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의 단편 또는 손바닥소설을 보면서 즐거운 것은 카프카 장편의 실마리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독의 3부작(성, 소송, 실종(아메리카))과 대표작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의 기억이 워낙 강렬해서 단편에서 비슷한 부분을 만나면 내 감각 센서가 벌써 알림을 울린다. 내가 『성』이 아니라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를 대표작으로 부르는 까닭은 카프카가 모든 주요 작품을 쓰고 나서 마지막으로 쓴 작품이 바로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이며, 카프카의 모든 작품을 이해하는 열쇠이기 때문이다. 고독의 3부작을 한 권으로 압축해놓은 것이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인 것이다.


















『변신』의 그레고르 잠자는 영업 사원이었다. 영업이 좋은 날은 다른 직원들보다 몇 배씩 월급을 가져가지만 안 좋은 날은 기본급이 너무 적어서 불안정했다. 퇴로가 없는 삶에 질려 버린 잠자는 그대로 벌레가 되어 버리고 말았다. 『승객』의 승객은 잠자를 떠올리게 만든다. 여행을 가는 승객이 아니라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승객이기 때문이다.


나는 전차 승강장 위에 서 있다. 이 세계에서, 이 도시에서, 나의 가족에게서 나의 처지를 되돌아볼 때 나는 정말 불확실하다. 더군다나 내가 어떤 방향에서든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요구에 어떤 것들이 있을지, 나는 임시로라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내가 이 승강장 위에 서서, 고리에 의지하고 있는 것도, 전차에 몸을 내맡긴 채로 서 있는 것도, 사람들이 전차를 피하거나 혹은 조용히 가거나 혹은 진열장 앞에 멈추어 서든 간에 어쩔 수가 없다 ㅡ 물론 어느 누구도 나에게서 그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것은 아무래도 상관이 없다.

『승객』


도입부만 놓고 보면 「승객」과 『변신』에서 별다른 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하지만 「승객」에서는 다른 승객, 전혀 다른 승객이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나'는 전차 승강장 위에 서 있고, 소녀는 막 전차에서 내리려고 하고 있다. 그는 전차와 한몸인 것처럼 전차의 벽에 기대거나 만진다. '나'가 가장 의아하게 생각하는 것은 소녀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의아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순간'은 어떤 목적으로 가기 위한 정거장이거나 징검다리에 불과하다. 하지만 소녀는 '순간' 자체가 목적으로 보인다. 순간에 집중하고 순간을 즐긴다. 순간과 하나가 되고, 순간을 빨리 뛰어넘어 어떤 목적지로 가려는 의지 자체를 보이지 않는다. '나'에게 전차는 의미 없는 공간이고, '승객'이라는 존재는 단지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 전차의 규칙을 따르는 임시 존재에 불과하다. 하지만 '나'는 전차에서만 임시 존재인 것이 아니라, 처지 자체가 임시적인 존재다. 그리고 '나'는 임시인 것을 느끼고 그것에 대해서 끊임없이 의아하게 생각하고 자괴감을 느끼기까지 한다. 나는 원래부터 임시였던 것일까? 도대체 내가 있는 지금 이 순간과 전차 승강장이라는 공간은 왜 의미가 없는 것인가? 나는 왜 지금과 이곳에 의미를 둘 수 없는가? 명령과 목적이라는 압박에 자석처럼 끌려가기 때문이다. 자력이 너무 강해서 자기 의지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날이 하루 하루 쌓이면 '임시'라는 것이 하나의 정체성이 되고 말 것이다.


