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만 원, 육십만 원


 사흘 밤을 인천하고 서울에서 자면서 시골집으로 돌아오는 마실을 했다. 하루를 잤으나 허리와 다리와 허벅지와 등짝 어느 하나 성하지 않은데다가 뭉치거나 굳은 힘살이 풀리지조차 않는다. 집에는 물이 얼었다. 물이 얼었다기보다 땅속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양수기가 얼어터진 듯하다. 왜냐하면, 전깃줄을 꽂아 물꼭지를 올리면 양수기가 위잉 하고 돌아가는 소리가 나야 하는데, 아뭇소리가 안 났다. 바보처럼, 처음 집에 돌아오자마자 물이 얼었는가 그대로인가를 살폈어야 했는데, 그만 마음을 놓았다. 물이 언 줄 알았다면 씻는방 물꼭지를 그대로 두면서 한 방울씩 똑똑 떨어지는 물이라도 받을 만했는데.

 참 어림없이, 아니, 어처구니없이 사는구나 하고 생각한다. 양수기 고치거나 새로 하는 데에 드는 돈은 사십만 원이라 한다. 얼씨구나, 돈벌이가 형편없는 주제에, 아니 돈벌이가 마땅히 없는 주제에 돈은 잘도 솔솔술술 새어나가네.

 더욱이, 이번 서울마실과 인천마실을 하며 쓴 책값을 헤아리니 육십만 원이 살짝 웃돈다. 드디어 ‘우리 말 이야기’ 다룬 둘째 책이 나왔기에, 출판사에다가 글삯으로 30만 원을 넣어 주고, 나머지는 책으로 부쳐 달라 하면서, 이 삼십만 원으로는 데즈카 오사무 아톰 스물 몇 권에다가 초기 에스에프 대표작에다가 잔뜩 사들였다. 여기에, 쿠델카 사진책 십일만 원짜리랑 로버트 프랭크 사진책 육만오천 원짜리랑 아키라 사진책 십만 원짜리를 샀다. 옆지기는 뜨개 책으로만 이십만 원 가까이 썼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애 아빠는 혼자서 생각했다. 섣불리 옆지기한테 말을 섞지 못했다. 그러나 한 마디는 했다고 떠오른다. “인천에서 살 때에는 어림도 없을 책들을 시골로 와서 잔뜩 사네요.”

 그렇다. 인천에서 집삯 삼십오만 원에다가 도서관삯 삼십오만 원을 다달이 내며 살았다. 이렇게 세 해 반을 인천에서 ‘살아’ 냈다기보다 ‘버티어’ 냈다. 시골집에서는 집삯이든 도서관삯이든 내지 않는다. 그렇다고 다른 마땅한 벌이가 용하게 뚫린 삶은 아니다. 고작 ‘칠십만 원이 술술 새어나가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그만 다달이 ‘칠십만 원에 가까운 돈을 책값으로 쏟아붓’지 않나 싶다.

 옆지기도 느낄 테지. 나도 느낄 테고, 아이도 느낄 테지. 이 나라에 우리처럼 살아가는 식구가 있으려나? 다른 나라에는 우리처럼 지내는 식구가 있을까?

 피식 웃음이 난다. 아이를 안고 무거운 가방 등에 짊어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시외버스에서 옆지기는 곯아떨어져 잠들었는데 아빠는 혼자 웃고 만다. 그래도, 어찌저찌 밥 안 굶고 잘만 사는걸. 우리는 우리 삶을 밝히는 좋은 책을 마음껏 만날 뿐 아니라, 우리 넋을 밝히는 좋은 이웃하고 살가이 마주하고 어깨동무하면서 지내는걸.

 양수기 값 사십만 원에 벌벌 떨밖에 없고, 올겨울 기름값으로 얼마나 나가야 하나 걱정스러울밖에 없다. 다만, 좋다. 세 식구에다가 네 식구가 될 이듬해 우리 살림살이는 한결 쪼들릴 텐데, 그래도 좋다. 이 책들을 하나하나 보듬으며 오늘 하루도 좋다. 그나저나 등허리가 몹시 결리다. 큰일이다. 하루 더 자고 나서는 좀 나아져야 할 텐데. 얼음길에 빨래하러 또 물 길으러 멧중턱 이오덕학교까지 오르내리자면 죽어나겠다. (4343.12.18.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러 날 인천마실을 하는 요 며칠. 책값으로도 또 꽤나 돈이 나가고, 책값 아닌 돈으로도 여러모로 돈이 나가다. 그러나, 네 식구 다 함께 오랜만에 인천 배다리에 들러 여러 사람들을 마주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생각을 주고받는다. 글은 한 줄 끄적일 겨를조차 없으나, 이렇게 보내는 하루하루도 나와 옆지기랑 첫째랑 뱃속 둘째 모두 너그러이 받아들여 주리라 믿어 본다. 

 고마운 사람과 고마운 생각을 나누며 고마운 삶을 즐겁게 받아 안는다. 사들이는 책을 읽으면서도 좋은 마음을 북돋우지만, 마주하는 사람들 얼굴로도 흐뭇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서재에서는 [알림글 쓰기]가 퍽 까다롭다. 아니, 내가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니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모를 뿐이겠지. 

 어쨌거나, 오늘부터 [리뷰]와 [페이퍼] 자리에 '헌책방에서만 만나는 책' 이야기를 다시 쓰기로 했다. 느낌글을 쓸 때에 으레 '꽤 길게' 쓰곤 해서 정작 소개하거나 알리지 못하는 책이 몹시 많은데, 앞으로는 길게 쓸 글은 길게 쓰되, 짧게 써도 즐거운 책이야기는 단출하게 적바림하면서 조금 더 널리 책삶을 펼칠 수 있도록 해 보고자 한다. 

