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의 아이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영주 옮김 / 박하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형사의 아이》




국내에도 많은 팬 층을 확보하고 있는 일명 ‘미미여사’ 미야베 미유키의 초기 작품인《형사의 아이》는 시종일관 차분한 문체와 안정적인 전개를 이끌어 가면서도 결말까지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 탄탄한 구성의 작품이다. 사실 나는 추리, 미스터리 등의 장르소설을 좋아해서 미미여사의 명성은 익히 들어왔지만 실제로 접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명성이 헛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한 한적한 동네 강에서 시체의 일부가 떠내려 오자 동네는 술렁이기 시작한다. 이혼한 형사 아빠와 함께 그 동네에 이사 온 지 얼마 되지 않는 주인공 ‘준’은 친구로부터 동네 어느 집에서 살인이 일어났다는 소문을 듣게 되고, 비슷한 시기에 자신의 집에 살인자의 이름이 적힌 편지가 도착하자 그 친구와 함께 조사를 시작한다. 범인으로 지목된 저택을 방문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놀랍게도 범인은 경찰을 조롱하듯 또 다른 피해자의 시체를 찾으라는 편지를 보내며 도발한다. ‘준’이 살인자로 의심되어 만난 사람은 전쟁의 아픔을 간직한 노인인데 언론에서도 그를 용의자로 지목하자 일은 점점 커지고 경찰은 다각도로 수사를 벌이지만 단서가 없어 사건은 미궁으로 빠진다. 과연 ‘준’은 사건해결에 어떤 도움을 줄까? 범인은 그 노인이 맞는 걸까?


사실 출판사 홍보문구를 보고 읽기 힘든 내용이지 않을까 해서 걱정하기도 하였다. 사건을 해결하는 주인공이 청소년이고, 청소년 범죄의 처벌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너무나 가벼운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니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는 아동, 청소년 학원폭력, 왕따, 성폭력 문제들이 연달아 떠올랐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청소년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될 만큼 크지 않았던 것 같은데 과거의 법 기준이 따라오지 못할 만큼 요즘 아동, 청소년들이 순진함을 벗어 던진 지는 이미 오래된 것 같다. 차라리 순진하지 않은 것이 더 나을 지도 모르겠다. 때론 아이들이 그런 잣대를 뛰어넘어 범죄를 즐기거나 양심의 가책, 옳고 그름의 잣대를 무시하고 비웃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어른들의 잘못은 차치하고 말이다.


이 소설이 발표된 것은 1990년 일본. 소설가가 이런 주제로 작품을 썼다는 것은 아마 그 시대에 이 화두가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는 뜻 아니겠는가. 그 후로 20여년이 훌쩍 지나 2015년 한국의 현재에 이 소설이 위화감이 없는 것은 우리 사회도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는 뜻일 것이다. 내가 이 소설을 재미있게 읽은 것은 이런 시대와 장소를 초월한 공통된 주제의식이 하나이고, 또 하나는 침착하고 안정적인 문체이다. 글에는 지문처럼 독특한 글쓴이만의 리듬이나 뉘앙스가 드러나기 마련인데 느슨한듯하면서도 운율감이 느껴지는 문장, 긴박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집중력이 있는 문체로 미미여사의 체취를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이는 번역자 ‘권형주’의 실력이기도 하겠지만. 또 하나 좋았던 점은 서두가 길지 않았다는 점이다. 배경 장소나 출연 인물들이 적어 복잡하지도 않았지만 짧은 묘사만으로 바로 사건에 뛰어드는 간결함, 거기서 바로 주인공들을 등장시키고 그들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솜씨가 가히 일품이었다. 적긴 하지만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각기 개성이 살아있고 자신들이 그렇게 행동 할 수밖에 없는 당위성까지 부여받아 잘 짜인 멋진 옷 한 벌을 보는 듯했다.


