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어제책 2022.12.22.

숨은책 801


《How Big is Big?》

 Herman Schneider·Nina Schneider 글

 Symeon Shimin 그림

 Scholastic

 1946/1950/1964.



  크다면 얼마나 클까요? 작다면 얼마나 작을까요? 좋다면 얼마나 좋고, 나쁘다면 얼마나 나쁠까요? 흩날리는 눈은 하늘을 덮습니다. 내리는 비는 들을 적십니다. 아기는 조막손 같으나 어느새 단단하고 굵은 손으로 자라나고, 어른은 아이 곁에서 살림을 지으면서 투박하면서 빛나는 손으로 거듭납니다. 자그마한 돌 하나도 별입니다. 우리가 어우러지는 푸른별(지구)도 별이고, 해도 별입니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별이고, 고양이도 개미도 모기도 별이에요. 다 다른 별 가운데 죽어도 되거나 죽여도 될 숨결은 없습니다. 《How Big is Big?》은 꽤 묵은 그림책인데 어릴 적에 ‘배움곁책(학습지 별책부록)’으로 만난 적 있습니다. 1984∼85년 사이에 보았다고 느끼는데, 집에 그림책이 따로 없던 살림이었으나, 그때 받은 ‘배움곁책’에 《How Big is Big?》하고 《AMOS & BORIS》가 있었어요. 두 그림책을 틈날 때마다 되읽으면서 생각날개를 폈지만,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마친 어느 날 어머니가 이 작은 그림책을 다 버리셨어요. 이제 배움수렁(입시지옥)에만 마음을 써야 하니까 버렸다고 하시더군요. 오늘날에는 ‘누구나 그림책’으로 여기지만, 지난날에는 ‘아이만 그림책’으로 여겼어요. 우리가 어른스런 어른이라면 쉰 살이나 일흔 살을 지나더라도 그림책 몇 자락을 아름답게 품으면서 마음을 돌보리라 생각합니다.


#SymeonShimin 1902∼198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19.

숨은책 803


《寫眞藝術의 創造》

 A.파이닝거 글

 최병덕 옮김

 사진과평론사

 1978.6.30.



  가난한 살림에 후줄그레한 찰칵이(사진기)를 쓰는 저를 딱하게 여긴 어른 한 분이 2000년 겨울에 “사진을 좀더 잘 찍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그무렵 제 두 달치 일삯을 치를 만한 찰칵이를 사주신 적 있습니다. 다른 사람은 어떻게 찍는지 알아야 한다며 ‘김기찬 골목 사진 전시회’에도 끌고 가서 보여주었고요. 작은 보임집(전시관) 한켠에 앉아서 ‘손님 없는 곳’을 지키던 흰머리가 하얗게 내려앉은 분이 김기찬 님인 줄은 나중에 알았습니다. 2005년 8월 27일에 김기찬 님은 찰칵이를 내려놓고서 흙으로 돌아갑니다. 그해 9월에 서울 용산 어느 ‘갤러리’에 김기찬 님 책(소장도서)을 드렸다(기증)는 글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그해 10월 8일 용산 헌책집 〈뿌리서점〉에 갔더니 “어, 최 선생, 오늘 좋은 사진책이 잔뜩 들어왔어. 여기 와서 보시게!” 하고 부릅니다. 무슨 사진책인가 싶어 들여다보니 ‘김기찬 님 책’입니다. “사장님, 지난달에 ○○갤러리에 드린 책이라고 들었는데요.” “그래? 그런데 다 고물상에 버려졌던데?”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습니다. 이날 차마 책더미를 들추지 못 했습니다. 이레 뒤(2005.10.15.) 다시 와서 ‘안 팔리고 남은 부스러기’인 《寫眞藝術의 創造》를 삽니다. 붉게 밑줄 그으며 읽은 자취가 고스란하고, 책끝에 ‘김기찬 1979.3.17.’ 같은 글씨가 남습니다. 이튿날 충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며 ‘2005.10.16. 동서울→무극’ 표를 꽂아 놓습니다. 2005년 이무렵, 저는 이오덕 어른 글(유고)을 갈무리하며 지냈어요. 헌책집 〈뿌리서점〉 지기님은 “나중에 들어 보니 그 갤러리에서 자기들 책하고 겹치는 책은 다 버렸다고 하더라고. 귀하지 않은 책은 버렸다고 하더구만.” 하고 뒷얘기를 들려줍니다. 책 안쪽에 남은 “동방서림 22-1207 구내 3404” 쪽종이를 살살 쓰다듬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19.

