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60 : 책쉼터

 히로세 다카시 님이 1992년에 내놓은 《왜 인간은 전쟁을 하는가》(프로메테우스출판사,2011)를 읽으면서 “그렇다면 핵무기는 대체 여태껏 무엇을 미연에 방지해 왔다는 것인가? 놀랍게도 ‘핵무기는 핵전쟁을 미연에 방지해 왔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 이 믿기 힘든 사실을 전 세계 사람들은 훌륭하다고 믿고 있다. 핵무기가 없으면 당연히 핵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160쪽).”라는 대목에 밑줄을 긋습니다. 더없이 뻔하며 올바른 생각이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이토록 뻔하며 올바른 생각을 제대로 살피거나 찬찬히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이쪽에 핵무기가 있으면 저쪽에서 선뜻 공격하지 못한다지만, 이쪽도 저쪽도 핵무기가 없으면 핵전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쪽에 군대가 있으면 저쪽에서 섣불리 쳐들어오지 못한다지만, 이쪽도 저쪽도 군대가 없으면 전쟁이란 터지거나 생기거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핵무기가 있기 때문에 핵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전쟁무기가 있으니 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권력이 있기 때문에, 또 명예라는 허울이 있고 돈이라는 껍데기가 있기 때문에 수많은 다툼과 싸움이 생깁니다.

 좋은 책을 읽는 사람이 모두 좋은 삶을 일구지는 않습니다만, 스스로 좋은 삶을 바라면서 좋은 책을 읽을 때에는 좋은 삶을 일굽니다. 좋은 책을 읽는다지만, 내 이름값을 높이거나 몸값을 높이려는 뜻에서, 이른바 ‘처세·경영’이나 ‘자기계발’을 하겠다면서 좋은 책을 읽는다면 좋은 삶을 일구지 못합니다. 그저 더 돈을 벌어들이거나 더 이름값을 높이거나 더 권력을 단단히 하려고 애쓰겠지요.

 《왜 인간은 전쟁을 하는가》를 더 읽으며 “요즘의 미사일 경쟁은 규모의 우위에 서는 게 목적이 아니라 적을 순간적으로 격멸시키는 성능에 목적을 두는, 보다 잔인한 형태가 되었다(299쪽).”라는 대목에도 밑줄을 긋습니다. 그러니까, 오늘날 전쟁이란 ‘내 나라를 사랑하며 지키는 일’이 아닙니다. ‘이웃나라를 깡그리 죽여 없애는 짓’입니다. 군대란 ‘이웃나라 사람을 남김없이 죽이고 이웃나라 마을을 송두리째 없애는 짓’을 재빨리 하도록 살인훈련을 하는 데입니다.

 미국이든 러시아이든 일본이든 중국이든 새 무기를 더 만들고 새 군대를 더 키우는 데에 돈과 힘과 겨를을 들인다 하더라도, 한국이라는 나라는 새 무기나 새 군대가 아닌, 착한 사람과 참다운 누리와 아름다운 자연을 사랑하며 돌보는 데에 돈과 힘과 겨를을 들일 수 있기를 꿈꿉니다. 잘 팔리는 책만 잔뜩 쌓는 커다란 새책방보다는 마을사람 누구나 끌신을 신고 가벼운 옷차림으로 마실할 만한 작은 책쉼터가 온 나라 곳곳에 두루 자리잡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비손합니다.

 크고 북적거리는 책쉼터에서 다시금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나 자기계발 책만 들여다보는 삶이 아니라, 조그마하며 수수한 책쉼터에서 어른은 《돼지가 있는 교실》(달팽이,2011)이나 《성의 패러독스》(숲속여우비,2011) 같은 책을 읽고, 아이는 《펠레의 새 옷》(지양사,2001)이나 《미스 럼피우스》(시공주니어,1998) 같은 그림책을 읽을 수 있으면 아주 기쁘겠습니다. 착한 삶을 사랑하며 착한 이웃하고 사랑을 나누는 어여쁜 작은 마을이 그립습니다. (4344.5.13.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59 : 도서관


