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신 황우양 한림신화그림책 5
이상교 글, 이승원 그림 / 한림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0.

그림책시렁 992


《성주신 황우양》

 이상교 글

 이승원 그림

 한림출판사

 2008.10.30.



  예부터 집 한 채에 온땀을 들였습니다. 한두 해만 머물지 않고, 서른 해쯤 지내다 떠나지 않거든요.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갈 집이요, 적어도 이백 해는 거뜬히 잇고, 오백 해도 가볍게 물려받는 터전입니다. 집에는 사람도 새도 구렁이도 쥐도 풀벌레도 벌나비도 깃들어요. 사람살림을 이루는 터전을 넘어, 뭇숨결이 한동아리로 얽히면서 오붓한 자리입니다. 《성주신 황우양》을 곰곰이 읽습니다. 여러모로 잘 빚은 그림과 줄거리입니다. 예부터 수수한 어버이는 이런 옛이야기를 아이들한테 들려주면서 살림을 물려주었어요. 신 한 짝도 아무렇게나 벗어놓지 않도록 달래었고, 세간 하나를 고이 여기는 매무새를 북돋았어요. 솜씨만으로는 집안을 건사하지 않는 줄 가르쳤고, 언제나 어머니 쪽이 어질고 참하게 보금살림을 이끌면서, 아버지 쪽은 고분고분 따르면서 사이좋게 어울린 나날입니다. 왜 사내를 ‘머스마’라고 하겠어요? ‘머스마 = 머슴’이요, ‘일꾼’이란 뜻입니다. 힘을 잘 쓸 줄은 알되, 일머리까지는 못 잡기에 ‘머스마’입니다. 가시내는 일머리를 잡을 줄 아는 ‘갓(멧갓)’입니다. 순이는 돌이를 가르치고, 돌이는 몸으로 익히면서 아이들한테 빙그레 웃음짓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오붓하게 지내는 수수께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 정원 리네아의 이야기 2
크리스티나 비외르크 지음, 레나 안데르손 그림, 김석희 옮김 / 미래사 / 199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0.

그림책시렁 1359


《꼬마 정원》

 크리스티나 비외르크 글

 레나 안데르손 그림

 김석희 옮김

 미래사

 1994.12.10.



  숱한 어버이는 아이들을 배움터에 욱여넣으면서 다달이 백만 원도 삼백만 원도 기꺼이 씁니다. 그러나 참으로 아이들 앞날을 헤아리는 어버이라면, 다달이 그러모은 돈으로 논밭이나 들숲을 장만하겠지요. 배움터가 아닌 논밭과 들숲을 품어서 아이들한테 물려주면, 온누리는 아름답고 포근합니다. 아이가 손수 씨앗을 심고 가꾸고 새를 동무할 적에는 보금자리도 아늑합니다. 《꼬마 정원》은 오랜 그림책입니다. 어린이가 어버이한테 물려받을 살림이 무엇인지 또렷하게 보여줍니다. 열두 달을 어떻게 다르게 누리면서 스스로 푸르게 자라는가를 들려줍니다. 말글과 셈을 익히는 아이들이 손수 나무를 심고 나비하고 노는 터전을 누릴 적에는, 누구나 즐겁게 노래하면서 아름꿈을 키우게 마련입니다. 이 나라가 옳게 돌아가려면 모든 사람이 제 땅을 넉넉히 누리는 길을 펼 노릇입니다. 텃밭과 텃논과 텃들과 텃숲을 일구면서 텃씨를 이어갈 적에 나라살림도 피어나겠지요. 총칼로는 사랑하고 멀고, 살림하고 등지고, 삶을 짓밟고 맙니다. 아이들은 호미하고 낫하고 쟁기를 쥐면서 흙사람으로 자랄 적에 빛납니다. 부릉거리는 매캐한 쇳덩이를 버리고 시골로 떠나는 어진 어른이 늘기를 바라요. 두 손과 두 다리를 살려야 비로소 어른입니다.