어린이 수업을 하면서 카프카가 「승객」에서 소녀를 본 '나'의 모습을 느낀다. 나도 어린이처럼 순간에 집중하려고 노력한다. 예전에는 임시라는 꼬리표를 떼어내려고 노력했지만, 이제는 그것도 상관 없다. 임시는 임시 그 자체로도 의미 있는 것이고,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니까. 어떤 명령이나 의무, 직업, 목적이 아무리 강력한 자력으로 나를 끌어당긴다고 하더라도 조금씩 끌려가고 있는 이 순간도 존재하는 것이다. 이 느낌이 사라지면 카프카의 벌레라는 또 다른 압력이 나를 기다린다. ‘이모셔널 리터러시’(emotional literacy)!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훈련을 해야 무기력과 폭력의 연쇄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신》의 그레고르 잠자가 생각나는 구절. 잠자가 영업 사원이 되어 끊임없이 기차를 타야 하는 처지가 선명하게 그려진다

나는 전차 승강장 위에 서 있다. 이 세계에서, 이 도시에서, 나의가족에게서 나의 처지를 되돌아볼 때 나는 정말 불확실하다. 더군다나 내가 어떤 방향에서든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요구에 어떤것들이 있을지, 나는 임시로라도 말할 수가 없을 것이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시대에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 인간


한 컴퓨터로 여려 명이 메일함을 이용하면 재밌는 일이 벌어진다. 컴퓨터를 주로 쓰는 사람은 로그아웃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메일을 열었을 때 사소한 비밀이 들킬 수도 있다. 문제는 잠시 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도 로그아웃을 잘 안 한다는 것이다. 하루에도 그 컴퓨터는 몇 번의 주인을 바꾸며 로그인과 로그아웃을 반복한다. 만약 그게 컴퓨터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집에서는 가족이라는 연극을, 학교에서는 학생이라는 연극을, 회사에서는 회사원이라는 연극을, 식당에 가면 손님이라는 연극을, 알바를 할 때는 알바생이라는 연극을 하다가 다시 나로 로그인할 수 있을까? 이것을 '노동'으로 옮기면 헤겔과 칸트 간의 유명한 논쟁이 있다. 헤겔은 자신의 24시간의 주인은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투잡(two job) 쓰리잡을 해도 상관 없다고 한 반면, 칸트는 인간은 아날로그이기 때문에 두잡만 해도 정체성의 큰 혼란이 온다는 것이다. 헤겔이 디지털파라면 칸트는 아날로그파이다. 쉽게 누구의 의견을 손들어주기 쉽지 않다. 이 주제를 카프카는 「상인」이라는 손바닥 소설로 이야기했다. 인간은 엔간해서는 멀티가 잘 안 된다. 뇌과학자들은 멀티플레이는 없다고 아예 단언한다. 뇌를 소모하는 것이 있을 뿐이다. 카프카의 손바닥 소설 「상인」은 로그아웃과 로그인을 여러 번 반복하다가 자신이 정상적인 인간의 삶을 살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는 상인의 이야기다.


이제 어느 평일날 저녁 가게문이 닫히고, 갑자기 내 눈앞에 내 가게의 끊임없는 용무를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될 시간들을 보게 될 때면, 아침에 멀리 보내버렸던 흥분이 다시 되돌아오는 밀물처럼 내 마음속으로 밀려들어온다. 그러나 그것은 내 안에서 참지 못하고, 아무런 목표도 없이 내 마음을 휩쓸어간다.

「상인」


하지만 상인은 그러한 기분을 살릴 수 없다. 마치 신기루 또는 꿈처럼 그런 감정을 가지고 출근하고 있었다는 느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아니 사무실 입구, 또는 지하철역이나 주차장 등 사무실에서 가까운 어디쯤에서부터 전혀 다른 시간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상인은 상인 직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매우 낯설어 한다. 평생 한 번도 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그의 돈을 가지고 있고, 자신과 상관 없는 사람들의 생각과 취향을 한 계절 전에 예측해야 하는 일(시장 조사)은 언제나 낯설다.

「상인」


하루에도 열 번의 로그아웃/로그인과 열 번의 아바타 뒤집어쓰기를 하는 현대인의 기억은 짧아지지 않을 수 없다. (숏트/릴이 대세가 될 수밖에 없는 까닭)



온전한 나로 되돌아오기 전에 방해하는 요소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나는 끝내 온전한 나로 되돌아올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고, 온전한 나로 되돌아온 기억이 아득하기 때문에 이제는 온전하지 않은 내가 온전한 내가 되어 버리는 상황이다. 온전하지 않은 나의 감정과 기억은 분열적일 수밖에 없고 간헐적일 수밖에 없다. 끊김현상이 잦은 음악처럼 간헐적 감수성은 짧지만 자극적인 감정을 원한다. 숏츠 또는 릴스가 점점 더 유행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릴스 등 쇼트폼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네이버-카카오도 본격 참전한다는 동아일보 기사(2023.3.15)



