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레타리아(proletariat)라는 어원은 고대 로마 시대에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즉 생산수단과 분리된) '가난한 자유민'을 뜻했던 라틴어 'proletari'에서 유래한다.

반면 노동자(勞動者 -labor worker)는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고, 이를 댓가로 임금을 받는 직업에 종사하는 자를 의미한다.

프롤레타리아 (이하 pt) = 노동자라는 등식은, 노동자=프롤레타리아 라는 등식과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자본론의 상대적 가치형태에서 이러한 등식의 차이를 강조하는 이유가 있다!)

pt는 노동자이다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pt의 재생산은 노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생산수단과 유리된 계급. 그들은 살아가기 위해서는 임금노동 이외에는 선택할 수 없다.

그러나 노동자는 pt이다 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고, 이를 댓가로 임금을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자가 아니라,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는 댓가로 임금을 받는 직업에 종사하는 자이다. (자본주의의 양극화 테제도 있지만, 결국에 끝끝내 살아남은 소부르들.)

사실 그렇게 따지만, 이건희도 삼성에서 '페이'를 받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라 할 수 있지 않는가. (이건희의 '노동'이 과연 어떠한가는 차치하고, 출퇴근과 뭐 비슷한 것을 할 것이다.)

이건희 같은 오너-자본가가 '임금'을 받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라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삼성전자 사장은 분명 노동자이다.

그러나 이들이 pt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들은 수십억, 수백억대 자산가로 그들의 자산(자본)을 바탕으로 이윤을 얻고 있기 때문에 분명 자본가이다.

즉 노동자이면서 자본가일 수 있다. 노동자이면서 bg일 수 있다.

 

그럼에도 노동자=pt, pt=노동자 임을 강조하는 것. 용어를 전유하려는 시도는 분명 계급적, 정치적 목적(효과) 때문일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용어를 정의한 후에 따지는 것은 순전 스콜라적 관심일 수 있다.

결국 정치가, '우리편'의 이익을 달성하는 것이라 할 때, 일정한 경계를 짓고 '우리편'을 '우리'에게 설득시켜서 이를 기반으로 정치적 세를 결집하는 것이라면.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고 할 때. 삼성전자 사장진이 와서 우리도 노동자여~ 라고 하는 것.

맑스와 엥겔스가 '모든 인류는 형제다'라는 테제를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로 바꾼 것은 분명 정치적 의미가 있기 때문일 터이다.

그래서 노동자=pt, pt=노동자로 개념을 전유하고자 하는 목적과 의도가 있다. 용어의 재정의.

노동자는 바로 pt고 pt는 노동자라고 하는 것.

생각해 보자. 우리가 만국의 '무산자/pt'여 단결하라 라고 했을 때의 효과와,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의 의미효과는 분명 다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 2007-02-27 0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언>에 있는 규정은 '프롤레타리아트, 즉 현대 노동자 계급'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문구도 아시다시피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죠. 기인님의 말씀은 '노동자=pt'론은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것일 뿐(마르크스의 의도인가요?) 둘은 구별되어야 한다, 인가요?..

기인 2007-02-27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pt를 노동자의 의미로 쓰는 것 또는 노동자를 pt의 의미로 쓰는 것 모두,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것이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를 혼용하면서(혹은 개념을 전유하면서) 이것이 일치하는 범주처럼 말하거나 정의하는 것의 배후에는 그런 의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인 2007-02-27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국의 '무산자'여 단결하라, 라고 하면서 만국의 '노동자'를 호명하고 있는 것. 맑스 시대와 지금 시대의 효과는 조금 차이는 있겠지만, 본질적으로는 같다고 생각합니다. 무산자는 재산이 있고 없고, 생산수단, 자본의 유무의 문제고, 노동자는 직업의 문제이고 물론 이 둘은 연관성이 있지만, 다른 범주인 것은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pt와 노동자라고 하는 것보다, 무산자와 노동자라고 하면 그것이 잘 드러난다고 생각합니다.