미스터리 추리 소설이라 범인을 유추하면서 보는 것이 참 재미있었고, 주인공인 ‘준’과 그 친구의 콤비, 그리고 일하는 할머니와의 모습이 그 나이또래 아이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공감되었다. 부모의 이혼으로 아프고 혼란스러웠던 마음이 그 인물들과의 관계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치유되고 이를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도 참으로 좋은 부문이었다. 다만 결론에서 범인이 범행을 저지를 수밖에 없었던 당위성에서 조금 의아했는데 이 부분이 청소년들의 비논리적인 부분을 표현한 것이라면 또 이해가 되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만족스럽고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미야베 작가의 다른 작품도 무척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이 운명이다 - 지금 당신이 만나는 사람이 당신의 운명을 만든다 좋은 운을 부르는 천지인 天地人 시리즈
김승호 지음 / 쌤앤파커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운명이다》




이 책은 한 구절 때문에 읽게 되었다. ‘나는 전작 《돈보다 운을 벌어라》에서 독자 여러분에게 복권을 사라고 권했다. 사행심을 조장하려는 게 아니라, 크든 작든 행운이 들어올 통로를 열어두라는 의미였다. -p226-' 바로 이 구절. 이 한 문장이 왜 나에게 그토록 큰 울림을 주었는지는 모르지만 ’운이 들어올 통로‘, 바로 나에겐 그게 필요했던 것 같다.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뭔가 돌파구가 없는 것 같은 막막함이 나를 감싸는 것 같은 시점에 이 책은 이 문장만으로도 뭔가 시원한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다.


밝히지만 나는 자기 계발서나 처세술 같은 책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다. 과거에 여러 책들을 읽은 경험이 있지만 다들 자기 자랑이나 뻔 한말만 나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다행히 앞서 언급한 이유 때문에 그런 선입견이 없이 읽을 수 있었고 중요한 것들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누구든 ‘성공’과 ‘출세’를 하고 싶어 한다. 불행히도 우리들에게 성공이란 돈 잘 버는 것 이란 의미가 크다. 유명해지고 권력을 가져도 결국 돈으로 귀결되니까. 그러나 저자는 ‘성공’과 ‘출세’를 조금 다르게 정의하는데 바로 ‘큰 문제가 없는 상태’란 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그 방법, 그 운명을 만드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바로 ‘사람, 대인관계’를 말한다. 이 책은 그런 운명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방법, 즉 ‘처세술’을 이야기 하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주역을 풀어가며 방법들을 쉽게 전달한다. 우리의 모든 삶은 결국 사람에서 시작해서 사람으로 끝난다. 내가 만나는 사람, 관계 맺는 방식이 결국 우리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다. 내가 가장 놀란 부분은 인간관계와 정의가 부딪힐 때 처세인데, 나는 늘 정의의 편에 섰지만 ‘사람’ 편에 서야 한다는 것이었다. 극단적인 예로 내 사람이 사람을 죽였다면 신고가 아니라 같이 처리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것. 또한 자신의 의견보다는 상대방이 듣고 싶은 말을 하라는 것, 안정적인 것에만 집중하면 발전 할 기회를 놓칠 수도 있으니 늘 가능성을 열어 두라는 것, 늘 자신을 살피고 공부하기를 멈추지 말며, 자신을 안정시킬 운동이나 악기 등을 가까이 하고 배려하는 삶을 살라는 것.


이 내용들은 내가 깊이 공감하고 내게 울림을 준 이야기만 적어놓은 것이지만 이 책엔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많은 기술들이 적혀있다, 어떤 사람인지 직감적으로 판단하는 8가지 방법, 자녀들을 교육할 때의 방법, 어떤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지속해야 하는지 자신을 가꾸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많은 충고들이 적혀있다. 물론 어떤 관점에서 읽느냐에 따라 해석하는 것이나 받아들이는 느낌이 많이 다를 수 있겠지만 내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느끼고 경험했던 것들과 비교해서 읽으며 나 자신을 돌아보고 한번 점검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예로 든 일화들도 재미있고, 주역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정말 우연히 읽은 책이지만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되어 의외의 수확을 한 느낌이다. 살면서 누구나 비슷한 고민들에 빠진다. 누구를 만날지, 언제 어떻게 관계를 맺고 끊을지 늘 고민일 것이다. 이러저러 문제가 있다 해도 결국은 사람문제다. 이 책은 그런 부분에서 충분히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거나 뭔가 답답하거나 꼬인다는 생각이 들 때, 자신의 삶을 더 발전시키고 싶을 때도 이 책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blog.aladin.co.kr/eventWinner/7394885



