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사람의 감정은 누가 더 잘 읽을까?

 

 

 

 

 

 

 

누리 : 스승님, 행복을 잘 느끼는 사람이 사람의 표정이나 감정을 잘 읽을까요?

스승 : 그것은 사람의 표정을 잘 읽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만이 더 잘 읽을 수 있지 않을까? 눈치를 잘 보는 사람이 센스도 있겠지.

누리 : 서로 중에 대화는 누가 잘 될까요?

스승 : 그것은 호응을 잘하는 사람이 대화를 잘하겠지. 내향하고 외향하고는 아무 상관없을 것 같은데.

누리 : 내향은 호응에 약하지 않을까요?

스승 : 표현력을 잘하고 못하고는 자신의 노력하고 상관있겠지! 많은 사람에게 표현력을 잘하는 것은 물론 외향적인 성향이 그런 점에 낫겠지만 일대일에는 오히려 내향이 더 나을 수도 있단다. 그래서 대중에게는 외향적인 성향이 인기를 얻겠지만 지인에게는 내향적인 성향이 더 인기를 얻을 수도 있어.

 

 

누리 : 그건 왜죠?

스승 : 내향은 한 번 생각하고 말을 하니까 상대방에게 도움이 될 만한 질문과 답을 줄 수도 있어! 물론 호응은 외향이 잘할 수도 있지만 정작 궁금해 하는 질문과 답은 생각을 한 번 하고 내뱉는 내향이 더 나을 수도 있다는 거지. 각각 장단점이 있단다. 상담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내향적인 사람도 꽤나 있는 것도 상대방이 원하는 요점을 한 번 생각하고 말하는 능력 때문에 잘 짚어내니까.

누리 : 서로 장단점이 다 있군요.

스승 : 고민을 술술 끌어내는 것은 외향의 호응! 족집게처럼 잘 짚어주는 것은 내향의 직관력! 한 번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말하는 점, 그러니까 외향과 내향의 두 가지를 합쳐야 하는 거지! 잘 들어주는 경청은 내향적인 사람! 말 잘하고, 표현 잘하는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

 

 

누리 : 어느 게 딱히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저마다 장단점이 다 있군요.

스승 : 그렇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안 되고, 둘 다를 조화롭게 섞어야지 대화를 잘하는 사람이 된단다.

누리 : 근데 영화에 보면 내향적인 사람이 이상한 역할로 나오는데 그런 것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스승 : 나도 그런 영화 때문에 내향적인 사람을 싸잡아서 이상한 성격으로 봐주는 것은 아닐까 생각을 했는데 그런 공포영화 때문에 내향적인 사람이 피해를 입는 것으로 보이더구나.

 

 

누리 : 외향적인 성격의 사람을 다룬 영화는 별로 그런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왜 내향적인 사람이 그런 식으로 비추어지는 것은 눈에 크게 들어올까요?

스승 : 조용한 사람이 화를 내면 무섭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누리 : 글쎄요, 조용한 사람이 화를 내면 더 무섭다는 이야기는 들었어요.

스승 : 화를 잘 내는 사람이 화를 내면 무섭니?

누리 : 처음 보면 무섭겠지만 자주 보면 안 무서울 것 같아요.

 

 

스승 : 화를 매일 내는 사람을 보면 저 사람은 원래 그래라고 생각을 해서 별로 무섭지 않게 보는 경향이 있지만 화를 안 내는 사람이 화를 내면 무섭게 느껴지지! 그것은 화를 내는 모습을 거의 못 봤기에 그런 거란다. 날마다 화를 내는 사람은 안 무서워. 그리고 화내면 안 무서운 사람이 어디 있니? 그런 것도 자주 보면 내성이 생겨서 별로 안 무섭게 느껴지는 거지.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4. 누가 우울함을 더 많이 느낄까?

 

스승 : 그러면 여기서 문제 하나 더 낼게! 누가 우울함을 더 많이 느낄까?

누리 : 혼자 있는 내향적인 사람이 우울함을 더 많이 느끼겠죠.

스승 : 그럴 거라고 생각을 했지! 그런데 의외로 외향적인 사람이 더 우울함을 많이 느낀단다.

누리 : 그렇게 말씀하시는 이유는요?

스승 : 내향인은 혼자 있는 시간에 익숙해있고, 그런 것을 좋아해서 외롭거나 심심한 것을 덜 느끼니까.

