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도시 ㅣ SG컬렉션 1
정명섭 지음 / Storehouse / 2020년 11월
평점 :

"개성 공단은 북한 땅에 있고, 대한민국의 자본으로 세워졌다. 하지만 이곳에서 유통되는 돈은 원화나 북한 돈이 아닌 미국 달러였다."
가끔 분명 소설을 읽는 중인데 영화를 보는 것처럼 선명하게 그려지는 때가 있다. 흔히 '페이지 터너'라 불리며 다음 장을 궁금하게 만드는 마성의 소설이 오랜만에 나를 찾아왔다. 얼마 전 정명섭 작가의 강연을 들으면서 추리와 살인이라는 흥미로운 소재에 발을 들였던 나. 역사 추리 소설을 많이 써온 작가지만 우리와 멀지 않은 개성공단을 소재로 한 이번 신작에 관심이 가는 건 당연지사다.
《제3도시》는 개성공단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외삼촌 원종대는 공장의 물건을 누군가가 빼돌려 골치를 앓고 있다. 이에 전직 헌병 수사대였던 강민규를 찾아 사건을 의뢰한다. 강민규는 CCTV를 설치하거나 의심 가는 사람을 불러 수사하면 되지 않냐고 쉽게 말했지만 작은 북한인 개성공단에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우리나라 자본이 들어가 있지만 '개성공단 증후군'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그곳에 가면 답답함과 두통 등을 앓는 이가 많았다.
이에 원종대는 위장취업해 직접 사건을 해결해 주길 간곡히 부탁하고, 묻고 더블로 가도 되는 금액 앞에 위험부담이 크지만 강민규는 승낙한다. 일은 술술 진행되는 듯 보였다. 원종대는 직원들에게 민규를 소개하고 잘 지낼 것을 말하지만, 그 민규를 받아들이지 않는 경직된 분위기가 팽배하다. 사람들의 의심과 적개심을 뒤로하고 사건을 수사하던 중 살인 사건이 벌어지고, 소설은 급 반전을 맞이한다.
그 과정에서 민규는 범인으로 몰리고, 억울함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사건을 해결해야 만한다. 시간은 단 사흘, 그 안에 담판 지어야 하는 민규는 애가 닳는다. 제한되고 삼엄한 특수 상황 속에서 무죄를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이 숨 막히게 돌아간다. 살해당한 사람은 한국 사람이지만 혹시 자신들에게 해가 될까 입을 꾹 다문 개성공단 사람들의 답답함이 솔직히 기록되어 있다.
무엇보다 소설이 흥미진진했던 것은 잘 다뤄지지 않는 영역 '개성공단'에 마치 다녀온 듯 선연한 모습이다. 정명섭 작가가 직접 다녀왔다고 해도 믿을 정도로 사전 조사를 철저히 했다는 게 느껴졌다. 또한 위에서 찍어 누르는 숨 막히는 북한 체제 안에서도 본성은 드러나며, 삶이 진행되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었다. 살인이란 인간의 말초적인 욕망이다. 겉으로 보이는 바, 평등한 북학의 사회주의 체제가 진작 썩었음을 모두가 알고 있다. 소설은 서울에서 자동차로 1시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 작은 북한의 폐쇄성과 파주 전력망을 쓰고, 달러를 화폐로 쓴다는 말로 가깝고도 먼 북한의 아이러니를 대변한다.
*본 도서는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인 의견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