안다’고 하기 어려우리라 느껴요. 참말 무엇을 알까요.


  《거인을 바라보다》를 더 살피면 “아이를 키우는 엄마나 갓 태어난 아기들에게는 평화로움과 고요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래의 경우, 성별이나 나이를 막론하고 모든 개체들에게 평화와 고요가 반드시 필요하다(64쪽).”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책을 덮고 오래도록 생각에 잠깁니다. 고래뿐 아니라 사람도 평화롭고 고요한 곳에서 즐겁게 살아갈 만해요. 아이뿐 아니라 어른도 평화롭고 고요한 데에서 즐겁게 일하며 놀 만해요.


  삶이란 놀이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즐겁게 누리는 놀이처럼 즐겁게 누릴 삶이어야지 싶습니다. 1100년을 들여다봐야 비로소 겉훑기를 할 만한 풀 한 포기처럼, 한 사람 삶이란 두고두고 살펴도 모를 깊이가 있는 어여쁜 사랑이지 싶습니다. 가을하늘 올려다보며 삶을 읽고 놀아요. 밤하늘 초승달 올려다보며 사랑을 느끼고 놀아요. 스스로 아름다운 눈망울로 거듭나면서 아름다운 책을 알아보며 하루를 해사하게 누리면서 놀아요.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민사회신문에 띄우는 글.

 


 책으로 보는 눈 189 : 사람으로 가는 길

 

 

  겨울에 대통령을 뽑습니다. 이 자리에 나선 어느 분은 ‘ㅂㄱㅎ’라고 당신 이름을 적습니다. 제가 잘 모르니 모른다 할 텐데, 한국에서 정치를 한다고 나선 이 가운데 이녁 이름을 ‘JP’나 ‘DJ’나 ‘YS’나 ‘MB’처럼 알파벳 아닌 한글 닿소리로 적도록 하자고 말한 사람은 처음이지 싶습니다. 한국사람한테는 한국글인 한글이 있기에 한국에서 지내며 이웃과 동무하고 한글로 내 마음을 나누면 돼요.


  2012년 1월부터 부산문화재단은 ‘ㅂㅅㅁㅎㅈㄷ’처럼 기관 이름을 적는다고 합니다. 이 또한 모르는 노릇인데, 한국에 있는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가운데 알파벳 아닌 한글 닿소리로 기관 이름을 적은 일로는 처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두들 영어에만 눈길을 보내고, 영어를 해야 먹고살 수 있는 듯 말하며, 영어 아니면 지구마을을 못 이루는 듯 여깁니다.


  기관 이름을 한글 닿소리로 적는대서 훌륭하지는 않습니다. 스스로 즐겁게 일하면서 이웃과 동무를 사랑하는 마음씨일 때에 비로소 훌륭하다 할 만합니다. 이름은 어여삐 적는다지만, 하는 일은 볼썽사납거나 얄궂다면 껍데기가 될 테지요. 언론놀이 하듯 밖으로는 한글사랑·한국사랑인 듯 외치지만 속으로는 옳고 바르며 참답고 착하게 한국말을 아끼거나 사랑하지 않는다면 겉치레가 될 테지요. 어떤 말을 하거나 어떤 이름을 쓰거나 가장 대수롭게 들여다볼 대목이라면 ‘사람으로 가는 길인가’랑 ‘사랑으로 가는 길인가’라고 느껴요.


  안동 시골마을에서 놀이밥 먹으며 살아가는 편해문 님이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소나무,2012)라 하는 책을 내놓으며 “닭장 안에서 조금의 자존감도 느낄 수 없었던 닭들이 다른 닭들을 존중한다는 것은 당치 않은 이야기다. 왕따는 바로 존중받지 못하고 관심받지 못한 아이들이 벌이는 존재의 드러냄이다(35쪽).” 하고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이 스스럼없이 놀 터와 동무와 겨를이 없도록 온누리를 꽁꽁 닫아거는 어른들은 아이들을 아끼지 않고 사랑하지 않으며 돌보지 않는 셈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누구나 가만히 생각해 보면 환하게 알겠지요. 초등학교가 초등학교 구실을 안 하는 한국이에요. 어린이집이나 고등학교도, 중학교나 대학교도, 배움터 구실을 못 하는 한국이에요. 모든 교육기관이 배움터 아닌 입시학원이에요. 삶을 나누는 배움마당 아닌 영어와 지식을 외우는 시험터예요.