 모두 아홉 권으로 된 《초원의 집》은 2005년에 새롭게 한국말로 옮겨집니다. 2011년이 되어도 꾸준하게 사랑받습니다. 2005년에 새롭게 옮겨진 이 책이 2050년까지 사랑받을 수 있으면 2050년까지 이 땅에서 살아갈 숱한 어린이와 푸름이와 어른은 좋은 넋으로 좋은 터전을 일구려 하던 사람들 땀방울과 마음결을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책이 2050년까지 고이 잇지 못하면서 판이 끊어진다면, 이 책을 찾아보려면 헌책방을 누비거나 도서관을 찾아야 할 테지요. 도서관에서 아홉 권 한 질을 갖추었더라도 사람들이 오래도록 많이 찾아 읽는다면, 하루하루 낡고 닳아 더 빌려주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한 질을 알뜰히 갖추었다지만 사람들이 거의 찾아 읽지 않는다면, ‘도서관 건물을 애써 짓기는 했지만 새로 들여올 책을 넉넉히 꽂을 새 자리를 새로 늘리지 않는 한국 도서관 모습’을 돌아볼 때에, ‘대출실적 적은 책이라는 딱지가 붙으며 버려지’고 맙니다.

 나는 우리 네 식구 살아가는 조그마한 집이 살림집이면서 도서관이라고 여깁니다. 어설프지만 어설픈 대로 살림을 꾸리며 지내는 집이요, 이 집에는 식구들이 서로 아끼거나 좋아하는 책을 얌전히 꽂고는 틈나는 대로 끄집어서 읽습니다. 한 번 읽은 뒤로 오래도록 그냥 꽂히는 책이 있을 테고, 열 번 스무 번 다시 끄집어서 읽는 책이 있을 테지요. 그저 한 번만 읽는 책이든, 수없이 다시 꺼내거나 들추는 책이든, 우리 식구한테는 반가운 책입니다. 고마운 ‘집 도서관 책’입니다.

 이제 갓 네 살을 살아가는 아이는 제 어머니와 아버지처럼 글책을 마음껏 읽지 못합니다. 그러나 어머니와 아버지 되는 사람은 글책을 꾸준하게 장만합니다. 아이한테는 그림책을 읽히지만, 아이가 읽을 책 말고 어머니와 아버지가 읽을 책을 하나둘 갖춥니다. 아이는 제 어머니와 아버지가 책을 읽는 모습을 가만히 바라봅니다. 무얼 읽느라 이렇게 쏙 빠져들어 저랑 안 노는가 궁금해 할는지 모릅니다. 어머니와 아버지가 어떠한 책을 읽는지 저도 알고플 수 있습니다.

 아이는 앞으로 이 책을 읽을 수 있고 안 읽을 수 있습니다. 아이 스스로 글을 깨우치고 나서 퍽 여러 해가 흐른 뒤에는 제 어머니와 아버지가 읽던 책을 물려받아 읽을 수 있겠지요.

 아이가 스스로 글책을 신나게 읽을 때라면 적어도 열 해는 흘러야 합니다. 열 해가 흘러야 한다면 올해가 2011년이니 2021년은 되어야 합니다. 2005년에 새롭게 나온 《초원의 집》은 2021년에도 살아남을 만할까요. 2011년 4월 21일에 새로 나온 《성의 패러독스》(수전 핀커 씀,숲속여우비 펴냄) 같은 책은 앞으로 언제까지 사랑받으려나요. 이 나라 도서관 가운데 몇 군데에서 이 책을 살뜰히 사들여 알뜰히 건사하려나요. 국공립 도서관을 비롯해, 지자체 도서관이랑 초·중·고등학교 도서관, 또 대학교 도서관과 시골 작은 도서관에서는 《초원의 집》을 갖출까 궁금합니다. 《성의 패러독스》 같은 책을 갖출는지 궁금합니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시골자락 둘레에는 도서관이 없어, 우리는 우리 집을 도서관으로 삼습니다. (4344.5.6.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58 : 새책방


 1961년에 한국말로 처음 옮겨진 《인간의 벽》(이시카와 다쓰조 씀)이 2011년에 자그마치 쉰 해 만에 다시 옮겨집니다. 1980년대에도 옮겨졌지만, 이때에는 간추린 판이 나왔습니다. 2011년에 새옷을 입은 《인간의 벽》(양철북) 세 권은 ‘그동안 쉰 해가 흘렀다지만, 쉰 해에 걸쳐 그다지 달라지거나 나아지거나 거듭나지 못했다’고 할 만한 교육 터전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점수를 매기는 것 따위는 교육이 아니다. 58명이나 되는 학생들을 우등생과 열등생으로 구별하는 것은 교육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187쪽).” 같은 글월에 밑줄을 죽 긋고는 한참 되읽습니다.

