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오후 네시 ㅣ 블루 컬렉션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11월
평점 :
한 편의 소설은 이따금 현실에선 맞닥뜨릴 수 없는 가슴 답답함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스토리의 진행이나 결말을 내 마음대로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니 그럴 때는 정말이지 곁에 있는 가까운 사람에게라도 화풀이를 하여 속에 있는 응어리를 시원하게 풀어버리고 싶은 심정이 절로 드는 것이다. 물론 그래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소설을 쓰는 작가는 답답한 독자들의 마음에는 영 관심이 없다는 둥 풀어줄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답답한 것은 오직 독자의 몫으로만 남을 뿐이다. 그렇다고 기껏 읽던 책을 결말도 알지 못한 채 내팽개칠 수도 없는 노릇이니 진퇴양난이란 말은 이럴 때 쓰는 말일 게다.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 <오후 네시>는 책을 읽는 독자들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답답함에 나도 모르게 가슴을 치게 되는 그런 소설이다. 이야기는 은퇴한 노부부가 꿈에 그리던 자신들만의 집을 갖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제 그들은 혼잡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호젓한 시골 생활을 즐기며 행복한 노후를 보낼 생각에 마냥 들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사한 집에서 가까운 단 하나뿐인 이웃인 팔라메드 베르나르댕 씨가 방문한다. 의사 출신이라는 그의 방문을 부부는 반갑게 맞이한다. 그러나 그 이웃은 첫 방문 이후 매일 같은 시각에 찾아와 두 시간 동안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안락의자에 꼼짝 않고 앉아 있다가 돌아가곤 했다. 그는 이제 불청객의 수준을 넘어 부부의 평화와 안식을 깨트리는 공포의 대상으로 변하고 말았다.
"사람들은 세월이 느리게 간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온 세상 사람들이 세월이 빨리 간다고 떠들어 댄다. 그것은 거짓말이다. 그해 1월만큼 그 말이 틀렸던 적도 없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하루에는 각 시간대별로 독특한 리듬이 있었다. 저녁나절은 길고 안온했고, 아침나절은 짧고 희망에 넘쳤다. 오후의 초반에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고통이 시시각각 심해져서 현기증이 날 정도였다. 그리고 4시가 되면 시간은 진창 속에 처박히는 것이었다." (p.85~p.86)
부부는 이제 불청객으로 변한 베르나르댕 씨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별별 수단을 다 강구한다. 베르나르댕 씨가 올 시간에 맞춰 집을 비운 채 산책을 나가기도 하고, 베르나르댕 씨가 듣건 말건 지루한 이야기로 대화를 이끌어 머무르는 시간이 고통스럽도록 유도하기도 하고, 저녁 식사에 베르나르댕 씨 부부를 함께 초대하기도 하고, 자신이 가르쳤던 옛 제자의 방문을 흔쾌히 허락하기도 한다. 그러나 백약이 무효였다. 베르나르댕 씨를 떼어내려 하면 할수록 자신에 대한 자각과 함께 자존감의 하락이 몰려왔다.
"나는 일개 시골 고등학교 교사로 40년 동안 세상이 경원하는 사어(死語)를 가르쳤고, 찬란한 원칙이라는 미명하에 아내에게 평범한 즐거움들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런 생활에서 내가 얻어 낸 자그마한 이점, 다시 말해서 재능 있는 학생의 진심 어린 경탄의 감정은 이제 더 이상 내 것이 아니었다. 그 젊은 처녀의 눈빛에서 나를 가엾은 늙은이로 여기고 있다는 사실을 읽었던 것이다." (p.141)
주인공은 결국 다시는 방문하지 말아 달라는 경고를 베르나르댕 씨에게 하게 되지만 소심한 성격의 주인공 역시 그날 이후 이유도 알 수 없는 불면증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이웃집 남자의 자살 시도 장면을 목격한 주인공은 그를 구해 낸다. 공포의 대상이자 미움의 대상이었던 이웃집 남자의 자살을 못 본 척 넘길 수도 있었는데 그를 구해 준 의미를 주인공 본인도 납득할 수가 없었다. 그에 대한 질문은 이제 나는 누구인가, 인간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원적인 질문으로 확대되는데...
"오늘은 눈이 내린다 1년 전 이곳으로 이사 온 그날처럼. 나는 떨어지는 눈송이를 바라본다. <눈이 녹으면, 그 흰빛은 어디로 가는가?>라고 셰익스피어는 묻고 있다. 그 이상 위대한 질문이 어디 있으랴. 나의 흰색은 녹아 버렸고 아무도 그것을 눈치채지 못했다. 두 달 전 여기 앉아 있었을 때, 나는 내가 어떤 인간인지 알고 있었다. 아무런 삶의 흔적도 남기지 않은,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가르쳐 온 일개 교사라는 것을. 지금 나는 눈을 바라본다. 눈 역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녹으리라. 하지만 이제 나는 눈이 규정할 수 없는 존재임을 깨닫는다. 나는 내가 어떤 인간인지 더 이상 알지 못한다." (p.217)
내 주변에도 은퇴 후 전원생활을 즐기겠노라는 선언과 함께 시골에 집을 짓고 귀촌을 했던 지인들이 몇몇 있다. 그러나 그들 중 90% 이상의 사람들이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도시로 복귀하고 말았다. 금전적 손해를 감수하면서 복귀를 단행하게 된 구체적인 원인이야 알 수 없겠지만, 시골 원주민들과의 갈등이나 평생 길들여진 도시 생활의 패턴을 버리지 못한 게 주된 이유 중 하나였음은 물론이다.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타자는 공포의 대상이거나 기피하고픈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그것은 만남의 횟수나 물리적 근접만으로 해결될 문제는 결코 아니다. 결국 우리는 매일 만나고는 있지만 상상 속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살인을 꾀하는 어떤 대상과 섞여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 <오후 네시>의 주인공 에밀과 베르나르댕 씨가 그랬던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