  미국에서 교사란 어떤 사람이고 가르침이란 무엇인가 생각하던 이들이 《가르친다는 것》(양철북,2012)이라는 만화책을 묶습니다. 가르침과 배움을 들려주는 만화책은 “우리는 학생들을 볼 때 무엇을 보나? 누구를 보나? 똑같은 얼굴들? 지능지수와 시험 성적? 결함들? 아니면 가능성(34쪽)?” 하고 묻습니다.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내 어버이를 바라보면서, 대통령 후보를 바라보면서, 이웃을 바라보면서, 여기에 책 한 권을 바라보면서 무엇을 생각하나요. 대학교는 왜 들어가야 하고, 고등학교나 중학교는 왜 다녀야 하나요. 무엇을 배워야 하고, 서로서로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요.


  한가위를 지난 달이 차츰 이울며 날씬한 초승달이 됩니다. 시골마을에서는 초승달이 밝게 보이고, 달 곁 별들 모두 반짝입니다. 풀벌레 노랫소리 호젓합니다. (4345.10.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보는 눈 188 : 가을 일손과 시골 고등학교

 


  한가을로 접어드는 날씨를 누리며 들길을 걷거나 자전거를 달립니다. 지난 2011년에 전남 고흥 시골마을로 들어온 우리 식구한테는 아직 우리 땅이 없이 이웃 할머니나 할아버지처럼 흙을 일구지 못하니다. 그러나 우리 땅이 없으니 네 식구 오붓하게 나들이를 다닙니다. 자전거를 몰아 이웃마을로 가고, 택시를 불러 바닷가를 다녀옵니다. 오가는 택시삯 만사천 원이면 하루 내내 바다를 실컷 누립니다. 나중에 우리 땅을 장만하면 우리도 한가을에 무척 부산할 테지, 하고 생각하며 할머니들 콩털기를 바라봅니다. 할아버지가 경운기를 몰아 콩포기를 밟으면 할머니는 곁에 주저앉아 나무방망이로 텅텅 하고 두들깁니다.


  시골 마을 일손은 하나같이 할머니와 할아버지뿐입니다. 아주머니나 아저씨조차 볼 수 없으며, 젊은이나 푸름이나 어린이는 아예 없습니다. 젊은이는 거의 모두 도시로 나가 회사원이나 공장 일꾼이 되었고, 푸름이와 어린이는 학교에 있습니다.


  시골마을 고흥군은 2012년 겨울에 나로섬에 있는 나로고등학교가 문을 닫습니다. 2014년 겨울이 되면 거금섬에 있는 금산고등학교가 문을 닫습니다. 학생 숫자가 적으면 학교를 닫을 수 있다지만, 나로섬과 거금섬 학교 학생은 적지 않습니다. 게다가 고등학교가 통폐합되어 읍내 고등학교로 가야 한다면, 이 아이들은 집하고 떨어진 채 무척 먼 곳에서 어릴 적부터 ‘타향살이’를 해야 하는 셈입니다. 교육행정 맡은 분들은 아이들 하나하나를 헤아리거나 사랑하면서 일을 하는지, 아니면 숫자와 실적에 맞추어 효율과 능율을 따지며 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셀마 라게를뢰프 님이 써서 노벨문학상을 받은 청소년문학 《닐스의 신기한 여행》(오즈북스,2006) 1권을 읽습니다. 1906∼1907년에 쓴 이 문학책은 ‘스웨덴 교육부’에서 작가 한 사람한테 맡겨서 쓴 ‘지리 수업 부교재’라고 해요.


  “한 번이라도 저녁에 덤불 속에서 들려오는 나이팅게일의 노래를 들으면서 여기 암벽가에 앉아 저기 저 너머 칼마르 해협을 바라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섬이 다른 섬들하고 똑같은 방식으로 생겨나지는 않았을 거라고 생각할 거예요(208쪽).” 같은 이야기가 흐르는 ‘지리 수업 부교재’가 1906∼1907년에 태어날 수 있던 스웨덴 교육 행정을 생각해 봅니다. 한국에서는 어떤 교재와 부교재로 아이들한테 마을과 이웃과 어버이와 동무를 사랑하거나 아끼는 길을 밝힐까요.