 1961년에 처음 옮겨진 책은 오만 원이고 십만 원이고 삼십만 원이고를 준다 하더라도 장만할 길이 없습니다. 1980년대에 간추린 판으로 나온 책 또한 헌책방을 샅샅이 누비더라도 만나기 어렵습니다. 오직 헌책방에서만 찾아볼 수 있던 책을, 아름다운 이야기를 품에 안은 책을, 이제는 언제라도 새책방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둘레에 널리 알리며 읽으라고 외치거나 선물할 수 있습니다.

 헌책방에서는 묻힌 책을 찾아 읽습니다. 오래도록 예쁜 빛줄기를 베풀지만 팔림새는 안 좋아 안타까이 스러진 책을 살핍니다. 같은 책을 조금 더 값싸게 장만할 수 있고, 때로는 나라밖 책을 고맙게 마주하는 헌책방이에요.

 새책방에서는 언제라도 널리 나누고픈 책을 만납니다. 새로 태어나서 자라나는 사람들이 새롭게 읽을 책을 찾으려고 할 때에 걱정없이 손에 쥘 만한 책을 갖추는 새책방입니다. 처음으로 선보이는 어여쁜 이야기책이 새책방 책꽂이에 꽂힙니다. 예전에 나왔다가 스러지고 만 책을 되살릴 때에 새책방 책꽂이에 꽂힙니다. 새책방이 있기 때문에 출판사들은 꾸준하게 새책을 빚습니다.

 그렇지만, 새책방 가운데 자그마한 동네책방을 마주하기는 힘듭니다. 저마다 다른 크고작은 도시나 시골에 걸맞게 고이 꾸리던 작은책방은 더 뿌리내리지 못해요. 새로 나오는 아름다운 책을 갖출 새책방은 책팔이로는 살림을 꾸리기 벅찹니다.

 작은 동네책방은 거의 모조리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작은 동네책방이 사라졌더라도 사람들이 책을 안 읽지는 않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작은 동네책방이 아닌 큰도시 큰책방에서 책을 사고, 인터넷을 뒤져 누리책방에서 책을 장만합니다.

 요즈음 누리책방은 ‘미리보기’가 잘 짜였습니다. 셈틀을 켜고 들여다보면, 머리말과 차례와 열 몇 쪽 남짓 얼마든지 읽을 수 있습니다. 여느 새책방에서는 눈치를 보며 ‘미리읽기’를 했지만, 누리책방에서는 ‘책 다칠 일이나 책에 손때 묻힐 걱정’ 없이 미리읽기를 합니다. 다만, 여느 새책방에서는 사이사이 아무 데나 뒤적일 수 있습니다. 책내음과 책결을 손으로 느낍니다. 누리책방은 책을 만지거나 골고루 들여다볼 수 없습니다.

 고기집이 늘고 술집이 늘며 옷집이 늡니다. 여느 사람들 눈길과 마음길이 아예 없지는 않지만, 퍽 옅으니까 작은책방은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곧, 작은책방뿐 아니라 작은 삶을 다룬 작은 책 또한 살아남기 빠듯합니다. 누구나 작은 사람인데, 작은책방 작은 새책은 어디로 가야 좋을까요. (4344.4.27.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57 : 헌책방


 서울 혜화동에서 1978∼79년부터 자리잡으며 사람들하고 책을 나누던 헌책방 한 곳이 2011년 4월 1일로 문을 닫았습니다. 헌책방 일꾼 전인순 님은 당신이 샛장수(중간상인 또는 나까마)로 처음 일하던 때가 1960년대 첫무렵이라고 떠올립니다. 샛장수로 열 몇 해, 또는 스무 해쯤 일한 끝에 아주 작은 가게를 얻은 때가 1978년이나 1979년이었다고 합니다. 당신이 샛장수를 처음 한 해도 또렷이 몇 해인지 떠올리지 못하고, 가게를 처음 차린 해도 제대로 돌이키지 못하지만, 헌책방 문을 닫아야 하는 때는 날짜까지 똑똑히 아로새겨집니다.