- 안티 오이디푸스


* 페이스북


Junghyun Lee junghyun.lee.549

윤성 AfricaYunseong

편다혜 100001472425536


* 트위터


@totoro7858 

@lawyerlight

@mlkj1224  

@vikalake 

@zwolftenicht 



알라딘 SNS에서 진행한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당첨자를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 


* 알라딘 SNS 접속하는 법


☞ 알라딘 트위터 : https://www.twitter.com/aladinbook

☞ 알라딘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aladin

☞ 알라딘 카카오스토리 : https://story.kakao.com/ch/aladin



- 당첨자 정보는 3월 1일 23시 59분까지 보내주셔야 유효합니다. 늦을 경우 배송이 불가합니다. 


  보내 주셔야 할 정보는 당첨 상품명 / 본명 / 알라딘 로그인 계정 / 우편번호 / 주소 / 전화번호이며 이 중 한 가지라도 누락될 경우 배송이 불가합니다. (우편번호의 경우 제가 일일이 검색이 불가하니 꼭 적어주시기 바라며, 없을 경우엔 제외되고 배송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당첨 상품의 종류가 많으니 꼭 당첨 상품명도 적어주세요.)


* 정보 보내는 법 (당첨된 SNS의 보내는 방법에 꼭 맞게 보내주세요. 이를테면, 트위터 쪽지로 카스 당첨자 정보 보내시면 확인이 어렵습니다.) 


트위터 - www.twitter.com/aladinbook 계정으로 쪽지(DM)를 보내주세요. 맞팔이 안되어 쪽지 발송이 안되는 경우 멘션으로 요청해주시면 빠른 맞팔 들어가겠습니다!   - 본명 / 알라딘 로그인 계정 / 우편번호 / 주소 / 전화번호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ladin 으로 가셔서 우측 상단의 '메시지' 버튼을 눌러주세요. (해당 페이지에서 메시지를 보내셔야만 유효합니다.) - 본명 / 알라딘 로그인 계정 / 우편번호 / 주소 / 전화번호


카카오스토리 - kakao_aladin@naver.com 으로 이메일 보내주세요. - SNS닉네임 / 본명 / 알라딘 로그인 계정 / 우편번호 / 주소 / 전화번호



당첨자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두 축하드려요! 




