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전출처 : 水巖 >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선생의 탄신 100돌특별대전


전형필 선생 탄생 100돌 간송미술관 특별대전 [중앙일보]
교과서 속 `문화재의 별` 한꺼번에 본다
국보 12점, 보물 10점 포함
겸재와 추사 작품 등 100점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풍악내산총람’, 조선 풍속화의 대가 신윤복의 ‘월하정인’, 간송미술관의 얼굴 명품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지난주 내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관장 전영우)은 전화 몸살을 앓았다. 해마다 5월과 10월 둘째 주말에 개막하는 정기기획전을 기다리는 고미술 애호가들의 등쌀 때문이었다. 1971년 시작한 뒤 서너 차례 빼고는 꼬박꼬박 날짜를 지켜왔지만 올 봄 정기전은 한 주 늦춰 21일 막을 올린다. 일흔 번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가 워낙 뜻깊어 준비할 시간이 더 필요해서다. 올해는 간송미술관을 세운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1906~62) 선생의 탄신 100돌.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수장가 손으로 흘러가는 한국 문화재 수천 점을 가산을 털어 지킨 간송의 뜻을 되새기는 '간송 탄신 백 주년 기념 특별대전'이 열린다. 평소 볼 수 없는 간송미술관의 명품 100선이 한꺼번에 나온다. 대부분 국보급이다.


간송 생전에 그와 교유했던 미술사학자 고유섭 선생은 축사에서 간송을 대인(大人)이라 불렀다. "간송의 생애는 100으로 계산할 수 없다. 간송의 생은 100에 100을 곱해도 모자란다. (…) 간송이 지금도 저 높은 곳에서 겸재(謙齋)와 단원(檀園)의 산수를 즐기고 있는 모습이 아니 보이는가"라며 고인의 특별했던 삶을 기렸다. 십만 석 재산을 아낌없이 민족문화재 수집에 쏟아부은 그가 있었기에 일제 식민치하에서 훼손된 문화적 자존의식을 되살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별대전'에 나온 작품은 한국 문화재의 별이다. 간송의 탄신 100돌에 맞춰 간송 소장품의 전모를 살필 수 있는 100점을 골랐는데 국보가 12점, 보물이 10점이다. 도자기.그림.글씨.불상 등 각 부문별 대표선수가 나왔다. 교과서에서 사진으로 보던 바로 그 유물들이다. 35년 동안 개인.유파.시대.국적별로 꾸린 예순 아홉번 전시회를 거치며 연구로 검증된 작품 가운데서 뽑았으니 고미술의 고갱이가 한자리에 모인 셈이다.

국보 제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은 간송 소장품의 얼굴이다. 청자색 바탕의 푸른 창공을 날아오르는 학의 모습이 아름다워 '천학매병(千鶴梅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간송이 1935년 일본인 골동 중개인의 소개로 당시 거금 2만 원을 주고 사들였다. 2만 원이면 당시 서울에서 어지간한 집 열 채를 살 수 있는 돈이다. 간송의 도량과 담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런 일화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한국 전통문화의 자존심을 걸고 일본땅으로 넘어갈 뻔한 것을 지킨 간송의 힘을 되새기게 하는 대목이다.

국보 제73호 '금동삼존불함(金銅三尊佛龕)', 국보 제 70호 '훈민정음', 겸재 정선의 '풍악내산총람(楓岳內山總覽: 풍악내산을 한데 합쳐 살펴보다)', 조선 풍속화의 대가인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대표작, 추사 김정희의 '명선(茗禪: 차 마시며 선정에 들다)' 등 한 점 한 점 한국미술사의 뼈대를 이루는 걸작이 줄을 섰다. 한 개인이 이룬 소장품의 목록이 한 나라의 박물관을 능가할 정도다. 이렇게 보석 같은 문화재를 모은 간송의 안목과 솜씨를 엿볼 수 있는 그의 글씨와 문인화 8점도 함께 선보여 흥미를 돋운다. 추사의 '세한도'를 연상시키는 고졸한 그림 속 초가집 한 채가 간송의 자화상처럼 보인다.