ㅅㄴㄹ


#LinneasArsbok #LenaAnderson


+


《꼬마 정원》(크리스티나 비외르크·레나 안데르손/김석희 옮김, 미래사, 1994)


내 이름은 숲속에 피는 작은 분홍색 꽃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랍니다

→ 내 이름은 숲에 피는 작고 바알간 꽃에서 따서 지었답니다

6쪽


근교에 있는 작은 집에 살고 있습니다

→ 가까이 있는 작은 집에 삽니다

→ 마을에 있는 작은 집에 있습니다

6쪽


올해는 식당을 열어서 새들을 도와주기로 작정했습니다

→ 올해는 밥터를 열어서 새를 도와주려고 합니다

→ 올해는 밥칸을 열어서 새를 도우려고 합니다

7쪽


지금은 식물들이 성장을 멈추고 잠시 쉬고 있거든요

→ 이제 푸나무는 그만 자라고 한동안 쉬거든요

→ 요새 풀꽃나무는 자라지 않고 한참 쉬거든요

11쪽


진딧물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건 바로 이맘때입니다

→ 진딧물은 바로 이맘때 나타납니다

14쪽


배수로에서 각각 두 걸음 떨어진 곳에

→ 고랑에서 두 걸음 떨어진 곳에

→ 물골에서 두 걸음 떨어진 곳에

22쪽


묘목장 옆에는 식물원이 있습니다

→ 싹나무밭 옆에는 꽃뜰이 있습니다

→ 모나무뜰 옆에는 꽃밭이 있습니다

26쪽


주전자에 걸러진 액체를

→ 동이에 거른 물을

38쪽


나무가 가혹한 도시 환경을 견디고 살아남으려면

→ 나무가 모진 서울살이를 견디고 살아남으려면

→ 나무가 고단한 서울에서 견디고 살아남으려면

44쪽


북두칠성 끝에 있는 두 개의 별을 직선으로 잇고, 그 직선을 곧장 위로 연장하면

→ 일곱별 끝에 있는 두 별을 죽 잇고, 다시 곧장 위로 이으면

→ 바가지별 끝에 있는 두 별을 곧게 잇고, 또 곧장 위로 이으면

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웃으며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100
이유진 지음 / 북극곰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17.

그림책시렁 1358


《오늘은 웃으며》

 이유진

 북극곰

 2023.5.30.



  우리나라에만 있는 ‘호미’는 밭에 홈을 내듯 파는 연장입니다. ‘가래’는 논을 갈아엎고, ‘낫’은 날을 벼려서 나락이며 풀을 벱니다. 호미나 낫을 보면, 한 손으로 꼭 쥐기 좋을 만큼 나무로 자루를 달아요. 두 연장을 쓸 적에는 다른 손으로는 풀줄기나 땅바닥을 매만지니, 한 손으로 척척 다루겠지요. 누구나 시골에서 태어나던 지난날에는 흙연장이며 살림살이를 스스럼없이 알고 건사했습니다. 거의 모두 서울에서 태어나는 오늘날에는 흙연장을 볼 일이 드물고, 집살림을 스스로 건사하는 길하고도 사뭇 멉니다. 《오늘은 웃으며》를 가만히 넘깁니다. 어쩐지 요즈음 젊은 그림님은 ‘할머니 모습’을 거의 똑같이 그립니다. 일제강점기부터 퍼진 ‘몸뻬 바지’가 아니고는 할머니를 못 그리는구나 싶어요. 무엇보다도 낫을 못 그립니다. 낫을 쥔 적도 휘둘러 본 적도 없는 채 ‘아무 일본낫’이나 슥슥 베끼기만 합니다. ‘누런 염소’도 있을 테지만, 우리나라에는 ‘흰염소·까만염소’ 둘일 텐데, 이 대목도 아리송합니다. 푸른숨을 머금고, 푸른들을 마시고, 푸른빛을 나누는 살림길을 아이랑 어른이 함께 짓는 어울길로 새롭게 담을 수 있기를 바라요. 할아버지도 시골돌이도 나란히 흙빛으로 어깨동무할 적에 온누리가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낫을 본 적도 없고

쥔 적도 없는가 보다.