 새책방에서 살 수는 없으나, 아직 자취가 남았다든지, 새로운 판으로 다시 나왔다면 [리뷰] 자리에 글을 올리고, 아예 자취가 사라졌거나, 헌책방 아니고는 만날 수 없다면 [페이퍼] 자리에 글을 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 책에서 맨 끝에 '日' 밑에 있는 한자를 아는 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山に生かされた日○... 늘 이런 대목에서 걸리고 마네요... 뭐라고 읽어야 할까요...

ㅠ.ㅜ 

옥편에서 찾고 또 찾아도 늘 잊고 다시 잊어버리고 마네요... 

에구궁....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nPei 2010-12-13 17:22   좋아요 0 | URL
그 한자는 일본에 독특한 한자로서 앞에 붙은 한자를 되풀이하는 겁니다.
생략한자라고 할까요.
그러니까 그 제목은 "山に生かされた日日(야마니 이카사레타 히비"라고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한자지요. 뜻은 마침 "나날". "날"의 복수형. ^^
참고하십시오. ^^

ChinPei 2010-12-13 17:43   좋아요 0 | URL
人(ひと:히토 = 사람) + 생략한자
--- 人人(히토비토) = 사람들

我(われ:와레 = 우리) + 생략한자
--- 我我(와레와레) = 우리들

個(こ:코 = 개인, 각자 등) + 생략한자
--- 個個(코코 : "코고"가 아님) = 개개(개개인 등)

一(いち:이치 = 일, 하나) + 생략한자
--- 一一(이치이치) = 일일히, 하나하나, (많은 걸)하나씩

숲노래 2010-12-13 18:15   좋아요 0 | URL
아아, 그렇게 쓰면 되는군요
고맙습니다.
그러면, 이 말은 일본어 문자표에서 찾아야 나오겠네요~~

덧붙여 주신 풀이말 또한 고맙습니다~

글샘 2010-12-13 17:25   좋아요 0 | URL
조거는 한자가 아니구요...
같은 글자를 반복할 때... 그러니깐 "이나 같은 뜻으로 쓰던 글자입니다.
옛날에 한문 서적에서도 볼 수 있구요. 세로쓰기 한글책에서도 볼 수 있던 글자.
한자는 똑같은 글자를 연달아 내려쓰기를 싫어했답니다.
그래서 같은 페이지에 같은 자가 있으면 조금 다른 글자로 쓰곤 했는데,
연달아있으면 저 글자를 썼죠. 일본어에선 아직도 쓴답니다.

숲노래 2010-12-13 18:20   좋아요 0 | URL
오오,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열두 살에 애 보는 키라


 경제동화라는 이름으로 《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 같은 책이 몹시 잘 팔리며, 널리 사랑을 받는다. 나는 이 책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아니, 나는 이 책을 장만해서 우리 도서관에 꽂아야 할까. 열두 살 어린이라면 초등학교 오륙 학년쯤이겠지. 이무렵 아이한테 돈이 무엇인지 가르치면서 사회를 읽도록 이끄는 일은 나쁘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부자가 되기”를 가르쳐야 한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아이도 어버이도 부자가 될 까닭이 없다. 아이도 어버이도 돈을 알맞게 벌어 제대로 쓸 줄 알면 넉넉하다. 또한, 어버이한테든 아이한테든 얼마만 한 돈이 들어와야 부자가 되는 셈이겠는가. 뜻을 이룬다든지 부자가 된다든지 은행계좌에 숫자가 얼마만큼 쌓여야 한다든지 하는 일은 그야말로 덧없다. 삶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며 목숨을 사랑할 줄 아는 열두 살 애틋한 어린이여야 해맑으며 어여쁘리라 생각한다. 내가 굳이 무슨무슨 ‘교육동화’를 써야 한다면, 내가 쓸 ‘삶을 가르칠 이야기’는 “열두 살에 애 보는 키라”이다. 그러나, 어떻게 고작 열두 살에 애를 볼 수 있겠는가. 열두 살에 애 보는 키라는 알맞지 않다. 왜냐하면 “애 보는 키라”는 열두 살이 아닌 여섯 살이어야 하고, 너덧 살부터 제 동생을 아끼고 사랑하면서 보살필 줄 알아야 한다. 어버이 일손을 덜려고 동생을 본다든지, 부업으로 삼아 애보기를 한다든지 할 어린이가 아니다. 따숩게 사랑하면서 너그러이 보듬는 착한 사람이 되는 길에서 아주 스스럼없이 동생을 보는 어린이 삶이다.

 곰곰이 생각한다. 아이들한테 제 삶을 사랑하며 아끼는 이야기를 담는 교육동화를 써서 나누어 주어야 하는지 다시금 곱씹는다. 이런 교육동화도 있다면 나쁘지 않을 테지. 다만, 교육동화보다는 《몽실 언니》 같은 동화가 좋다. 《수경이》 같은 동화가 좋다. 《해와 같이 달과 같이》 같은 동화가 좋다. 이러한 동화가 있으니 구태여 교육동화를 쓴다든지 “열두 살에 애 보는 키라” 같은 동화가 나와야 한다느니 하고 생각할 일이란 없다. 아름다운 삶과 사랑과 사람 이야기를 눈물겹고 웃음나게 엮으면 좋다. (4343.12.12.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