간송의 정신을 받들어 40년 간송미술관을 지켜온 최완수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연구실장은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추사 김정희의 추사체 연구에 심혈을 기울여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인 진경시대 문화의 우수성과 고유성을 밝혀낸 것은 다 간송의 소장품 덕"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6월 4일까지. 무료. 02-762-0442.

정재숙 기자

출처 : 중앙일보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6-05-16 1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아갈게요^^

水巖 2006-05-16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제 서재에 이태준 고택 가는 길 올려 놓았습니다. 고택 이야기도 옮겨다 놓구요, 와서 보세요.
왕돈까스집은 이태준 고택 주변에 몇군데가 있는데 로드무비님이 말 하시는곳은 어딘지 모르겠군요.

바람돌이 2006-05-17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혜경님/원래 수암님이 올리신 글 저도 퍼왔어요. ^^
수암님/정말 감사합니다. ^^
 
 전출처 : 라주미힌 > 화면 캡쳐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키보드에 보면 'Print Screen' 키가 있을 거에요.

눌러줍니다.

그리고 그림판을 여세요.

ctrl+v   (붙여넣기) 하면 달라붙거든요.

그걸 bmp로 저장한 후에..

jpg로 바꿔주면 됩니다. (이미지 뷰어나, 포토샵 같은 것들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chika > 하루님! 여기예요, 여기!!



김영갑 갤러리.

성산포 삼달리에 있지요.





같은 애인데도 방향을 좀 틀어주니까 색다르죠?

밖에는 요런 애들이 있구...

안에 들어가면 사진이 전시되어 있어요.



사진이 액자에 담겨 있어 찍기 힘들더군요.

이런 분위기, 라는 것만 알려주려고 몇 장 찍었어요.





이 사진은 너무 멋져서 이렇게 액자가 안보이게 찍었네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5-13 0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근사하군요

바람돌이 2006-05-17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
 
 전출처 : 바람구두 > 케테 콜비츠 전시회

안녕하세요. 싸이월드 민중미술 클럽장 양새슬입니다.

원래 이 클럽은 제가 저 혼자서 그냥 자료나 그림 같은 걸 모으기 위해서 만든 클럽이었답니다. 그래서 별로 관리도 안 하고 그러고 있었지만,

좋은 전시회 정보 같은 게 있으면 서로 공유도 하고 했으면 하는 바람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그냥 두면서 이따금씩 관심 있으신 분들은

자료를 올려주시고 하는 식으로 '방치'(?)해두는 게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했었지요.

아무튼 그러고 있던 차에,

 

캐테 콜비츠 전시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정말 감격하여... 이렇게 소식을 전하게 되었습니다.

 

내일부터 전시회가 열리는군요.

이 전시회를 꼭들 가보셨으면 합니다.

베를린 캐테 콜비츠 미술관은 못 가봤지만,

쾰른에 있는 캐테 콜비츠 미술관을 가본 적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그리고 특히 그녀의 작품 <삐에타>를 보면서

민중의 삐에타로 역전시킨 점 때문인지 전율 같은 걸 느낀 적이 있습니다.

 

약도는 다음과 같네요. 갤러리 약도가 너무 작지만

인사동길 쪽이 아니라,

조계사 쪽 길에 있는 전시관이네요.

 

꼭 가보시길...

 

주소 및 연락처
address  12 Suong-dong, Jongro-gu, 110-140 Seoul, Korea
110-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12
phone 82-2-720-2223
fax 82-2-720-2224
 
갤러리 오픈 시간안내
갤러리 오픈시간: 10:00 - 19:00
(이외 시간은 전화예약후 방문 가능. 전시중에는 휴일이 없습니다)

 

찾아오시는길 
버스 :  172, 171,종로 02,종로01, 152,162,151,205
          종로 경찰서 : 2,6,8,8-1,20,84.132,159,205
          331,543,7025
지하철 : 안국역 3호선
 
 
스텝 
       대표 김순협 
       실장 김진호
       큐레이터 이순영

 

 

Oliginal und Reproduction

캐테 콜비츠 판화展

2006_0510 ▶ 2006_0606



캐테 콜비츠_임산부_석판화_56×42cm_1920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갤러리 고도 홈페이지로 갑니다.