긴 기억, 긴 이야기, 시간이 필요한 감정들은 이제 옛 이야기가 되었다. 소설은 부커 상을 받았다는 단신으로 자극할 뿐이며, 유일한 긴 이야기는 '드라마'뿐이다. 드라마는 전형적인 소설의 응용이며 중간광고처럼 자극적인 장면으로 시청자를 콕 찔러줘야 한다. 카프카 「상인」의 엘레베이터 긴 독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다만 그 장면이 있기 전에 갑자기 상인은 자기가 홀로라는 것을 깨달았고, 엘리베이터에서도 혼자가 되고 화가 나서 이를 갈면서 외치는 것이다. 누구에게 외치는 것인지 역시 불분명하다. 엘리베이터를 아래층으로 내려보내고 초인종으로 누르고 나서 소녀가 문을 열고 인사를 한다. 처음에 소녀는 딸인가 생각했다. 하지만 그는 혼자가 맞다. 상인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어떤 곳이라고 보는 게 합당한 것 같다. 혼자 있는 상황을 견딜 수 없는 사람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소녀가 사는 곳은 어디일까? 상인은 왜 인사를 한 걸까?


「상인」은 자본주의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인간의 분열적이고 간헐적 기억과 감정이 강렬한 자극을 필요로 하는 현상을 다뤘다. 독방에 갇히기 두려운 죄수처럼 홀로 있는 상황이 견딜 수 없는 현대인들은 같이 있다는 착각을 만들어낸다. 귀멸의 칼날의 루이가 조잡하게 긁어모은 가족처럼.


▲ 일본 애니 『귀멸의 칼날』 하현6 루이의 에피소드는 가장 슬픈 가족의 형태라는 점에서 현대 가족의 모습을 가장 잘 형상화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3-03-16 15: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맞아. 드라마가 있는데 애써 소설을 읽을 필요가 있을까
그런 회의가 들기도 하지. 솔직히 드라마도 보는데 꽤 시간 걸려.
요즘엔 영화도 20분짜리 만든다고 하더군.
90분도 길다고.
난 며칠 전 <닥터 지바고> 소장용을 싸게 팔아서 언제고 봐야지 하는 걸
아예 사버렸거든. 그게 무려 3시간짜리야. 앉은 자리에서 다 볼 수는 업고
3, 4번에 잘라서 보려고. 이런 영화 요즘 같은 세상에 절대로 안 보지. ㅋㅋ

승주나무 2023-03-16 16:29   좋아요 1 | URL
맞아요. 드라마도 길어요. 그래서 지무비나 팅잘 같은 유투브 채널로 대신하기도 해요. ㅎㅎ

2023-03-16 15: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승주나무 2023-03-16 16:28   좋아요 1 | URL
오~ 좋겠네요. 파란흙, 여유로움, 수양버들, 알지 님. 다 그리운 이름들이군요.
저는 제주도라 참석은 어려울 것 같아요.
반가운 소식 전해줘서 고마워요.
쬐끔 약오르기는 해요 ㅎㅎㅎ
 

상인이 하는 일을 통해 철저히 도구화되고 자기 자신과 진정한 관계 맺기에서 영원히 추방되는 자본주의 인간형의 모습을 꿰뚫는 구절이다

나는 몇 시간 전에 미리 결정을 내려야 하고, 심부름꾼의 기억력을 일깨워주어야 하고, 염려되는 실수를 미리 경고해야 되며, 그리고 한 계절에 벌써 다음 계절의 유행을 생각해내야만 하는데, 그것도 내 주변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될 것이 아니고, 가까이하기 힘든 시골 주민들의 유행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만 오늘날이나 후에는 실제에서도 하나의 육신과 하나의 진짜 마리, 그러니까 손으로 치기 위한 이마를 가지고 있는 존재로 서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말이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