조선낫 아닌 일본낫인데,

낫을 저렇게 잡을 수 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루터기야 생일 축하해 웅진 세계그림책 83
나카야 미와 글 그림, 김난주 옮김 / 웅진주니어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17.

그림책시렁 1356


《그루터기야, 생일 축하해》

 나카야 미와

 김난주 옮김

 웅진주니어

 2005.7.5.



  우리는 예부터 굳이 “태어난 날을 따로 기리기”를 안 했다고 느낍니다. 갓 태어난 아기를 놓고는 세이레를 엄마하고 둘이 지켜주고, 온날떡을 하고, 돌떡을 하되, 이 뒤로는 없습니다. 왜 ‘난날잔치’를 안 했을까 하고 곰곰이 짚고 돌아보노라면, 모든 하루가 언제나 새롭기에 따로 ‘새날잔치’를 해야 할 까닭이 없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루터기야, 생일 축하해》는 숲살림을 하는 여러 어린 동무가 그루터기를 반기고 기리는 하루를 보내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난날잔치를 연다기보다는, 나이에 따라서 하나둘셋넷 세는 길을 알려주는 줄거리라고 할 만해요. 우리말 ‘나이’는 ‘낳다·나다·나’하고 ‘이·이빨·잇다·이곳·임’ 같은 여러 말이 맞물립니다. 나는 이곳에 나면서 훨훨 납니다. 너도 나처럼 이곳에 나타나면서 서로 넘나듭니다. ‘너·나’로 가르되, ‘너 = 또다른 나’요, ‘나 = 또다른 너’입니다. 나이를 먹기에 어질지 않습니다. 철이 들어야 어집니다. 철들지 않은 채 나이만 먹기에 사납게 주먹을 휘두르거나 윽박을 지르거나 동무를 괴롭힙니다. 어린이도 어른도 나이만 먹는 몸이 아닌, 마음을 빛내어 철이 무르익는 어질고 슬기로운 사람으로 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만나는 세계 지도 그림책 처음 만나는 그림책
무라타 히로코 글, 데즈카 아케미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16.

그림책시렁 1357


《처음 만나는 세계 지도 그림책》

 무라타 히로코 글

 데즈카 아케미 그림

 김숙 옮김

 북뱅크

 2011.4.15.



  인천에서 어린이·푸름이로 살던 1993년까지 누가 “인천은 무엇이 자랑입니까?” 하고 물으면 “자랑이 없는 살림이 자랑입니다. 굳이 뭘 꼽으라면 ‘서울로 올려보낼 살림을 찍어대는 엄청난 공장이 뿜어대는 매캐한 바람’이 있고, ‘서울에서 쓸 전기를 인천에 있는 발전소에서 뽑아내’고, ‘서울에서 버린 쓰레기를 인천에 쏟아붓’는 일쯤?”이라고 얘기했습니다. 《처음 만나는 세계 지도 그림책》을 곰곰이 읽고서 새롭게 생각해 봅니다. 따로 인천에 자랑거리가 없을 테지만, 수수하게 살림을 지은 사람들이 일군 드넓은 골목빛을 말할 만합니다. 댕기머리를 스스로 친 주시경 님이 새로운 배움길을 인천에서 열었고, 우리 점글을 빚은 박두성 님이 인천 작은 골목집에서 살림을 꾸렸습니다. 밀물썰물 틈이 아주 깊어 갯벌이 가장 넓고, 사다새랑 두루미를 품은 고장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웃나라도 자랑거리 아닌 살림거리로 바라볼 노릇이라고 여깁니다. 손꼽거나 이름난 모습이 아닌, 작고 수수한 사람들이 어깨동무하는 살림을 바탕으로 저마다 어떻게 다른가를 짚을 일이라고 여겨요.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로는 어느 나라를 밝힐 수 없습니다. 돈값이나 이름값 아닌 들숲바다로 나라빛을 밝혀야 아름다운 길그림입니다.


ㅅㄴㄹ


네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어?

→ 네가 사는 푸른별을 생각해 본 적 있어?

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