초대일시_2006_0510_수요일_05:00pm

갤러리 고도
서울 종로구 수송동 12번지
Tel. 02_720_2223_4
www.gallerygodo.com

이인칭의 관람자: 캐테 콜비츠의 직설

 

캐테 콜비츠(Kaethe Kollwiz, 1867~1945)의 이름을 말하는 것만으로도 코앞에 이 미술가를 만난 것처럼 눈에 빛을 내던 나의 동료 몇몇을 기억한다. 그 중 하나는 보안사범으로 복역한 이력과 함께 몇 해 전에 발간된 서적에 미중미술가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문학에 종사하는 다른 친구는 1986년에 발간된 콜비츠에 관한 저작의 내용을 꿰찼다. 이들은 대개 그녀의 그래픽에 표현된 인물과 장면에서 억압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주목했고 그 뜻을 들으려했다. 이들의 관심은 1980년대 이 땅의 다른 관람자와 별반차이가 없었던듯하다. 1980년대의 의식이 자생하는 내부의 현실적 각성을 토대로 생겨난 것이라면 성숙되기 위해 더 많은 시기동안 지속되든지 아니면 이후의 시기에도 연속될 뚜렷한 암시가 되었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 콜비츠를 마주한 지금 나는 일말의 시장기를 느낀다. 뭣보다 콜비츠의 창작물에서 발견되는 분명한 시각적 징표에도 불구하고 왜 들으려고만 했을까? 늦었지만 나는 이제 콜비츠를 보려고 한다. …





캐테 콜비츠_Junges paar(젊은부부)_동판화_30×32cm_1904



캐테 콜비츠_'Eltern'(aus der Folge Krieg)부모_석판화_56×42.5cm_1920



아방가르드에 대한 반응

 

콜비츠의 생애는 새로운 전통을 선도하는 아방가르드가 극단적 실험으로 미술의 환경을 주도한 때와 일치된다. 그녀는 아방가르드를 거들떠보지도 않았고 오히려 단호히 반대했다. 그럼에도 그녀는 현대미술의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은 채 냉전체제의 독일 양 진영, 이 모두로부터 추앙받았다. 심지어 극동의 중국에서 마저 환영받았고 1980년대 한국에서는 미술이 소통될 것과 뜻이 미술을 통해 현실에 이루어질 것이란 믿음에 강한 암시가 되었다. 몇몇 섬세한 아방가드의 시각과 형식주의적 진화론자들은 콜비츠의 미술이 쉽게 받아드려지고 그만큼 대중적 접근이 용이함에도 그녀를 신랄하게 비난했다. 콜비츠의 매체가 서술에 종속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그녀와 거의 동시대인 키르히너(Ludwig Kirchner, 1880~1938)나 후배 벌인 놀데(Emil Nolde, 1867~1956)의 변형된 형태와 칠(painting)을 그녀보다 훨씬 새로운 전통에 더 가까운 것으로 봤고 매체의 순수한 본질로 향한 개척자로 이들을 대우했다. 하지만 쉽게 이해되는 콜비츠의 형식적 특성과 인도주의적 주제는 본토뿐만 아니라 그녀의 미술이 소개되는 곳곳에서 대중적 공감을 유발해오고 있다. 뭣보다 판화와 드로잉에서 주제의 깊이와 창의적 기법간의 통합은 이들 비난에도 불구하고 그녀에게 현대미술사의 안정된 지위를 보장하고 있다.





캐테 콜비츠_Selbstbildnis_석판화_36×30.5cm_1920



동판화에서 석판화로

 