  정영신 님이 한국땅 골골샅샅 누비며 사진을 찍어 빚은 《한국의 장터》(눈빛,2012)라는 두툼한 책을 읽습니다. “차들이 다니지 않았던 오래전 어린 시절의 장터를 상상해 본다. 사람들은 현대식 의복도 아닌 허름한 옷차림에 짐 보따리를 이고 지고 나와 공터에 보따리를 풀어 놓았을 것이다(61쪽).” 하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문명은 더 높아지고 기계는 더 나아진다는데, 사람들 살림살이는 어느 만큼 즐겁게 거듭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기계를 쓰거나 쓰리디 영화를 볼 수 있는 오늘날은 참으로 즐거운 지구별일까요. 고등학교도 중학교도 초등학교도 한가을 바쁜 일철에 ‘아이들 어버이’나 ‘아이들 할머니 할아버지’ 일손을 거들지 못하지만, 누구나 콩밥을 먹고 쌀밥을 먹으며 상추쌈을 먹습니다. (4345.9.1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보는 눈 187 : 낮은 목소리 책읽기

 


  한여름에는 집에서도 덥습니다. 더운 날씨에 파리들은 마음껏 날갯짓합니다. 밤잠을 자든 낮잠을 자든, 파리들은 몇 마리씩 내 발가락이나 허벅지나 콧잔등에 앉곤 합니다. 파리가 내려앉을 때면 간질간질하는 바람에 제대로 잠들지 못합니다. 아주 작은 벌레가 아주 살짝 내려앉을 뿐이지만, 나는 파리 움직임이 성가시다고 느낍니다.


  바람이 불어 나뭇잎이 살랑거립니다. 나뭇잎이 살랑거리는 소리를 들으면서 바람을 쐽니다. 이야, 시원하구나, 하고 느끼면서 이야, 시원한 소리네, 하고 느낍니다. 바람은 살결과 귓결로 시원스레 찾아듭니다.


  바람은 드넓은 들판 푸른 볏포기를 가로지르곤 합니다.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무럭무럭 익는 벼는 사람들한테 좋은 밥으로 거듭납니다. 한겨레는 한여름 햇살 듬뿍 받은 벼에서 얻은 열매인 쌀을 먹으면서 여름을 헤아리고 봄을 살피며 가을을 노래합니다. 모든 곡식에는 철이 담기고 날씨가 담깁니다.


  루이제 린저 님 책 《낮은 목소리》(덕성문화사,1992)를 읽습니다. 2001년에 《내가 아닌 사람과 사는 지혜》(지식공작소)라는 이름으로 새로 나온 이 책은 짤막하게 적바림한 생각을 그러모읍니다. 이를테면, “사람이 완전히 겸허한 가운데 스스로 작고 충실하고 초라한 하느님의 심부름꾼 이외에는 아무것도 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때에 얼마나 위대한 인물이 될 수 있는지를 상상할 수 있겠습니까(58쪽)?”라든지 “내가 그 돈을 그들에게 주기 전까지 금고는 텅 빈 채로였으나, 그들은 조바심을 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단지 그날의 일용할 양식만을 기원했고, 언제나 그것은 채워졌기 때문입니다(135쪽).” 같은 이야기가 잔잔하게 흐릅니다.


  차분하게 흐르는 생각은 아름답게 일구는 마음이 됩니다. 가만히 이어지는 사랑은 찬찬히 빛나는 믿음이 됩니다.


  진보를 바라는 이들이 슬기롭게 꿈꾸기를 바라는 손석춘 님이 쓴 작은 책 《그대 무엇을 위해 억척같이 살고 있는가?》(철수와영희,2012)를 훌쩍 읽습니다. 아버지가 책을 읽는 곁에서 다섯 살 어린이는 《도라에몽》 만화책을 읽습니다. 손석춘 님은 맺음말로 “정치를 바꾸는 길, 국민 대다수의 정치경제 생활, 곧 삶을 바꾸는 길이다. 모든 진보에게 고한다. 아니, 호소한다. ‘학습하라, 토론하라, 소통하라.’(134쪽)” 하는 외침을 꾹꾹 눌러 씁니다. 참말 누구라도 ‘배우고, 얘기하고, 나눌’ 줄 알아야 합니다. 진보를 바라는 이들이든, 보수나 수구를 꾀하는 이들이든, 사회주의나 공화주의나 자본주의나 민주주의나 무슨무슨 주의를 외치려는 이들이든, 모두 ‘배우고, 얘기하고, 나눌’ 줄 알 노릇입니다.


