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의 역사 - 천년의 제국, 동서양이 충돌하는 문명의 용광로에 세운 그리스도교 세계의 정점 더숲히스토리 2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 지음, 최하늘 옮김 / 더숲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출판사에서 앞서 나온 “바벨론의 역사”가 꽤 흥미로웠다. 처음에는 도서관에서 빌려봤다가 결국 지금은 집 책장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워낙에 오래된 나라이기도 해서 제대로 그 역사를 설명하는 책을 만나기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괜찮은 책이었다. 그리고 내친 김에 같은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이 책 “비잔티움의 역사”도 데려왔다.


기본적으로 이 시리즈는 개론서다. 사실 족히 수 백 년이 넘는 역사를 책 한 권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는 건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고, 또 그렇게 썼다고 해서 어려워서 어지간한 사람들은 손에 들지 않을 지도 모른다. 이런 차원에서 개론서는 분명 필요한 책이다. 특히 역사 분야 같은 건 좀 더 쉽게 접근해서 그 중 흥미를 발견할 수 있는 책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문제는 역시 또 개론서라는 데 있었다. 말했지만 개론서란 그 분야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을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반대로 그 분야에 대해 어느 정도 선지식이 있다면, 개론서는 좀 시시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장르다. 정확히 내 경우가 그랬다.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만들면서도 이 부분에 대해 여기저기를 찾아보며 정리한 상황이기에, 적어도 책에서 간략히 서술된 내용보다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물론 이름에서부터 그리스 출신임을 물씬 드러내고 있는 저자가 쓴 이 책이 평범하다거나, 어디서든 찾아볼 수 있는 그런 내용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비잔티움 사회사에 대한 다양한 최신 연구 결과가 곳곳에 실려 있고(물론 그 분량이 많지는 않지만), 몇몇 포인트에서는 꽤 새로운 관점을 얻기도 했으니까.





책에서 다루고 있는 “비잔티움”이란 동로마제국을 말한다. 한 때 지중해를 둘러싼 세계 전체를 지배하던 로마제국은, 시간이 흐르면서 내부적 문제와 외부적 요인들이 겹치며 점차 힘을 잃어 간다. 결국 제국의 방위를 위해 몇 명의 “황제들이” 동시에 자신이 맡은 구역을 방위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고, 이게 공식화된 것이 동서 로마의 분리다(물론 이 때도 공식적으로는 동등했으나, 상대적으로 동쪽의 황제가 서쪽에 비해 우위에 있는 느낌이었다). 이 때 동로마 제국은 비잔티움 제국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명칭 자체는 16세기에나 사용되기 시작했으니 적절한 이름은 아닐 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동서 로마의 분리는 테오도시우스 1세가 죽은 후 그의 두 아들이 나라를 나눠 상속한 395년을 보통 기점으로 보고, 동쪽을 상속받은 아르카디우스를 동로마제국의 첫 황제라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은데, 이 책의 저자는 비잔티움 제국의 첫 황제를 콘스탄티누스 1세로 설명한다(의외로 학자들은 자기가 연구하는 분야의 역사의 시작을 한참 과거로 밀어 올리는 데 꽤 많은 공을 들이곤 한다). 역시 그 주된 이유는 콘스탄티누스가 제국의 수도를 (동로마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겼기 때문.


책은 그렇게 콘스탄티누스 1세부터 오스만 제국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될 때까지의 역사를 쭉 훑어간다. 다만 많은 서술이 단지 황제의 교체와 정치적 투쟁을 중심으로 하지만, 이 책의 경우 당대의 경제적 상황, 제도의 변화가 보여주는 사회적 상황 등에도 나름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사실 이 부분이 이 책이 갖는 고유의 가치다).





전체적으로 복잡한 동로마제국의 역사를 한눈(300페이지를 한 눈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에 조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괜찮은 개론서다. 하지만 제국 말기로 들어가면 워낙에 잦은 정변과 복잡한 인척관계, 그리고 긴 이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아예 흥미가 없다면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듯하다. 하지만 뭐 역사라는 게 그 정도의 문턱은 넘어가야 즐길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틴 루터는

복음이란 우리에 갇힌 사자와 같아서

변호는 필요 없고 해방만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과연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 마이클 고힌, 크레이그 바르톨로뮤, 『세계관은 이야기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소고기를 전혀 먹지 않는 사람들의 구매 비용이
삼림 파괴, 대규모 단일작물 재배, 유독성 살충제와 제초제 사용 같은
파괴적 농법으로 흘러들 가능성이 더 높다.
콩의 일부는 가축사료로 쓰인다.
또한 콩은 으깨서 콩기름을 추출한 후

탈지대두와 콩 레시틴으로 만들어지는데,
모두 비건 식품에 많이 쓰는 가공식품 첨가물이다.

- 니콜렛 한 니먼, 『소고기를 위한 변론』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