콜비츠는 칠로 화가의 길에 접어들었으나 근본적으로 그녀를 대리하는 매체는 선묘(draft)와 조각, 그리고 판화이다. 그녀가 처음 그래픽을 시도한 것은 동판화(etching)를 통해서이다. 그 결과 잘 알려진 「농민전쟁」연작(1903~08)을 비롯한 「젊은 부부」(1904)그리고 「죽은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1903)과 같은 특출한 동판화들을 보이게 되었다. 이들 판화는 표면의 조직(texture), 대비, 잉크, 그리고 종이에 대한 그녀의 집중된 관심이 잘 드러난다. 1910년대를 포함하는 그녀의 초기 작 대부분은 16세기 농민전쟁과 19세기 실러지안(Silesian) 지방 직조공들의 소요를 다룬 문학작품이나 역사적 사건을 주로 주제로 삼고 있다. 1919년 경 콜비츠는 지나치게 세밀한 동판화의 제작을 그만 두고 그것보다 더 단순한 표현수단을 위해 목판화와 석판화(lithography)를 자신의 매체로 선택했다. 이로써 그녀의 제작은 개념적 목적에 이전보다 훨씬 부합하게 되었다. 그녀는 석판에 직접 그려서 판에 이미지가 생겨나게 했고 그 결과 특유의 소묘 양식인 「손길을 기록하는 특질」에 도달했다. 석판화의 단순화된 속성은 그녀가 품은 사회적 문제에 잘 맞았다. 전장에서 아들을 잃은 1차 대전을 분수령으로 1918년 이후 콜피츠는 상당수의 개별 이미지들을 제작했다. 이들은 낙태, 알코올 중독, 전쟁, 도회지 생활의 여건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관한 것들이다.





캐테 콜비츠_Nachdenkende Frau 1(숙고하는 여인) Fassung_석판화_45.5×37.5cm_1920



선의 생기와 형태의 견고함

 

「직조공의 봉기」(1893~1896)를 비롯한 「농민전쟁」 연작을 포함하는 초기 동판화들에서 콜비츠는 손놀림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강인하고 긴 선들을 통해 자신의 주제를 그렸다. 이 선들은 각각의 가닥과 결이 선명하고 얽혀있지 않다. 그것들은 색면의 덩어리를 완성하지 않음에도 명암의 대비, 인물의 윤곽, 그리고 화면의 분위기를 창출한다. 그녀에 의하면 「단순하고 제한되지 않은 방법은」 대상들의 「삶에 생기를 불어 넣는다」고 한다. 이는 잘 계획된 무대의 한정된 조명 아래에서 배우들의 무리 진 움직임을 스케치할 때 곧잘 발견된다. 즉 조명에 반사되는 형태와 반짝임이 망막에 감지되는 간헐적이고 순간적인 시지각에 관한 것이라 하겠다. 콜비츠는 상상이나 연상과 같은 기억에 의존해서 완성된 형태를 그대로 복원하기 위해서보다 오히려 곧장 목격되는 생기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그의 독특한 선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독일 사실주의의 전통을 전적으로 따르지 않은 방법에서 그녀가 자신의 경력을 출발시키고 있음을 확인시킨다. 뒤러(Albrecht D?rer, 1471~1528) 이래로 계승되어 온 독일의 사실주의는 자연 대상의 온전한 환각을 위해 제작의 방법이나 재료의 노출을 어떻게 하면 적극적으로 감추느냐에 승부를 걸었다. 그것들이 드러나는 것은 미완성으로 여겨왔다. 격정적 행동과 우울은 전형적 독일식 사실주의와 동일한 주제이지만 그녀는 자신의 제작 공정과 재료의 생기를 노출 시키는 지점에서 선배나 거장과 구별되는 출발을 한 것 같다. 대상을 태연하게 그리고 온전히 관조하기 위한 환각의 전통을 따르지 않는 점에서 콜비츠의 뚜렷한 혁신은 스스로 살아 있음을 확인하고 또한 본 것을 그대로 기록하겠다는 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캐테 콜비츠_Verbruederung(의형제를 맺다)_석판화_32×22cm_1924


한편 그녀의 실천은 이웃한 표현주의자 동료들이 주제를 설명하기 위한 환각과 재현을 상당히 포기하고 대신에 광폭한 몸짓과 재료의 분출로 독백에 도달한 것과 대비된다. 콜비츠의 주제는 이들에 비해 여전히 전통적 형상에 의존해 있고 심지어 서술적 삽화를 벗어나지 못하는 외관으로 비쳤기 때문이다. 1차 대전 이후 그녀의 세밀한 선들을 단색조로 채워진 면으로 대체되고 형상과 배경간의 경계를 견고히 하는 윤곽에 집중함으로써 재현된 형상을 더욱 강화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그녀의 구상성(figurative)이 곧장 형식주의자의 비평적 표적이 되어왔다. 그렇다고 그녀의 판화와 소묘(drawing)가 전통에서 아방가르드로 향한 한 지점이거나 그 양자간의 절충적 위치에 있는 것으로도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관람자에게 단숨에 받아드려지고 극명하게 단순하고 절제된 형태의 직설(literality)을 보임으로써 그 때까지 미술이 시각적 진실을 추구해온 경로를 요약해 보였다.