 

 

누리 : 심심한 것과 우울함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스승 : 외향적인 사람은 함께 있다가 혼자 있으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심심해지고, 우울하게 느껴지기도 하겠지! 결국 함께 있다가 혼자가 되면 상대적으로 우울함을 느끼는 거란다.

누리 : 상대적으로 그렇게 느낀다는 말씀인가요?

스승 : 화려함이 클수록 더욱더 쓸쓸함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지!

누리 : 그럼 외톨이와 아웃사이더는 뭐가 다르죠?

 

 

스승 : 외톨이는 대인관계에서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 경우이고, 아웃사이더는 자신의 꿈과 하고 싶은 일이 있어서 혼자서 그 행복을 즐기고 싶어서 스스로가 대인관계에서 오는 즐거움보다 자기계발을 하는 데에 더 관심을 갖는 거지! 아웃사이더는 자신이 사귀고 싶은 사람은 먼저 다가가지 절대 대인관계에서 아웃된 사람은 아니란다.

누리 : 아, 그렇군요! 혼자 있는 시간에 익숙한 사람은 심심하지도 덜 우울할 수도 있고, 자신이 혼자서 즐길 수 있는 일이 많이 준비되어 있지만 함께 어울리던 사람은 혼자 있는 시간에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잘 알지 못해서 상대적으로 심심하게도 느끼고, 우울하게도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3. 행복을 더 많이 느끼는 성향 vs 우울에 강한 성향

 

스승 : 내가 내향적인 부분에 좀 더 많이 치우쳐서 이야기하는 이유가 있지!

누리 : 그거야 저한테 용기를 주기 위해서 그런 것이 아닙니까?

스승 : 그런 부분도 있지만 내향적인 장점은 거의 말을 하는 사람이 없어서 외향적인 사람이 아니면 죄인처럼 사는 사람도 많이 있다는 것을 알고서 이렇게 내향적인 성향에 대해서 자신감을 주는 말을 많이 하는 거란다. 한 가지 더 내향인의 장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마.

 

누리 : 네, 저는 오히려 용기가 생기니까 감사하죠!

스승 : 누가 더 행복을 많이 느낄까?

누리 : 아무래도 친구가 많이 있으면 더 많이 행복을 느끼지 않을까요?

스승 : 그러면 너는 안 행복하니?

누리 : 저는 깊은 교류에서 행복을 느낍니다.

스승 : 이것도 나의 생각인데 행복은 내향적인 부분이 있는 사람이 더 행복을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누리 : 그건 또 왜 그런가요?

스승 : 행복은 찾는 걸까? 느끼는 걸까?

누리 : 보이지 않는 행복을 찾으러 다니기는 좀 그렇고, 행복한 느낌은 있어도 행복을 찾는다는 표현은 좀 어색하네요.

스승 : 그렇지,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느끼는 거란다.

누리 : 그렇게 정리를 할게요. 행복은 찾는 게 아니라 느끼는 것!

 

 

스승 : 그러면 행복은 어디 있을까? 내 안과 내 바깥 중에 행복은 어디 있을까?

누리 : 둘 다가 아닐까요? 밖에도 있고, 안에도 있고요.

스승 : 밖은 친구나 사람과의 관계! 안은 내 속에 있는 행복! 그러면 어디서 행복을 찾는 것이 빠를까?

누리 : 제 속에서 행복을 찾는 게 더 빠르겠죠.

스승 : 그것은 왜 그렇게 생각하느냐?

누리 : 남은 저한테 제가 좋아하고 행복해할 만한 소리를 잘 안 해줘요.

 

 

스승 : 네가 행복해하는 소리는 어떤 것이 있는데?

누리 : 칭찬이나 저의 장점, 그리고 저의 자랑 역시 남들이 잘해주지 않는 것들이네요.

스승 : 그러면 네 안에 행복은 무엇이 있을까?

누리 : 제가 하고 싶은 것! 취미, 영화관람, 독서, 운동 등 제가 이야기하고 나서 생각해보니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도 스스로 행복할 수 있는 것도 있군요.

스승 : 그렇지, 남이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보다 내가 나 스스로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훨씬 빠를 것이다.

 

 

누리 : 남이 저를 행복하게 만들어주지 않으면 괜히 우울함을 느낄 것 같아요.

스승 : 누구한테 기대는 행복 자체가 우울하지 않을까? 내가 스스로 만드는 행복은 내가 행복의 주인공이지만 남이 만들어주는 행복은 내가 주인공이 아니라 그 사람이 행복을 만드는 주인공이잖아! 너도 행복의 주인공이 되렴.