숨은책 806


《人間敎育の最重點 環境敎育論》

 松永嘉一

 玉川學園出版部

 1931.5.3.



  온누리 책을 둘로 바라봅니다. ‘읽을 책’하고 ‘읽은 책’입니다. ‘손길 닿을 책’하고 ‘손길 닿은 책’이며, ‘기다리는 책’하고 ‘품은 책’입니다. ‘새책’이라면, 읽을 책이자 손길이 닿기를 기다리는 책입니다. ‘헌책’이라면, 읽은 책이자 손길이 닿아 품은 책입니다. 광주 계림동을 걷다가 〈문학서점〉 앞을 지나가던 어느 날, 어쩐지 제 손길이 닿기를 기다리는 책이 있겠다고 느꼈어요. 미닫이를 열고 들어가서 처음 쥔 책은 《人間敎育の最重點 環境敎育論》입니다. 이웃나라 한쪽에 총칼을 휘두르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쪽에 ‘사람을 가르칠 적에 눈여겨볼 터전은 무엇인가?’ 하고 조곤조곤 짚는 이야기를 펴는 사람이 있군요. 우리는 1931년 무렵에 우리 스스로 어떤 터전으로 이 나라를 가꾸어야 한다고 여겼을까요? 총칼에 눌려 입을 다물기 일쑤였을까요, 어린이를 헤아리며 어른답게 참말을 외쳤을까요? 오랜책 안쪽에 붉은글씨 ‘瑞坊公立普通學校 印’이 있습니다. ‘서방공립보통학교’는 광주군(광주광역시) 서방면에 1921년 10월 4일에 연 배움터요, 1927년에에 ‘제2보통학교’로, 1938년에 ‘광주 북정공립심상소학교’로, 1950년 12월 1일에 ‘광주 수창국민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답니다. 누가 읽고 건사한 배움책숲(학교도서관) 자취일까 어림하다가, 우리는 우리 손자취를 손쉽게 버린다고 느꼈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숲노래 책읽기 2022.12.15.

헌책읽기 1 創作과 批評 44, 1977 여름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열일곱 살에 ‘창작과비평사’란 이름을 비로소 알고, 열여덟 살인 1992년부터 ‘창작과비평’ 새김판(영인본)을 꾸러미로 들여놓고서 읽다가, 낱책으로 나온 낡은 《創作과 批評》을 하나씩 모으곤 했습니다. 새김판으로도 글은 다 읽을 수 있되, 처음 나와 읽히면서 바스락바스락 낡아가는 종이를 쥐면, 지난 한때를 함께 떠올리면서 이야기를 느낄 만하거든요. 《創作과 批評 44, 1977 여름》은 열여덟 살에 진작 챙겨서 읽었고, 《분단시대의 역사인식》도 이무렵에 읽었어요. 강만길 님이 갈무리한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를 서른 해 만에 되읽어 봅니다. 1977년이나 1992년에도 해묵지 않은 글이었고, 2022년에도 밝은 글입니다. 다만, 글에 한자가 곳곳에 깃드니 요사이에는 이 대목이 걸려서 못 읽을 분도 있으리라 봅니다. 강만길 님도 ‘한글 창제’라 했으나 ‘훈민정음 창제’로 적어야 올바릅니다. 세종 임금은 ‘한글’이 아닌 ‘훈민정음’을 내놓았습니다. ‘한글’이란 이름은 일제강점기 즈음 주시경 님이 처음 지은 글이름이요, 우리나라가 총칼수렁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밑틀을 ‘말글’로 삼아서 한뜻을 펴려는 이름입니다. 세종 임금은 ‘훈민정음’이란 이름을 내세워 ‘새나라 조선’이 ‘옛나라 고려’하고 어떻게 다른가를 들려주면서 임금틀(왕권)을 단단히 받치려 했습니다. 굳이 ‘고려’란 이름과 틀을 모조리 버리고서 중국을 섬기는 ‘봉건사대주의 조선’으로 뻗어나가는 길을 사람들한테 차근차근 알리려 했어요. 우리는 늘 생각해야 합니다. 오늘날 벼슬꾼(정치꾼)이 “국민 여러분을 위하여”라 말하기에 오늘날 벼슬꾼이 “수수한 사람들을 사랑한다”고 여겨도 되겠습니까? 위아래(신분·계급·권력)가 무시무시하던 조선에서 ‘들꽃사람(백성)’은 ‘사람값’을 받지 못 하는 종살이(노예생활)였습니다. 위(권력자)에서는 ‘듣기 좋은’ 말을 폅니다. 그러나 위에서 듣기 좋은 말을 펼 수밖에 없도록 사람들 스스로 들불을 일으켜 왔습니다.


