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1.21.

숨은책 876


《東仁全集 2 젊은 그들》

 김동인 글

 정양사

 1958.9.15.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1991∼93년에 길잡이한테 여쭈었습니다. “김동인은 친일문학인이라면서요? 그런데 우리가 왜 이런 사람 소설을 읽고 풀이해야 하지요?” “왜냐고? 입시에 나온다.” “…….” 지긋지긋한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열린배움터로 나아가야 하는데, 김동인뿐 아니라 숱한 친일문학인 글을 읽어야 했고, 외워야 했고, 뜻풀이를 헤아려야 했습니다. 글과 사람을 떼어놓아도 된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글은 글쓴이 얼굴이요, 글쓴이 삶자취는 고스란히 글입니다. 글만 훌륭할 수 없고, 사람만 훌륭하지 않아요. 글하고 사람은 나란히 흐릅니다. 그저 ‘평론’이라는 이름으로 허울을 씌워 줄 뿐입니다. 《東仁全集 2 젊은 그들》을 읽다가 내려놓았습니다. 재미가 없고, 낡았고, 우리말결이 싱그럽지 않고, 마음을 울리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1956년부터 ‘동인문학상’을 폅니다. 그때에도 그 뒤에도, 우리는 이런 쓸개빠진 껍데기를 걷어치우지 못 합니다. ‘미당문학상’하고 ‘팔봉문학상’도 똑같아요. 이름을 붙이려는 무리도, 이름을 덥석 받아안는 이도 한동아리입니다. 종살이(식민지)는 아직 안 끝났습니다. 우리 마음에, 붓에, 터전에, 책에 말글에, 깊이 밴 굴레를 털어낼 줄 알아야 어른으로 설 수 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70


《버려진 조선의 처녀들·훈 할머니》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엮음

 아름다운사람들

 2004.2.24.



  저는 ‘최이병·최일병·최상병·최뱀(최병장)’이 아닌, 제 이름이 있습니다. 어릴 적에 일본 총칼에 끌려가 노리개로 가시밭길을 걸어야 한 뒤에 캄보디아에 홀몸으로 남아 하루하루 살아내면서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훈 할머니’라는 이름으로 고요히 흙으로 돌아간 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훈 할머니뿐 아니라 숱한 꽃할머니를 거들떠보지 않아 왔는데, 《버려진 조선의 처녀들·훈 할머니》라는 책이 2004년에 나온 적 있습니다. 이 책은 거의 안 팔리고 안 읽히다가 조용히 사라졌어요. 나라가 꽃할머니를 안 거들떠보았듯, 우리 스스로도 꽃할머니 삶길을 안 쳐다보았어요. 나라탓만 할 수 없습니다. ‘엉터리 나라’는 바로 우리가 스스로 세웠습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만 나무랄 수 없습니다. 멍청한 나라지기에 벼슬아치는 늘 우리 손으로 뽑았습니다. 총칼(전쟁무기)로 나라를 못 지키고, 우리 스스로도 못 지킵니다. 총칼은 우리 스스로 옥죄거나 억누르는 굴레이면서, 이웃을 짓밟는 고삐입니다. 누가 노리개(위안부)를 거느렸는지 제대로 봐야 합니다. ‘총칼을 앞세운 나라(정부)·싸울아비(군인)’가 노리개를 부립니다. 모든 총칼을 걷어치우면서 이웃을 포근히 품을 줄 알 때라야 생채기를 눈물로 씻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69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유신선포에서 민청학연까지》

 지명관 글

 岩波 엮음

 편집부 옮김

 한울림

 1985.1.30.



  모르는 사람은 그저 모릅니다. 아니, 모른다는 핑계를 앞세워 내내 모르는 체 굴러가려 합니다. 아는 사람은 그냥 압니다. 아니, 알기에 아직 알지 않는 곳을 더 헤아려서 알려고 마음을 기울입니다. 앎이라는 길은 가없이 흐르고 잇는 줄 알아서, 늘 앓고 아프면서 새롭게 알에서 깨어나려는 몸짓으로 하루를 맞이합니다.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유신선포에서 민청학연까지》는 1974년에 《韓國からの通信》으로 나왔고, 일본책을 옮긴 한글판이 1985년에야 나옵니다. 글쓴이는 지명관 님이고, 2003년에 이르기까지 이 책을 누가 썼는지 둘레에서 다들 모른다고 했다지만, 막상 아는 사람은 다 물밑으로 알았더군요. 박정희·전두환도 알았을 테고, 일본 우두머리·경찰도 다 알았다지요. 그러니까, 다들 알면서 ‘알지 않는 척’을 한 셈입니다. 지명관 님은 ‘이 나라에서 살며 참소리를 내다가는 맞아죽는다’고 느껴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글을 썼다고 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스스로 어떤 글을 쓰는 삶일까요? 이 나라와 들숲바다를 살리는 글을 쓰나요? 돈벌이에 이름팔이에 힘자랑을 내세우는 글이 넘치지 않나요? 이 나라 어린이는 어떤 글이나 그림을 만나는지요? 서로 아름답게 만나서 새롭게 사랑을 짓는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68


《모여라 꼬마과학자》

 박종규 외 엮음

 태창출판사

 1992.5.15.



