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방울 짜내기



  손님이 많을 적에 두레상 구실도 하는 평상을 아침에 마무리합니다. 못을 마저 박고 옻을 발라서 말렸지요. 한낮 더위가 가라앉은 뒤에는 매화나무에서 매실을 두 아이하고 함께 땄어요. 두 아이는 사다리 타는 재미를 한껏 누립니다. 딴 매실을 손질할 적에는 힘들어 하기에 거의 혼자서 다 합니다. 이러고 나서 저녁을 새로 지어서 차리니,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아뭇소리 없이 말끔히 밥그릇을 비우고 또 비우고 자꾸 비워요. 신나게 뛰논데다가 심부름을 제법 했으니 밥이 잘 들어갑니다. 두 아이를 재우고서 나란히 누울까 하다가 설거지하고 부엌일을 더 합니다. 한숨 돌리고서 밤에 일어나서 할까 하다가 한 방울 힘을 더 짜내어 치웁니다. 행주를 빨아서 묽기를 짤 적에 힘을 한 번 더 주면 몇 방울 주르륵 떨어지듯이, 하루를 마감하는 저녁나절에 기운을 다 썼네 싶으면서도 한 방울 기운을 더 짜낼 수 있어요. 이 한 방울이 있으니 어버이 자리에서 살아가겠지요. 2017.5.30.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아키’와 ‘사아키’



  오늘 문득 ‘안아키’라는 말을 듣습니다. 무슨 말인가 했더니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를 줄인 이름이라고 해요. 약을 쓰든 안 쓰든 아이를 얼마든지 튼튼하게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이에 앞서 어른 스스로 얼마든지 튼튼하게 살 수 있어요. 우리는 약이 있어야 튼튼할까요? 아니면 약이 없어서 안 튼튼할까요? 예부터 “밥이 약이다” 하는 말을 합니다. 몸을 살리는 밥을 알맞게 살펴서 제대로 지어서 먹으면 바로 밥 한 그릇이 약이요, 다른 약은 없어도 된다는 뜻이에요. 이와 달리 밥을 엉터리로 먹는다든지 아무렇게나 먹는다면, 제아무리 값지거나 비싸거나 대단한 밥을 먹어도 몸이 망가지거나 아프겠지요. 더 헤아려 본다면, 밥 한 그릇을 먹을 적에 서로 즐겁게 둘러앉아 도란도란 웃음꽃이 피어나는 자리일 적에는 ‘돈으로 쳐서 값싼 밥’을 먹어도 더없이 즐거워서 몸이 좋아해요. 이와 달리 제아무리 ‘돈으로 쳐서 값지고 비싼 밥’을 먹더라도 무섭거나 메마르거나 짜증스럽거나 싫거나 미운 마음으로 수저를 듣다면, 몸에 매우 나쁘고 도움이 안 되지요. 약을 쓰느냐 안 쓰느냐는 대수롭지 않다고 느껴요. 약을 쓸 수도 있고 안 쓸 수도 있어요. 굳이 약을 안 써야 하지 않듯이, 굳이 약을 써야 하지 않아요. 약을 쓰느냐 안 쓰느냐가 아니라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아이를 마주하며 돌보느냐 아니냐’를 헤아려야지 싶어요.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밥을 지어서,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밥상을 차려서 나누느냐’를 바라보아야지 싶어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하고 함께 있을 적에는 바로 이 사랑 때문에 즐거우면서 아름다운 하루가 되어요. 우리가 ‘안 사랑하는 사람’하고 함께 있을 적에는 기쁨도 즐거움도 아름다움도 없이 괴롭거나 고달픈 하루가 되지요. 약을 쓰고 또 써도 아이가 낫기는커녕 더 아플 뿐 아니라 괴로워해서 약을 내려놓고서 ‘사랑’으로 아이를 돌보며 살아가려는 어버이라면, 또 이러한 살림을 바라볼 수 있는 이웃이라면, ‘사랑으로 아이 키우기’를 ‘사이좋게 어깨동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2017.5.26.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겉절이를 하는 밤



  낮에 읍내마실을 하면서 우체국을 들르고 배추를 두 통 장만합니다. 집으로 돌아와서 바지런히 배추를 썰어 절여 놓습니다. 이러고 나서 양념을 마련하지요. 두어 시간 남짓 이대로 둡니다. 아이들이 잠듭니다. 밤에 겉절이를 합니다. 곁님하고 큰아이가 겉절이를 얼마나 잘 먹는지, 배추 한 통으로 담근 겉절이는 며칠이 안 되어 사라집니다. 배추 두 통 겉절이는 며칠이 갈 만할까요. 잘 먹어 주는 사람이 있으니 더욱 신나게 김치를 담급니다. 즐겁게 먹는 젓가락질을 지켜보니 새롭게 기운을 내어 여러 가지 김치를 담급니다. 겉절이를 담그고 나서 큰 통에 옮겨 놓는데, 다 옮기고서 손에 묻은 국물을 쪽 빨아 보니 “이야, 내가 담근 김치인데 이렇게 맛있나.” 하는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손맛이란 맛있게 먹어 주는 살붙이를 그리면서 태어나는구나 싶어요. 손맛이란 즐겁게 먹으며 기쁘게 하루를 지을 아이들을 바라보는 동안 시나브로 깨어나지 싶어요. 2017.5.24.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 만에 책상 짜기



  낮 두 시부터 책상을 짭니다. 어떤 책상을 짤는지 며칠 동안 생각해 보았고, 아침에 틀이 섰어요. 아이들 밥을 차려 주고서 이십 분쯤 평상에 누워서 등허리를 펴고는 곧바로 톱을 들고 나무를 켭니다. 먼저 웃판을 단단히 짭니다. 나사못을 스무 개쯤 박습니다. 다음으로 책상다리를 켜서 나사못을 박습니다. 책상다리가 튼튼하도록 받침나무를 잘라서 나사못을 박지요. 속에 짧은 받침나무를 대고, 바깥으로 긴 받침나무를 대요. 이러고서 웃판을 한 겹 덧댑니다. 제법 묵직한 책상이 되는데 여기에서 끝이 아니에요. 모래종이로 삭삭 겉을 훑어서 부드럽게 하고는 곧바로 옻을 바릅니다. 두 아이가 곁에서 이모저모 거들었기에 네 시간 만에 책상 하나를 다 짜서 옻까지 발랐습니다. 평상도 책상도 하나를 하루에 뚝딱 하고 짤 수 있구나 싶어 스스로 놀랍니다. 앞으로 더 손쉽게 짤 테고, 아이들도 머잖아 저희 살림을 손수 짜내겠지요. 2017.5.2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 위험해요, 즐겁지요



  아이들이 논둑을 타든 담벼락을 타든 안 위험해요. 어른들이 “위험해!” 하고 말을 터뜨리기에 그때부터 위험해요. 아이들은 다치는 적이 없어요. 어른들이 “다칠라!” 하고 말을 내뱉기에 그때부터 다쳐요. 아이들은 힘드는 때가 없어요. 어른들이 “힘들겠네!” 하고 말을 늘어놓기에 이때부터 힘들어요. 아이들은 못하는 일이 없어요. 어른들이 “못히겠네!” 하는 말을 섣불리 꺼내니 그만 못하고 말앙요. 아이들한테 어떤 말을 들려줄 생각인가요? 아이들이 씩씩하고 힘차게 자라기를 바라도록 북돋우려는 생각을 말에 담아서 들려주려는가요? 아이들이 즐겁고 아름답게 크기를 비는 마음으로 말 한 마디를 가려서 이야기하려는가요? 아이들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2017.5.20.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