《創作과 批評 44, 1977 여름》(편집부, 창작과비평사, 1977.6.5.)


ㅅㄴㄹ


15세기에 와서야 고유한 글을 가지지 못한 국가의 체면 문제가 생각되게 되었다는 점이 석연치 않다. 고대국가 성립시기에 있어서의 정복전쟁의 영웅적 기록이 모두 한자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그만두고라도 …… 흔히 사대주의가 본격화한다고 말하는 이조 초기에 와서 왜 국가적 체면을 생각하고 우리글을 만들게 되었는가 하는 점에 의문이 있다. (305, 306쪽)


한글의 창제도 새 왕조의 지배권력이 백성들에게 제시한 이익조건 중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결코 치자층의 자애심이 바탕이 된 것이 아니라 백성세계가 스스로의 자의식을 높여감으로써 얻을 수 있었던 戰利品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309쪽)


지배목적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한글은 창제 당초부터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조왕권의 정당성과 존엄성을 고취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글로써 무엇보다 먼저 ‘龍飛御天歌’를 지었다는 사실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 한편 15세기는 이조적인 지배질서를 확립시키는 일이 급선무이던 때였다. 이 때문에 관료층은 물론 일반 백성들까지 고려시대까지의 불교적인 생활양식을 청산시키고 유고적 생활규범으로 철저히 파악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것을 위하여 백성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글을 만들고 그것으로 각종 儀禮書를 지어 퍼뜨릴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3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726


《한검바른길 첫거름》

 정렬모 엮음

 대종교총본사

 1949.5.1.



  총칼로 윽박지른 일본을 이 땅에서 떨치려고 일어선 숱한 분들이 ‘대종교’에 한마음으로 뭉친 줄 모르며 살았습니다. 배움터 열두 해 동안 가르친 어른이 없습니다. 주시경 님 발자취를 헤아리다가 뒤늦게 알았어요. ‘대종교’는 한자로 ‘大倧敎’라 적습니다. 《한검바른길 첫거름》은 ‘한검’으로서 ‘바른길’로 나아가는 ‘첫걸음(첫거름)’을 쉽게 풀어내는 꾸러미입니다. ‘마루뜻풀이(종지강연)’처럼 우리말로 쉽게 적고서 한자를 보탭니다. 여느 자리에서는 ‘한얼이야기·한배이야기·믿음이야기’처럼 따로 한자를 안 보태고서 믿음길을 들려줍니다. 대종교에서 함께 부른 ‘한얼노래’에는 “얼노래·세얼·세마루·한울집·믿음의즐거움·한길이열림·사람구실·한결같은마음·힘을부림·죄를벗음”이 있군요. “사는준비·미리막음·봄이왔네·가을이왔네·아침노래·저녁노래·끼니때노래”도 새삼스럽습니다. 다만, 해적이에 “개천 四四0六해 五달 一날”이라 적은 대목은 티끌입니다. 우리 겨레가 ‘한겨레·배달겨레’요, 서울 한복판은 ‘한가람’이 흐르고, 우리글은 ‘한글’입니다. 이 모든 이름에는 ‘하늘(한)’이 깃들어요. 불교·천주교·기독교 같은 믿음길은 우리 말글·땅·이웃·숲을 얼마나 살피는 매무새일까요? 바른길도, 마음길도, 넋길도, 숨길도, 빛길도, 말길도 가다듬을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