 헌책방 한 곳이 문을 닫는 자리에 함께합니다. 헌책방 한 곳에 깃들던 책을 다른 헌책방으로 옮기는 일을 거들며 사진을 찍습니다. 아침 일곱 시부터 책을 빼서 열한 시 무렵에 책꽂이까지 모두 들어냅니다. 고작 너덧 시간 만에 모든 책과 책꽂이가 텅텅 빠집니다. 부스러기를 치우고 남은 짐조각을 건사하는 헌책방은 간판만 덩그러니 남습니다. 이 간판도 며칠 지나지 않아 이 터에 새로 들어올 떡볶이집이 얼른 떼어내어 새 간판을 올리겠지요. 어디에선가 헌책방 박물관을 짓는다고도 하지만, 조용히 문을 닫는 헌책방 간판 하나 살뜰히 돌보려 하는 움직임은 없습니다.

 헌책방 한 곳이 문을 닫느라 책을 빼는 동안, 동네사람이 지나가며 발걸음을 멈춥니다. 아침 일곱 시 반 즈음부터 가게 문을 여는, 건너편 보성문구사 할아버지가 “이 봐, 혜성(책방 이름)! 어디 가? 이사 가? 그러면 나는 어떡해?” 하고 외칩니다. 가게 문을 열고는 헌책방 앞으로 찾아와서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눕니다. 젊은 아주머니가 지나가다가 “문 닫아요? 미리 말 좀 해 주시지요?” 하고 이야기하지만, 진작 찾아와서 책을 보고 샀으면 될 일입니다. 늙수그레하고 허리가 굽은 할머니 한 분이 “여기를 떠나요? 아이고, 그동안 고생이 많았네. 서운해서 어쩌나.” 하고 인사를 하며 손을 잡습니다. 일흔넷 헌책방 일꾼은 그냥 일꾼이 아닌 ‘할아버지 일꾼’이고, 할아버지 일꾼이 떠나는 길을 안쓰럽게 여기며 마지막말을 남기는 이들은 하나같이 할머니나 할아버지인 ‘동네사람’입니다.

 서울 혜화동 작은 헌책방에 있던 책은 인천 배다리에 있는 헌책방으로 옮깁니다. 서울 혜화동이며 삼선동이며 명륜동에는 이제 헌책방이 한 군데도 없습니다. 지난날 이 둘레에는 헌책방이 꽤 많았으나, 이제 이 둘레에서 헌책방이라는 씨는 깡그리 말라비틀어집니다. 강북구청 둘레에 헌책방 한 곳 튼튼히 살아숨쉽니다만.

 그러나, 문을 닫는 헌책방만큼 튼튼하며 굳세게 문을 여는 헌책방이 있습니다. 강북구청 둘레에는 〈신광헌책〉이 있고, 혜화동 마지막 헌책방 〈혜성서점〉 책은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이 넘겨받습니다. 일흔네 해 책을 만지며 늙은 할아버지 한 사람은 쉰 해 즈음 한길을 걸었고, 앞으로 숱한 헌책방 일꾼은 쉰 해나 예순 해 안팎을 헌책을 만지는 삶을 일구다가 조용히 마무리짓겠지요.

 여태껏 한 번도 도드라지거나 돋보이거나 빛난 적이 없는 헌책방 책터입니다. 앞으로도 도드라지거나 돋보이거나 빛날 일은 좀처럼 없겠지요. 그런데, 헌책방이란 늘 그랬어요. 낮은 자리에서 예쁘며 해맑게 책을 어루만지며 이어왔어요. (4344.4.7.나무.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1-04-28 10:42   좋아요 0 | URL
그러고보니 강북쪽의 헌책방이 많이 문을 닫았네요.제 기억에 태능역의 상수서점,마아역 부근의 헌책방,수유역쪽의 헌책방등 이름은 잘 기억이 나질 않는데 몇년 사이에 다 닫았다군요.

숲노래 2011-04-28 12:10   좋아요 0 | URL
수유역에서 화계사 가는 길목에 있는 <신일서점>은 잘 있어요. 많은 곳들이 문을 닫고, 이러한 자리에는 분식집이나 닭집이나 옷집이나 찻집이 들어서곤 하더군요..

