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레니엄 3 - 상 - 바람치는 궁전의 여왕 ㅣ 밀레니엄 (아르테) 3
스티그 라르손 지음, 박현용 옮김 / 아르테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밀레니엄> 3부를 읽었다. 저자는 3부 원고를 출판사에 넘긴 후 심장마비로 급사했다고 한다. 문득 갑작스런 죽음에 의문이 생긴다. 우리가 모르는 음모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밀레니엄>은 우리를 스웨덴이라는 나라로 초대한다. 살인, 강도, 강간, 비리, 음모 등 사회의 어둔 면을 파헤쳐댄다. 주인공 미카엘 블롬크비스트는 <밀레니엄>잡지사 기자로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 사건(1부, 2부에서 나옴)을 취재하여 유명해졌고 그 때문에 위험에 처하기도 한다. 실명과 실제 사건이 적절히 가미된 소설이라 꽤 현실감이 느껴진다. 어디까지 진실인지 모르겠지만 이 소설 때문에 저자가 죽었다는 음모론도 상상 가능하지 않을까?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심장마비를 일으켰는지 알 길이 없으니 자꾸 상상의 꼬리를 물게 된다.
3부에서 본격적으로 국가비밀경찰 ‘섹션’의 온갖 범행이 만천하에 드러난다. 1부와 2부에 비해서 다소 긴장감은 떨어지지만 사건의 흐름은 흥미진진하다. 무엇보다도 <밀레니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리스베트 살라나데르의 복수가 펼쳐진다는 점이 통쾌하다. 그녀는 무척 특별한 존재다. 강인한 정신력과 천재적인 두뇌로 절대 불가능할 것 같은 일들을 해낸다. 국가라는 거대한 골리앗에 맞서 홀로 투쟁해온 그녀의 용기가 놀랍다. 진정한 밀레니엄의 영웅이다. 아쉬운 건 앞으로 그녀의 활약을 볼 수 없다는 점이다.
밀레니엄 4부가 나왔다면 리스베트는 희생자, 피해자가 아닌 당당한 해결사로 등장했을 것이다. 또한 한 번도 등장한 적 없는 그녀의 쌍둥이 자매 카밀라의 이야기가 나왔을지도 모른다. 처음에는 리스베트 자체가 신비로운 인물이었는데 마지막에는 카밀라의 존재가 더욱 궁금증을 유발한다. 더 이상 알 수 없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미카엘은 ‘슈퍼 블롬크비스트’라고 불릴 만큼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다. 거기다가 여자들에게는 거부할 수 없는 치명적인 매력(이건 소설에서 묘사한)을 지녔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여인을 만난다. 완전 스웨덴의 007 제임스 본드다. 남자들이 꿈꾸는 인물이랄까.
영화나 소설 속에서는 멋진 주인공이지만 현실에서는 나이든 바람둥이? 솔직히 리스베트와 어울리는 젊은 남자였다면 좋았을 텐데 저자가 너무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것 같다. 나이 들어도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 특히 그렇다. 소설 속 로맨스는 우리 정서와는 사뭇 다르다. 내용상 그리 주목할 것이 없으니 그냥 넘어가야겠다.
다만 리스베트가 사건이 해결되고도 행복을 찾지 못한 것 같아 마음 아프다. 투쟁할 때는 당찬 그녀가 자유를 얻은 뒤에 방황하는 모습을 보니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사랑이라는 뻔한 생각이 든다.
짧은 인생 아낌없이 사랑하며 살자.
잠 못 이루는 밤에는 <밀레니엄>을 읽자.
세상을 살면서 돈이 없으면 많이 불편하지만
사랑이 없으면 엄청 불행하다는 걸 알게 될 테니…….
-------------------------------------------------------------------------------------------------------------------
2009년 <밀레니엄 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영화로 개봉되었다고 하여 찾아봤다.
네이버 참조,
무섭게 째려보는 여인이 리스베트일 것이고
그럼 뒤에 앉은 아저씨가 미카엘? 음, 스웨덴에서는 이 분이 미남 배우구나.
영화로는 어떻게 그려졌을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