기인 2007-02-27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노동귀족'과 같은 조금은 극단적인 형태를 고려하지 않아도, 무산자이지 않은 노동자를 상정할 수는 있고, 실제 현실에서도 그런 사람들이 없지 않지요. 계급이 '생산수단'의 소유여부라고 했을 때도 조금 문제가 있는게, 그렇다면 '부르주아'라는 것은 임금노동을 하고 있건 아니건, 자신의 현재 '재산'으로 재생산을 할 수 있는 사람. 이라고 정의해야 할지. 아니면 어떤 식으로든 노동이 아닌, 자본의 이윤을 통해 이득을 얻는 사람으로 할 지. 등의 문제 때문에 이도 저도 아닌 '소부르'라는 계급이 상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모두 제하고 '무산자'들만을 호명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양극화로 인해 너희들도 '무산자화'하고 있거나 되어가는 과정의 지연에 불과할 뿐이니까 무산자=노동자, 노동자=무산자 임으로, 만국의 무산자=노동자, 노동자=무산자여 단결하라는 것이 논리적 배경이 아닐까요?

기인 2007-02-27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보면, 무산자의 현실태와 가능태(자본주의 내에서의 필연태?) 합이 노동자 vs 유산자가 되겠네요.

에로이카 2007-03-01 0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인님, 안녕하세요.. ^^ 이진경의 <자본을 넘어선 자본>의 한 부분이 도움이 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에 이진경이 임노동자 계급과 프롤레타리아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를 다루는 부분이 있어요 (235쪽 이후, 혹시 관심 있거든 보시고, 책이 없다면 제가 밑줄긋기 해놓은 게 있으니 한번 찾아보세요..). 저는 사실 이진경이 "이 시대의 프롤레타리아(소수자 / 비-계급)는 이 시대의 부르주아지(다수자 / 계급)를 뺀 전부다"라는 주장이 별로 말해주는 것도 없고, 이래저래 문제도 많게 들려서 별로 수긍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 책 240-1쪽을 보면 발리바르가 맑스가 <자본>에서 어떻게 프롤레타리아와 임노동자계급을 구분해서 썼는가를 설명하는 부분이 나와요. 프롤레타리아트는 기인님께서 아시는 바대로 무산자입니다. 하트와 네그리는 Vogelfrei라고 부르고요...

제 생각에 님께서 혼란스러워 하시는 지점은 "1848년 당시 혁명적 시국에서 정치적 팸플렛이었던 <공산주의 선언>에서 접합되어 동일시되었던 프롤레타리아와 임노동자가 과연 오늘날에도 동일시될 수 있는가?" 하는 지점인 것 같아요.. 맞나요? ^^ "부르주아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에 포섭된 임노동자는 프롤레타리아가 아니다" 라는 것이 이진경의 입장이고, 저는 잘은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당시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나 가능했던 현실적 접합 (혹은 정치적 구성)을 과연 이 시기에 쓸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입니다. 거기에도 어떤 지혜가 있겠지만, 21세기의 현실을 19세기의 언어로 재단하기에는 무리입니다. 쫌 심하게 말하면, 불행히도 "우리의 언어"가 존재하지 않는 이 시대 좌파들의 관성이고 사대주의입니다.

이건 그냥 제 짧은 생각이니 괘념치 마세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인 2007-03-01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옷 에로이카님 안녕하세요. :) 흠 사실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라기 보다는, 무산자=임노동자라고 호명하는 배후에는 정치적 의도성(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임노동자와 무산자는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요.
사실 '프롤레타리아'와 '무산자'도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혁명적 주체성의 여부로 나뉠 수도 있습니다. 즉 대자적 계급으로서, 정치적 계급으로서의 pt와 즉자적 계급으로서의 무산자로요.
에로이카님 말씀처럼 임노동자=무산자라고 호명했던 당대 정치적, 이론적 배경이 물론 있었고, 지금도 그게 통용될 지는 정말 미지수입니다. ㅋ 그러니까 공부해야 되는 것이겠지요.
요즘은 조합주의에 관심이 많은데. 베네주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전망으로 삼을 수 있을지. 관심만 갖고 있는 수준입니다. 빨리 이 부분을 공부하고 싶어욧!
(현실에 억매인 -_-;;; ) 어쨌든 좋은 지적해주셔서, 페이퍼로 따로 정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