카스피 2011-04-28 15:05   좋아요 0 | URL
신일 서점은 아직 있군요.제가 갈때마다 문이 닫혀 있어서 장사를 안하는 줄 알았지요^^

숲노래 2011-04-29 05:23   좋아요 0 | URL
간판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해 보셔야 해요. 책을 사러 바깥으로 돌아다닐 때에는 가게문을 닫고 나가시니까요~
 


 책으로 보는 눈 156 : 다시 읽는 책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 노트》라는 책이 2005년에 처음 나왔습니다. 이러다가 지난해인가 지지난해쯤부터 더는 나오지 않았는데, 올 2011년 3월에 새판으로 다시 나옵니다. 다른 출판사에서 말끔한 새옷을 입고 새로 태어납니다. 2005년에 읽은 책이지만 여섯 해 만에 새로 선보이는 새책을 다시 장만해서 다시 읽습니다. 예전 책은 옆에 놓고 새로 나온 책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밑줄을 긋습니다. 새로 나온 책을 읽으며 밑줄을 긋다가 예전에 읽던 책을 슬그머니 들춥니다. 어디 견주어 볼까? 오, 웬만한 곳에서 거의 비슷합니다. 책을 덮고 생각합니다. 조금 다른 데에서 밑줄을 긋는다면 내 생각이 바뀐 셈일까요? 예전과 오늘 같은 자리에서 밑줄을 긋거나 별을 그린다면 내 생각이 한결같은 셈일까요? 아니면 내 생각은 예나 이제나 틀에 박힌 채 고인 셈일까요? “이름이 없는 것은 상도 안 준다. 오로지 이름을 붙이는 것만이 관건이다. 읽기와 산수로만 지능이 평가된다. 감수성과 관찰력이 뛰어난 학생이 장학금을 받았던 적은 언제였던가(66∼67쪽)?”라는 대목에 밑줄을 그으면서 별을 하나 그립니다. 예전 책에는 이 대목에 별을 둘 그렸습니다. 열 해쯤 뒤에 이 책을 다시 읽는다 한다면, 그때에는 이 대목에 거듭 밑줄을 긋거나 별을 그릴 수 있을까 헤아려 봅니다. 그때까지 내 넋이 이와 같다면 나는 내 삶을 어떻게 일구는 사람일까 하고 되뇌어 봅니다.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라는 책을 서울마실을 하며 명륜동 인문사회과학책방 〈풀무질〉에 들렀을 때에 장만해서 읽습니다. 책방 〈풀무질〉에서는 이 책을 퍽 잘 보이는 자리에 예쁘장하게 얹어 놓습니다. 널리 보고 얼른 사서 읽으라는 뜻입니다. 제가 이 책을 사면서 〈풀무질〉에 있던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는 다 팔립니다. 〈풀무질〉 일꾼은 책방에서 다 팔린 이 책을 더 주문해서 사람들한테 알릴까요. 이 책이 놓이던 자리에 다른 ‘안 팔리는’ 책을 얹을까요.

 그림을 그리는 강우근 님은 오늘날 도시사람이 눈여겨보지 않는 들꽃 이야기를 조곤조곤 들려줍니다. 참말 ‘오늘날 도시사람’이 안 들여다보는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줍니다. 책을 읽다가 문득문득 궁금해집니다. 이 책을 읽을 사람은 ‘오늘날 시골사람’이 아닌 ‘오늘날 도시사람’입니다. 오늘날 시골사람은 굳이 이 책을 안 읽어도 들꽃을 찬찬히 헤아립니다. 아니, 들꽃보다는 들풀을 찬찬히 헤아립니다. 먹는 풀인지 살피고, 어떻게 먹는 풀인지 돌아봅니다. 도시사람만 이 책을 읽는다 할 텐데, 도시사람은 이 책을 읽고 나서 도시 둘레에 흐드러진 여느 들꽃이나 들풀을 어느 만큼 돌아볼 수 있을까요. 아니, 돌아보기는 할까 모르겠습니다.

 한낱 지식읽기로 그칠 책이 되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도시사람한테 책 좀 그만 읽고 들꽃 좀 들여다보며 당신 삶을 되새기자 하는 이야기를 펼치는 《강우근의 들꽃 이야기》이지만, 막상 이 책은 지식쌓기 책으로 그칠 듯해 무섭습니다.

 그러나 천 사람 만 사람이 속내를 꿰뚫으며 사랑할 수는 없겠지요. 너무 바쁘고 매이며 고달픈 도시살이일 테니까요. 다문 한 사람이라도 도시에서 들꽃이나 들풀처럼 살아갈 수 있기를 비손합니다. (4344.4.7.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