알라딘 노트 증정 이벤트


-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노인 


* 페이스북


장광덕 100001608707455

신동우 100007540398127

안혜경 100004638601936

서형미 100002329198166

심창용 chdrgon


* 트위터


@dpthd159 

@valueteller 

@tnwlstr 

@tofususi_ski 

@clsrnskdmlclsrn 


* 카카오스토리


한외정

권윤경



- 피터래빗 이야기


* 페이스북


김장미 100002147083141

이종석 jongseok.lee.92

정현균 100000010498864

정수현 soohyun.jeong.50

오윤호 lostone.mastercold


* 트위터


@bomita_kmm

@JYJrabbit3 

@maiot9625 

@sdsw1011 

@rosetta2051 


* 카카오스토리


양순화

정별님



-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 페이스북


박상희 sangheeparkc

박수정 icecong

김소정 sojung.kim.988


* 트위터


@Mideeny 

@last_gloryday 

@mintbird_ 

@penbe439 


* 카카오스토리


박희선

김도연

현동훈



- 더 클로짓노블


* 페이스북


김욱현 100005351414732

이영일 100002539720285

문으뜸 mun.eutteum

조연지 yjzzo

문경현 100001158269118


* 트위터


@3Ennnnnn 

@RaiNboWmenbOOng 

@gnakim 

@Pueraria__ 

@U_Yujin 


* 카카오스토리


천지연

홍유진



- 꿈


* 페이스북


김경석 ttomkim

이민경 nadang282

김용일 100008629664789

송우영 wooyoung.song.9

박민아 mminanimm


* 트위터


@LYSun3 

@bombiers 

@R_NviE7 

@_superbeauty 

@b_hyun_506 


* 카카오스토리


조흠옥



- 언젠가 한 번은 뉴욕미술관


* 페이스북


이정수 bloodlee0328

임규리 starguelee

김중헌 joonghun.kim.5

양승림 100009013663215

박신원 100007830969546


* 트위터


@rachel9777_kim 

@babyblue_water 

@ldahyun 

@XD_MIN 

@ss_love_ 


* 카카오스토리


연나라

정은주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 이니그마


* 페이스북


Dajeong Chong dajeong.chong


* 트위터


@jye979 

@tennstedt85 

@cravecat2345 

@hune_bug 


* 카카오스토리


김민준



- 두 도시 이야기


* 페이스북


안예진 yejin.ahn.739

김민정 MnJJG

남연주 catherine.nam.9

강민정 KBlahBlahBlah

원종권 neutrino77


* 트위터


@mo_nolife 

@lucky_kure 

@glaytaiji 

@butterflyoon 


* 카카오스토리


심혜진

전선희



- 따뜻하게 다정하게, 가까이


* 페이스북


전상아 sangaangela.jun

김가영 rose.kim.144

Janis An aejian

박혜정

김태인 kimtaein93


* 트위터


@_Gi_O__ 

@lavenderjin 

@hisuikinki 

@hyuuun0914 


* 카카오스토리


박현진

강은숙




- 안티 오이디푸스


* 페이스북


Junghyun Lee junghyun.lee.549

윤성 AfricaYunseong

편다혜 100001472425536


* 트위터


@totoro7858 

@lawyerlight

@mlkj1224  

@vikalake 

@zwolftenicht 


* 카카오스토리


박혜미

오유빈


- 산시로


* 페이스북


HeeSun Kim sunday0703

김은진 Wajea

채유진 yoojinchae2782


* 트위터


@yoseoduk 

@lena33XX 


* 카카오스토리


최은정

정성미


- 불가능


* 페이스북


배경현 gyeonghyeon.bae

박중일 ziraalz

현승희 seunghee.hyun.1

홍숙형 sue.hong.92

Ganghoo Esther Lee 100000536121369


* 트위터


@sloppytext 

@NANORAIN 


책드려요 이벤트


- 설득의 심리학 (페이스북)


최혜리 silveruna

박경현 kyunghyun.park.3

박재상 jaesang.park.35

최예광 dPrhkd

이현민 100001734252066

황민혜 minhye.hwang.902

김다영 1541438855

안예진 yeajin9

서성용 100007437542365

김난경 100003349898280



- 문학의 맛, 소설속 요리들 (페이스북)


주영돈 100003280371741

김민영 100002969922427

Mijin Yi mijin.yi.1

Yuna Sung yunasung711

성태욱 taewook.sung

A-Rum Angela Yang yang.a.arum

윤보영 yoon.boyeong

박정민 100006883488993

박은주 eunjoo.park.566

정보배 100003288547380


- 색연필 손그림 일러스트 (카카오스토리) 


김혜승

최서우

손영옥

변석균

선대근



페북지기 책상정리 (페이스북)


1. 프란치스코 리더십 / 김양희 100007115615143

2. 여울물소리 / 최휘량 hungrysouls

3. 감성치유 / 임은미 LIMEUNMI

4. 비밀의 정원 엽서책 / 박지훈 godplan4u

5. 공짜 점심은 없다 / 박희찬 channprj

6. 불편하면 따져봐 / 강민수 alstn9301

7. 경제학, 인문의 경계를 넘나들다 / 권효련 100009171006943

8. 수학, 인문으로 수를 읽다 / 김미현 mihyun.kim.104

9. 건축, 인문의 집을 짓다 / 안동규 dongkyu.ahn

10. 거창고 아이들의 위대한 질문 / 김혜인 100003640435394

11. 한유민의 그럴법한 생활법률 특강 / Hyeok Woo Kwon 100004524994916

12. 김병완의 책쓰기 혁명 / Yeon Wook Jung lovejh724

13. 암 억제 식품사전 / Chaeyeong Han chaeyeong.han.5

14. 빠레, 살라맛 뽀 / 나서영 100007800096071

15. 회장님의 글쓰기 / 이성원 1000038667404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자의 탄생 - 사라진 암호에서 21세기의 도형문까지 처음 만나는 문자 이야기
탕누어 지음, 김태성 옮김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자의 탄생》