누리 : 그러게요! 저도 그러고 싶습니다.

 

 

스승 : 그러나 내향적인 사람은 행복을 안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지! 외향적인 사람은 행복을 사람에게서 찾으려고 하고 말이야. 그래서 대인관계에 투자를 많이 하지만 결국 알짜배기 행복은 내 속에 있다는 것을 나중에 뒤늦게 알게 된단다. 내 속에서 나오는 행복이 아니면 남의 행복에 기대어서 행복을 얻는 것밖에 안 되니까.

누리 : 남이 저한테 행복을 줄 때만 비로소 행복을 느끼게 되면 왠지 제 삶이 우울할 것 같아요.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2. 부부가 원수가 되는 이유?

 

스승 : 부부는 왜 원수가 될까?

누리 : 그거야 너무 성격이 안 맞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스승 : 만약에 너라면 성격이 안 맞는 사람인 것을 알고도 결혼을 할까?

누리 : 절대 그렇게는 못하죠. 원수가 될 줄 알았으면 죽어도 결혼을 안 하죠.

스승 : 처음에는 둘 다 좋아서, 성격적으로도 아주 잘 맞아서 결혼을 했는데 무엇이 그렇게 원수로 변화를 하도록 만들었을까?

 

누리 : 그게 바로 상황인가요?

스승 : 환경이 그렇게 만든 것이지! 둘 다 아이를 안 돌보고 밖으로 나가서 돈을 벌면, 그리고 둘 다 똑같은 사람이면 가정이 붕괴되고 유지가 되지 않으니까 어느 한 사람은 변화를 해야지! 이혼을 안 하고 자녀의 행복을 지켜줄 수 있으니까 변화를 하는 거지. 원수가 되어도 쉽게 헤어지지 않는 것도 서로가 없어서는 안 되는 꼭 필요한 변화를 가져와서이겠지.

누리 : 행복하고 좋아서 떨어져서는 도저히 못살 것 같아서 함께 살았는데 서로 원수가 된다니 많이 의아했습니다.

 

스승 :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반대를 하고 태클을 걸다보니까 상대편 입장에서는 자신을 너무 이해를 못해준다고 서운한 마음이 켜켜이 드니 원수도 이런 원수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 그러나 자식을 위해서 원수가 되더라도 싸우는 거란다. 그 당시에는 서운해도 지나고 나면 사실은 다 맞는 말이거든. 그런데도 그때는 속 뒤집히는 소리로 사람 염장을 지르니까 원수가 되는 거지.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1. 내향과 외향의 비율

 

누리 : 외향과 내향은 어느 정도의 비율이 가장 좋을까요?

스승 : 딱히 정해진 것은 없어! 그러나 굳이 비율로 따지자면 반반이 가장 좋을 것 같은데.

누리 : 50 대 50이요?

스승 : 그렇게 딱 맞게 비율이 나온 사람은 거의 없고 60 대 40하고 70 대 30도 좋은 성향의 비율인 것 같다.

누리 : 외향이 높은 건가요?

스승 : 외향이던 내향이던 60이면 나머지는 다른 성향이 있어야 세상을 살아가는데 좋을 것 같단다. 누리야, 너는 내향적인 사람이니?

누리 : 아뇨! 어떤 부분은 내향적인 부분이 있고, 어떤 부분은 외향적인 부분이 혼합된 것 같아요.

 

 

스승 : 맞아, 그게 정답이다! 어느 부분은 외향 또는 내향이 있는 거지! 그 단면만 보고 너는 외향적 또는 내향적이라고 분류하는 것은 잘못된 큰 오류란다.

누리 : 그런데 무엇이 저를 외향과 내향적인 부분을 두드러지게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스승 : 너는 항상 내향적인 부분이 많으냐?

누리 : 그것이 참 이상해요! 저보다 더 내향적인 부분이 많이 있는 사람을 만나면 제가 더 외향적으로 변화를 합니다.

 

 

스승 : 그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라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누리 : 저의 성격이 외향에서 내향으로 왔다 갔다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요?

스승 : 그래, 성향은 상황과 환경, 그리고 상대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왔다 갔다 할 수가 있단다.

누리 : 절대불변의 법칙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변화를 한다는 거군요.

 

스승 : 만약에 두 명의 외향적인 사람이 만나면 둘 다 외향적일까?

누리 : 그럴 것 같은데, 아닌가요?

스승 : 더 강한 외향적인 사람 때문에 한 명의 외향적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내향적으로 변화를 한단다.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