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선 절대 정식으로 들어올 수 없는 영화-만화' 하는 딱지가 무슨 유행처럼 번진 적이 있었다. 이 나라의 검열제도에 대한 비웃음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난 이걸 봤는데 너희들은 못봤지롱~ 용용~'하는 듯한 또하나의 특권계급적 차별의 느낌이 강했던 그 리스트들의 대부분은 이 나라의 고매한 검열위원들끼리만 신나게 돌려 보고선 과도한 섹스와 폭력이 보여진다고 판단해버린 것으로 이뤄져 있었다. 그런데 뭐, 세월은 흘렀고 인터넷 케이블이 세계에서 가장 다닥다닥 깔린 나라가 되고 그럭저럭 의식적으로도 개방도 되고 하니 그 리스트에 올라있었던 물건들은 하나씩 정식으로 수입되거나 그도 못하면 공유 프로그램을 통해 안방에서 부드러운 차 한 잔과 함께 [네크로맨틱]을 감상할 수 있는 세상이 됐다. 웬만한 건 거진 정식수입이 되는 이 시점에서 아직껏 '글쎄..... 이거 제대로 볼려면 아직 한참 멀었지.'라고 얘기할 수 있는 작품은 까탈스러운 제작조건을 가진(따라서 당연히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시로 마사무네의 코믹스나 [사탄탱고] 같은 매니아적 인기마저 없는 수면제 영화들이나 잘만킹이 90년대에 제작에만 참여했던 그 수많은 안 팔린 에로영화들 같은, 한마디로 돈이 안될 것 같은 작품들 아니면 [기니어 피그]나 [쇼군의 사디즘]처럼 갈데까지 갔다는 느낌이 드는 그런 작품들의 두가지 종류로 국한되게 되었다. [고로시야 이치]는 후자에 속하는 작품이다.
우리나라에선 미이케 다카시의 [이치 더 킬러]로 먼저 알려진 야마모토 히데오의 [고로시야 이치]는 첫장면부터 끝까지 온통 하드고어적 이미지로 넘치고 있다. 파열, 분쇄, 관통, 절단 등 신체에 가하는 폭력적 이미지들이 쉴새 없이 펼쳐지는 이 작품은 그 가학적 취향 탓에 자연스러운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로맨스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SM적 방법론을 빌어 죽음과 바로 맞닿은 상태에서 펼쳐지는 그 밥맛 떨어지는 애절함 덕분이다.
제정신을 갖춘 이는 한 명도 안 나오는 이 작품의 메인인 이치는 사춘기 시절에 겪었던 왕따와 가학행위 덕에 무의식 속에서 SM적 인식을 극대화시킨 살인을 매개로 하여 상대에 대한 배려는 눈꼽만치도 없이 자기정당화를 통한 철저한 이기심으로 자신의 욕구만을 충족시키는 일종의 극단적인 돔이다. 그는 이 모든 사건의 주모자인 정체불명의 노인에게 정신적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의뢰받은 살인을 저지르는 일종의 은둔고수기도 하다. 그런 반면 그를 쫓는 카기하라는 조직의 리더이면서 뼛속까지 마조히스트인 동시에 자신에 대한 자학적 자극을 충족 못시키는 이에겐 더없이 잔인한 인물이다. 이치에게 살해당한 두목의 흔적을 찾아 이치 일당을 쫓던 카기하라는 이치가 벌인 살인현장에서 자신이 바라던 극한의 가학적 의식을 발견하고는 그에게 절단되고 부숴져 죽기를 소망하면서 강박적으로 그를 뒤쫓는다. 이 순간부터 쫓는 자와 쫓기는 자, 힘있는 자와 없는 자의 관계는 역전되고(마치 SM플레이에서처럼) 마침내 순정남 카기하라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깨달음, 혹은 극한의 사랑(...)을 맛보게 된다. 이치라는 캐릭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와 야쿠자 맨션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음모, 그리고 카기하라의 맛이 간 순정과 그 못잖은 나머지 패거리들의 지랄맞은 행동거지가 묘사되는 네 축으로 진행되는 이 SM무협만화는 끝으로 갈 때까지 쉴 생각을 안 한다.

...아름다운가?-_-
SM이라는 의식 세계에 대한 충실한 고찰을 무협만화적 양식에 붙여서 만들어낸 [고로시야 이치]는 분명 불쾌하지만 그 지경이 되가면서까지 폭력과 쾌락에 중독되는 이들에 대한 지독한 묘사로 결국에는 밥맛없는 로맨스의 거룩한 완성을 이룩한다. 별로 동의하고 싶지 않지만 그 처절함만은 인정할 수밖에.

야마모토 히데오의 신작 [호문쿨루스]. 아직 연재중이며 당연하지만 [고로시야 이치]보다는 수위가 훨씬 낮다. 발매되면 주간 판매량 탑텐에서 왔다갔다 하는 걸 보면 이젠 메이저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하지만 전력을 보아선 썩 안심할 수만도 없는 작품-_- 점점 뭔가 벌어지려 하는 느낌. 역시나 살짝 불쾌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