중국, 한국, 일본을 한자 문화권이라 한다. 발음은 다르지만 많은 한자들을 공유하고 있고 이 문자에서 시작된 문화도 공유한다. 이런 ‘한자’의 시작에 대한 의견은 아직도 분분하다. 공식적으로 한자는 5,000년 전 중국 ‘황제’의 사관이었던 '창힐' 이 새의 발자국을 보고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동이족의 문자라고도, 어느 한 민족이나 인물의 작품이 아닌 많은 민족들 ‘공동의 작품’이라고 하는 게 맞다 는 의견도 있다. 나 또한 후자의 의견에 무게를 두고 있는데 현대 한자의 가장 오래된 원형인 상나라 때의 갑골문의 문법이 중국의 문법과 알타이어의 문법이 혼용되고 있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한자의 탄생》의 저자 또한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문자는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변화하고 발전하여 형성된 것으로 하나의 시간대에 한 지역에서 한 사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 하며, 앞서 말한 갑골문 또한 중국에서 발견된 최초의 문자이기는 하나 이미 그 상태로 상당히 성숙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말한다.-p18- 나는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갑골문’을 접한 적이 있는데 바로《나는 동양사상을 믿지 않는다-김경일 저/바다 출판사》에서 였다. 이 책을 읽으며 현대 한자의 원형인 갑골문(거북이 껍질, 소와 가축의 뼈에 세긴 문자) 과 금문(청동에 조각하거나 주물로 세긴 문자) 에 대해 접한 적이 있어서 두 해석을 비교하며 아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은 현재의 한자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에세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한자들, 한자의 발전과정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한자들의 원형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인문학적인 눈으로 풀어냈다. 나는 학창시절 때도 한자나 한문과목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지금도 별로 큰 발전은 없지만 갑골문을 접하고 나서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그 과정이 굉장히 예술적이고 섬세하며, 직관적이었기 때문이다.


일단 글자보단 말이 먼저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말을 공유하는 시간이 흐르고 그들은 말을 표현하는 문자들을 만들어 냈을 것이다. 제일 먼저는 사물의 모양을 그림으로 본떴을 것이고(상형자), 다음에는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할 문자를 만들어 냈을 것이다(지사자). 그리고는 두 개 이상의 상형자나 지사자를 결합하여 더 많은 것들을 표현했고(회의자), 나아가 형태와 소리를 적절힌 합하여 새로운 뜻을 갖는(형성자) 문자를 만들어 냈을 것이다. 이 새로운 문자들을 만들기 어려울 땐 소리가 비슷한 문자를 빌려 쓰기도 하고(가차), 확장과 연상을 통해 새로운 의미와 사용 방식으로 확대되기도(전주) 했을 것이다. 한자는 바로 상형자(象形), 지사자(指事), 회의자(會意), 형성자(形聲) 순으로 발전되어 왔고, 가차(假借)와 전주(轉注)를 이용해 더 많은 문자들을 만들어 냈다. 이 책은 저자가 정확히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이 수순으로 서술되고 있다.