캐테 콜비츠_Hunger(배고픔)_녹판화_55×34.5cm_1923



관람자를 창출하는 알레고리

 

1920년 일기에서 콜비츠는 자신이 그리고 있는 아이가 공포에 저려 홀로 울고 있음에도 그 아이를 그렸다고 한다. 그 때 그녀는 그러한 아이에 대한 「옹호자로서의 책임을 회피할 권리가 없음을」 깨닫게 되었고 그 책임이란 곧 끊임없이 쌓인 사람들의 고통을 표현하는 일이라고 기록했다. 이는 콜비츠가 자신의 매체를 단순한 감상물이 아닌, 그와 같은 인본주의를 실천하는 방식으로 간주함을 암시한다. 하지만 그녀의 화면에는 핍박의 구체적 대상은 재현되어 있지 않다. 억압하는 주체의 분명한 부재를 통해 억압 받는 대상의 통증을 증폭시킨다. 콜비츠의 매체를 마주한 관람자는 자신의 등 뒤로부터 그 통증을 야기하는 힘을 의식하게 된다. 즉 눈앞에 펼쳐진 생생한 통증의 현장은 가까운 시간 혹은 당장 지금 막 벌어진 참상에 관한 것이다. 관람자는 곧 인근에 그것을 가능케 한 힘을 의식하게 된다. 이러한 관람자의 창출은 미술의 역사에서 아주 특이하다. 콜비츠의 선배들이 제작한 매체는 관람자에게 친절하게 재현된 장면을 관조할 안정된 장소를 제공한다. 이때 관람자는 그 매체를 삼인칭의 시점에서 조망한다. 따라서 그 선배들의 화면에 재현된 통증이나 우울함은 관람자에게 태무심하게 그것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반면 그녀를 이웃하는 표현주의자들의 독백은 일인칭의 관람자를 생산한다. 그래서 표현주의의 화면 앞의 관람자는 항상 불안하거나 그대로 분노한다. 하지만 콜비츠가 생산하는 이인칭의 관람자는 통증에 억눌린 인물들에게 뭔가 직접적 행동을 해주어야 함을 각성한다. 그 실천은 곧 위로, 포용, 혹은 치유와 같은 인도주의적 책임에 관한 것이다. 콜비츠의 화면에서 인물들의 극적 역할이 얼핏 공연을 앞 둔 연극을 설명하거나 무대에 올려진 공연물을 그린 것처럼 보일 염려에도 불구하고 그가 대상의 재현을 버리지 않은 것은 바로 여기에 있다. 더욱이 연작이든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든 하나의 장면은 그녀의 이웃하는 다른 작품과의 연관에서 인도적 책임의 수행에 관한 각성을 암시하는 뚜렷한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그것은 제작의 공정과 매체의 물리적 생기를 유지하면도 주제의 서술을 가능케 한다. 미술가의 몸짓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선이나 윤곽이 서술하는 사건의 현장이 다른 곳, 지난 때의 일이 아니라 바로 「그대」(you)의 일임을 각성시키는 한편 그 억압의 힘과 주체가 추상적 권력이나 시대의 탓이 아니라 바로 「그대」임을 깨우친다. 따라서 콜비츠의 매체 앞에 서 있는 관람자는 치유 받아야 할 대상임과 동시에 상처를 야기한 원이 된다. …