  참답게 살아갈 길을 배웁니다. 착하게 어우러질 길을 얘기합니다. 아리땁게 사랑할 길을 나눕니다. 높은 목소리도 없으나 낮은 목소리도 없습니다. 아리따운 목소리가 있고, 곧바른 목소리가 있습니다. 빛나는 목소리가 있으며, 슬기로운 목소리가 있습니다. 서로를 아끼는 목소리가 있고, 서로서로 보살피는 목소리가 있어요. 어깨동무할 벗님과 즐겁게 웃음을 나누는 책입니다. (4345.8.15.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보는 눈 186 : 한여름에 책을 읽다

 


  이른새벽 해맑게 트는 동을 바라봅니다. 하늘이 파랗게 맑고 구름이 하얗게 싱그러운 시골에서는 새벽과 저녁에 눈부신 빛무지개를 잔뜩 누립니다. 새벽에도 저녁에도 하늘 끝은 짙붉게 물듭니다. 어떤 핏물보다 짙고 어떤 열매보다 붉은 노을빛은 내 마음이 착하고 예쁘게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상냥한 손길과 같다고 느낍니다. 새벽노을을 바라보며 《산처럼 생각하라》(소동,2012)라는 책 하나를 읽습니다. ‘지구와 공존하는 방법’을 말한다는 이 책 30쪽에서 “역사적으로도 우리는 생태를 보존하는 일이 기본적으로 비폭력 행위라는 것을 보아서 알고 있습니다.” 하는 얘기를 들려주고, 74쪽에서 “멸종의 위기는 변화하고 진화하라는 요청 같기도 하다.” 하는 얘기를 들려줍니다.


  책을 가만히 덮습니다. 한여름 풀벌레소리를 듣습니다. 참말 한여름이 무르익을 때에는 무논 개구리 노랫소리가 고요해집니다. 논가를 거닐면 곳곳에서 개구리를 만나지만, 이른여름까지는 개구리 노랫소리 가득하더니, 한여름에 접어들며 개구리 노랫소리가 똑 끊겨요. 아마 사람도 알아들을 만큼 커다란 노랫소리는 잦아들고, 개구리끼리 나누는 작은 목청으로 이야기꽃 피우지 않으랴 싶어요.


  여러 해 앞서, 천성산에서 지율 스님은 도룡뇽 한 마리를 들며 숲을 지키자는 뜻을 널리 펼쳤어요. 참 많은 사람들과 정치권력과 경제권력은 ‘고작 도룡뇽 한 마리’라며 손가락질을 했습니다만, 고작 도룡뇽 한 마리 살지 못하는 숲이라면 사람도 이곳에서 살지 못해요. 참말, 도룡뇽이고 개구리이고 살지 못하는 ‘숲 없는 도시’는 ‘우리 사람’이 살기에 얼마나 좋은 터전이 될까요. 도룡뇽도 개구리도 없는 도시에서 사람들은 얼마나 어깨동무하거나 사랑을 나누며 살아가나요.


  김남주 님 묵은 시집 《진혼가》(청사,1984)를 들추다가 〈고구마똥〉이라는 시를 읽습니다. “그래도 누가 있어 허구많은 사람들 / 서울에도 내가 있어 순한 마음이 있어 / 건성으로나마 물어 온다면 / 어떻게들 사느냐고 물어 온다면 / 나는 무어라고 할까 / 부끄러워 뭐라고 할까 // 밤별이 곱더라고 수다를 떨까 / 달빛이 밝더라고 수줍어할까” 하는 대목에 새삼스레 밑줄을 긋습니다. 읽고 또 읽고 새겨서 읽습니다. 정부 추곡수매를 다루는 〈秋穀〉을 읽다가 “다짜고짜 쿡쿡 찔러 / 대창으로 쇠창으로 / 여기저기 찔러 놓고 / 나락 색깔 곱지 않다 / 쭉정이가 섞여 있다 / 가마니가 너무 헐다 / 새끼줄이 퉁퉁하다” 하는 대목에 쓰겁게 밑줄을 긋습니다. 가을걷이 마친 흙일꾼 나락을 재고 따져 사들인다는 정부 공무원은 한여름 들판에 나와 논둑 풀을 뜯거나 피사리를 해 본 적 있을까요. 정부가 등급을 낮추어 나락을 사들인 뒤 몇 곱 값을 붙여 백화점과 대형마트에 쌀을 내놓으면 오직 돈으로 다시 사들여 전기밥솥에 안치는 도시사람은 뭉게구름과 제비 날갯짓과 바람소리를 먹으며 무럭무럭 크다가 이삭이 패는 볏포기를 손으로 쓰다듬은 적 있을까요.


  자동차가 고속도로를 가득 메우며 달립니다. 고속철도가 논밭 사이로 달리고, 숲 한복판에 구멍을 뚫어 달립니다. 도시마다 전기가 모자라다며 아우성이고, 도시에 모자란 전기를 시골마을 한복판에 발전소 세워 채우려고 법석입니다. (4345.7.30.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