갑골문은 하나하나 예술적 감각과 표현력이 정말 뛰어나다. 앞선 언급한《나는 동양사상을 믿지 않는다-김경일 저/바다 출판사》에서 갑골문을 다룬 사람들은(정인貞人) 뛰어난 예술가이며 시각, 청각, 상상력, 외면의 자연계와 내면의 세계를 일상처럼 직관으로 드나들던 사람이라고 했다. 이런 사람들이 만들어 축척되고 발전되어온 문자를 들여다본다는 것은 바로 ‘그들의 정신세계와 삶, 문화’를 들여다보고 그들과 교감한다는 것이다. 그 문자들을 보면 그들이 먹고 입었던 것, 아이들을 대하는 마음에서부터 가까이 지내던 동물들과 사냥, 제도와 경제(돈), 끔찍한 풍습(노예나 살해), 정신적인 것 까지 새로운 것들을 알 수 있다. 설명을 보지 않고 어떤 뜻을 가진 문자인지 생각해 보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 될 것이고,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동서양의 철학이 만나는 지점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꼭 읽어보시라고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광석 포에버
구자형 지음 / 박하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김광석 포에버》




내가 사는 곳은 대구인데 얼마 전부터 명소로 떠오르고 있는 곳이 바로 ‘김광석’ 거리이다. 대구는 사실 뚜렷이 내세울 만 한 것이 별로 없는 도시다. 부산이나 인천처럼 바다가 있는 곳도 아니고 농업을 주로 하는 곳도 아니라 특별히 생산되는 것도 없다. 과거에는 섬유로 유명하였지만 그건 공업화 시대의 추억일 뿐이다. 이런 도시들이 관광객을 유치하는 방법이 있다면 바로 ‘문화’ 다. 대구는 그래서 뮤지컬 페스티벌을 열고 근대화 골목을 상품으로 내세웠는데 뮤지컬은 지역 뮤지컬을 육성하기 보단 수입 대형 뮤지컬을 주로 유치하였고, 근대화 골목은 일제 강점기의 치욕도 그럴싸하게 포장한 조금 이상한 장소가 되었다.


그러다 인디문화에 발 담근 어느 청년들의 노력으로 죽어가던 ‘방천시장’을 예술가의 터전으로 바꾸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언젠가는 사람이 미어터지던 재래시장이 대형 마트들의 등장으로 하나 둘 사라지는 시점에 사람들이 떠난 시장은 가난하지만 자유로운 예술가들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다. 거기에 ‘김광석’이 나타났다. 청년들은 거리에 김광석 그림을 그리고, 조형물을 만들고 김광석 가요제를 열며 순전히 그들의 힘으로 ‘김광석’을 다시 살려놓았다. 여기 방천시장은 ‘김광석’의 아버지가 번개전업사를 하던 곳이다. ‘김광석’은 여기에서 아주 짧은 어린 시절을 보낸 것이다.


내게 ‘김광석’은 실연의 아픔을 어루만져주고 노래의 꿈을 꾸게 해 준 사람이다. 이런 노래를 불러야지 생각하게 해준 멋진 사람. 마치 내 얘기를 하는 듯 다정하고 진솔한 노랫말, 웃을 때 깊이 파이는 눈가의 주름, 어눌하고 느릿느릿한 말투, 시대정신을 잃지 않은 젊은 이들의 상징. 그를 표현하는 말은 너무도 많다. 사람들에게 그를 추억하는 이유 또한 너무도 많을 것이지만 먼 길을 떠난 지 이미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그의 노래를 추억하는 이들이 이토록 많은 것은 어찌 보면 축복이지만 어찌 보면 우리가 누리는 문화가 이토록 가난함을 반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마음에 조금 슬프기도 하다.


이 책에는 그의 유년시절, 데뷔 초부터 96년 자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의 족적이 담겨있다. 생전 그와 인연이 있던 저자가 여기저기 사람들을 만나며 인터뷰한 내용과 자신과 김광석의 추억들, 팬들과의 일화나 선후배 가수들과의 이야기들도 담겨있다. 마지막에는 그의 연보가 아주 상세하게 나와 있고 중간 중간엔 그의 사진들도 흑백으로 담겨있다. 누군가에게는 또 김광석이야? 할 수도 있겠지만 나처럼 그를 추억하는 이들에겐 아주 소중한 선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김광석 같은 가수를 또 기대할 수 있을까? 세대를 초월한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그런 가수를 만나기는 더 이상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그래서 그를 더 놓지 못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