캐테 콜비츠_Abscide(이별)_브론즈_17.5×11.5×3.8cm_1940


사건의 서술적 진술로 비쳐지는 콜비츠의 그래픽은 추상회화와 같은 매체의 순수성을 향한 진화론의 기대에서 받아드려지지 못한 한편, 세기말과 대전으로 말살되는 인간성에 대한 표현주의식의 진솔한 독백이 되지도 못했다. 그럼에도 그녀는 대상에 순간적으로 반응하는 손놀림의 기록과 소묘로 재료의 생기와 제작의 공정을 자신의 화면에 남기는 직접성을 획득했다. 이를 통해 그는 아방가르드에 반응했고 심지어 윤곽의 형태를 견고히 함으로써 시각의 직설을 실현했다. 콜비츠는 이러한 시각의 형식과 현실에 실재하는 문제를 연속되는 장면의 변화와 알레고리로 종합했다. 이는 재현을 점차 버리고 순수성으로 전개해가는 것으로 보는 현대미술의 한 흐름과 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재현은 인간의 기억과 경험에 의존한다. 반면 형식의 순수성은 기억이나 경험과 같은 과거를 개선하려 한다. 이 양자간의 선택국면은 콜비츠 당대의 예술가들이 처했던 난점이었다. 그녀는 이 선택국면에서 그 흐름이 요구한 순수성을 이미 출발에서 시각적 직설을 통해 드러냄과 동시에 기억과 같은 개념성을 재현으로 구성된 알레고리를 통해 실현함으로써 이 양자를 통합했다. 여기서 나는 선택국면에서 물리적 순수성으로 선택해간 미국 미술이 몇몇 절충주의를 정당화한 사례를 기억한다. 재현을 했으되 사물이 된 죤스(Jasper Johns, 1930~)의 절충주의적 애매함이 미술의 새로운 의미를 탄생하게 했다는 지적이 그 사례 중 하나이다. 콜비츠는 시각의 분명한 형태와 개념의 작용인 기억의 연상을 종합함으로써 훨씬 앞서서 이미 그 새로움을 획득했거나 예고한 것이 된다. 지금 여기는 1980년대의 희망과 기대가 단절된 채 그 애매함의 변형물들이 모방되고 난무하고 있다. 어쩌면 그와 같은 절충주의를 보지 못하고 오히려 그 너머에 들려오는 메시지에 지나치게 귀 기우리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나의 시장기는 각성의 기회가 지속되지 못한 것에서 생겨난 듯하다. ■ 이희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balmas > "5.18 정신계승, 올해는 광주 대신 평택에서"

 

"5.18 정신계승, 올해는 광주 대신 평택에서"

 

민주노총, 13-14일 서울과 평택에서 노동자대회 갖기로

최인희 기자 flyhigh@jinbo.net
민주노총이 8일 열린 긴급 산별대표자회의에서 평택 유혈 진압사태와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산별 대표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야만적 폭행과 인권유린, 주민생존권 위협 등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연행(구속)자 전원 석방 △책임자(국방부장관, 경찰청장) 처벌 △불법부당한 군사시설 보호구역 지정과 군투입 철회 △(정부와 국방부 등이 주도하는)범대위와 주민대책위 이간 행위 중단 △미군기지 확장 및 이전 반대 등 대정부 5대 요구를 결정했다.

13일 광화문, 14일 평택에서 투쟁

아울러 당초 5.18을 기념해 광주에서 개최하기로 했던 주말 행사를 옮겨, 13일과 14일 양일간 총력 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에 따라 13일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고, 14일에는 평택에서 열릴 예정인 범국민대회에 노동자대회에 준하는 규모의 조합원을 참가시키기로 했다.

연맹별로는 전국 동시다발로 평일 촛불집회를 개최하기로 했으며, 서울 광화문 촛불집회는 각 연맹이 요일별로 할당해 책임있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 협상단도 강제 연행, 구속영장 청구

한편, 5월 4일과 5일에 걸친 팽성읍에서의 군사 작전으로 인해 민주노총 조합원들도 상당수 연행되고 구속영장이 청구된 사람도 양일간 18명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김정근 민주노총 조직실장, 김동우 민주노총 쟁의국장, 김재석 전교조 부위원장 등은 강제 연행자 석방을 위해 협상단 자격으로 방문했다가 강제로 구금, 구속영장이 청구돼 물의를 빚고 있다. 이밖에도 구속영장이 청구된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들은 전교조, 기아자동차노조, 보건의료노조, 금속노조 등을 비롯해 5일 연행자 중에서만 12명이다.

민주노총은 이와 관련해 "민주노총 조합원들과 집회 참가자들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대해 응당한 항의를 한 것일 뿐인데 이들을 구속 수사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고 있다.

평택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비상시국회의 개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