  우리 아버지는 어린배움터(국민학교) 길잡이였기에, 아버지가 보는 ‘교사용 지도서’를 슬쩍 엿보곤 했습니다. 배움터에서 듣는 이야기가 도무지 알쏭하고 어지러우면 “참말로 뭔 소리래?” 하면서 뒤적였는데, 스무 살부터 인천을 떠나 서울에 깃들어 여러 헌책집을 다니다가 낯익은 그림이며 빛꽃(사진)을 으레 만났어요. “어? 어!” 하며 놀랐습니다. 우리나라 배움터(초·중·고등학교)에서 쓰는 웬만한 글·그림·빛꽃은 일본책을 훔쳤거나 베꼈더군요. ‘운동회 마스게임’조차도 일본에서 꾸린 틀을 고스란히 딴 줄 뒤늦게 알고는 여태까지 뭘 배운 나날인가 싶어 아찔했어요. 《모여라 꼬마과학자》는 ‘대전직할시 동구 가양2동 274-2’에 있었다는 펴냄터에서 냈고, ‘서울 신사초등학교 도서실’에 있다가 흘러나왔습니다. ‘어린이 과학’을 들려준다는 줄거리이지만, 몽땅 일본책을 훔쳤습니다. 물씬 티나는데, 이 나라 어른들은 낯빛 하나 안 바꾸면서 이런 책을 엮어서 장사를 해야 돈벌이가 된다고 여긴 마음일까요? 이런 책이 얼마나 허접한지 못 느끼면서 배움책숲(학교도서관)에 들인 길잡이는 어떤 눈길일까요? 어디부터 뜯어고쳐야 할까요. 무엇부터 갈아엎어야 하나요. 지나갔으니 없던 일로 여기거나 지울 수 없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 기형도 30주기 시전집
기형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65


《기형도 산문집》

 기형도 글

 살림

 1990.3.1.



  열다섯 살 무렵 글벗(펜팔)을 사귀는데, 서로 얼굴을 보고 싶다고 느껴, 인천에서 안산으로 이따금 찾아갔습니다. 종이에 글로는 주절주절 썼지만, 막상 입을 열어 말을 틔우기란 어렵더군요. 글월을 주거니받거니 하는 만큼 ‘곁에 두는 책’을 얘기했고, ‘기형도’ 글을 읽어 보았느냐 묻는 말에, 나중에 책집에 가서 읽겠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기형도 산문집》을 처음 만나는데, 영 뭔 글을 풀어내려는지 종잡기 어려운 술타령 같았어요. 푸름이라서 혼자 먼마실을 다닌 적이 없기도 하기에, ‘서울내기(서울에서 살며 일한) 기형도’ 씨가 전라남도 여러 고장을 퀴퀴하거나 추레한 곳으로 그린 글은 참 거북했어요. 인천 〈대한서림〉에서 읽다가 내려놓았습니다. 이분은 인천·부산·대전도 초라하다고 느껴 숨막힐 마음이겠더군요. 서울로 돌아가서야 시원하게 숨통이 트인다는 글자락을 읽고는 어쩐지 안쓰럽기까지 했습니다. 어느 곳이나 사람 사는 마을인걸요. 누구나 다르게 하루를 짓는걸요. 서슬퍼런 ‘전두환 총칼나라’에서 정호승 씨는 월간조선 기자였고, 기형도 씨는 중앙일보 기자였습니다. 이런 분들이 남긴 글을 어떻게 읽을 적에 우리 스스로 이웃하고 어깨동무를 할까요? 우리는 ‘서울로(in Seoul)’를 해야 할까요?


ㅅㄴㄹ


+


《기형도 산문집》(기형도, 살림, 1990)


그녀는 이제 열 살 국민학교 4학년인데

→ 아이는 열 살 어린배움터 넉걸음인데

→ 이제 열 살 씨앗배움터 넉걸음인데

28쪽


순천의 야경은 쓸쓸하고 부랑자의 그것이었다

→ 순천은 밤빛이 쓸쓸하고 떠돌이 같았다

→ 순천 밤하늘은 쓸쓸하고 나그네 같았다

→ 순천 불빛은 쓸쓸하고 뜨내기 같았다

36쪽


그들을 속물근성으로 몰아부친 것은 나의 이기(利己)이다

→ 나는 그들을 멋대로 돈벌레로 몰아붙였다

→ 나는 그들을 함부로 바보라고 몰아붙였다

64쪽


그녀는 앵무새처럼 따라하며 중심으로 잡으려 주춤거리며 승강구로 가더니

→ 그이는 따라새처럼 말하며 가운데를 잡으려 주춤거리며 어귀로 가더니

→ 아가씨는 내 말을 따라하며 밑동을 잡으려 주춤거리며 들머리로 가더니

67쪽


지금 추억만으로서도 충분히 사랑할 수 있는 상현달 같은 여자

→ 이제 옛생각만으로도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는 달 같은 님

→ 오늘 곱씹기만 해도 너끈히 사랑할 수 있는 오른달 같은 빛

79쪽


나는 사내의 유도심문에 빠져드는 듯한 생각이 든다

→ 나는 사내가 꼬드기는 대로 빠져들었다고 느낀다

→ 나는 사내가 홀리는 대로 빠져들었다고 생각한다

10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