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 

                                                  李商隱   이상은

                  八歲偸照鏡  (팔세투조경)
                  여덟살 때 남몰래 거울을 들여다 보았어요


                  長眉已能畵 (장미이능화)
                  눈썹을 길게 그렸어요


                  十歲去踏靑 (십세거답청)
                  열살 때 꽃놀이 갔어요


                   芙蓉作裙衩 (부용작군차)
                   치마에 연꽃을 수놓아 입었어요


                   十二學彈箏 (십이학탄쟁)
                   열 두살때 쟁 타는 법을 배웠어요


                   銀甲不曾卸  (은갑부증사)
                   손에서 은갑을 놓지 않았어요


                  十四藏六親 (십사장육친)
                  열 네살 때 부모님 뒤에 숨었어요


                   懸知猶未嫁 (현지유미가)
                   아직 시집 못갔다 생각할까 조심스러웠어요


                    十五泣春風 (십오읍춘풍)
                    열 다섯 살때 봄 바람이 왠지 슬펐어요


                    背面楸韆下 (배면추천하)
                    그네 아래서 얼굴 돌려 눈물 흘렸어요

 

이상은의 시는 푸르다. 
때로는 맑은 물과도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친근하게 다가온다.
느낌이 그렇다는 것이다.


두보도 좋고, 
이백도 좋으나
이상은은 그보다 훨씬 더 좋다.
그냥 그렇다는 것이다.

백거이는, '내가 죽어 그대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고 싶다' 라고 말 했다고 한다.

47세에 불록했다하니, 아쉽고 또 아쉬운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효봉은 1년 6개월 동안 토굴에 들어가 용맹정진 했다.  
드디어 나와서는 스승에게 오도송을 전해드렸다. 

스승인 석두 스님은 그자리에서 전송을 읊는다.
그 전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春室百化爲開誰 (춘실백화위개수)
                온갖꽃 누구를 위해 피는고


                東行不見西行利 (동행불견서행리)
                동으로 가면서 서쪽으로 가는 이익보지 못하네
 

                白頭子就黑頭父 (백두자취흑두부)
                흰머리 자식이 검은 머리 아비에게 나아가니


                兩個泥牛戰入海 (양개니우전입해)
                두마리 진흑소가 싸우다 바다에 들어간다

                    (사적으로, 위의 利의 뜻을 알 길이 없다)



효봉이 토굴안으로 들어가기 전,
사미승에게 공양은 하루 한끼니만 가져다 달라고 부탁 했다.
 
겨울이 지난 어느 봄 날, 
공양을 가지고 갔던 사미승은 깜짝 놀랐다. 
어제의 공양이 그대로 있었던 것이다.

놀란 사미승이 말했다.
왜 공양을 드시지 않으셨습니까 스님, 예?

그러나 토굴안에서는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

들리시옵니까요 스님?
왜 공양을 한술도 뜨지 않으셨습니까요 스님?
예, 스님? 스님? 스님~~~!!

그러나 안에서는 대답도 인기척도 없었다.
사미승의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불길한 생각이 들었던 사미승은 돌로 벽을 치며 스님을 불렀다.
스님, 스님!!! 대답좀 해보세요 스님!


그때,
어허ㅡ 오늘은 왜 이리 야단인고? 
스님의 말소리가 들려왔다.

안도한 사미승이 말했다.
아이고, 살아 계셨군요 스님!
어찌 공양을 한 술도 드시지 않으셨습니까요 스님?

그게 무슨 말이던고?

어제 공양이 그대로이니 어찌된 일인지 여쭙는 것이옵니다 스님.

공양은 하루 한끼면 된다고 했거늘, 
어쩌자고 하루에 두번 올라와 소란을 피우는고?

아닙니다요 스님, 
이 공양 그릇은 분명 어제 가져다 놓은 것입니다!


그러자 스님이, 
아니다 오늘 너는 두번 왔을것이다, 라고 하셨다.


효봉의 상태가 걱정이된 사미승은 이 소식을 석두스님께 아뢰었다. 
스님께서 저러시다가 정신이 바르지 않게되는 것은 아닐까요?


아니다. 걱정할 일이 아니다. 
선정 삼매에 들면 해가 뜨는 것도 모르고 해가 지는 것도 모르게 되나니, 
이런 경지에 이르러야 참선 삼매에 들었다 할 것이니라.
그러니 기뻐 해야할 일이니라... 
라고 석두스님은 말씀 하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야기는 짧지 않지만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옛날, 
천축국의 시비라는 왕은 
고행으로 깨달음을 얻고자 했다. 

하루는 매에게 쫒기던 비둘기가 시비왕에게 날아들었다. 

매가 시비왕에게 말했다. 
'그 비둘기는 나의 것입니다.
그리고 왕께서 비둘기를 살리시면 매는 굶어 죽습니다.' 

시비왕은 칼을 꺼내 본인의 허벅지 살을 매에게 잘라주었다. 

매가 말했다. 
'비둘기의 무게와 같게 잘라주셔야 합니다.' 

시비왕은 저울을 가져와 비둘기와 살점을 각각 올려놓았지만 
아무리 잘라내도 비둘기가 더 무거웠다. 

시비왕은 멈추지 않고 가슴, 등, 옆구리를 더 잘라냈지만 
끝내 비둘기의 무게에는 미치지 못했다. 

결국 시비왕은 자신이 직접 저울에 올라갈수 밖에 없었다. 




나무관세음보살 ㆍㆍㆍᆢ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悟道頌(오도송)

                                                 曉峰(효봉) 선사
 
                   海底燕巢鹿抱卵 (해저연소록포란)
                   바다밑 제비집에 사슴이 알을 품고


                   火中蛛室魚煎茶 (화중주실어전다)
                   불 속 거미집에 물고기가 차를 달이네
    

                   此家消息誰能識 (차가소식수능식)
                   이 집안 소식을 뉘라서 알꼬


                   白雲西飛月東走 (백운서비월동주)
                   흰 구름은 서쪽으로 달은 동쪽으로
   


효봉 선사의 오도송을 기록했다고 해서
효봉 선사의 그것을 알아들었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다만, 
여러 선사님들이 계셨고
저마다 오도송을 남겼다.

그 중,
사적으로 효봉선사께 특히 마음이 더 가고, 
그래서인지 효봉선사의 오도송을 특히 더 좋아한다는 뜻일 뿐이다.


또, 그래서인가?
효봉선사께서 구산의 상좌 현호께 남긴 말씀도 참으로 아름답고 귀하게 들린다.


'관세음보살을 부를 때에는,
그 마음이 관세음보살과 같아야하고
그 행동이 관세음보살과 같아야한다.'


오세암의 전설이 눈 앞에 펼쳐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閑中自慶 (한중자경)
       
                                                                沖止 충지



                   日日看山看不足 (일일간산간부족)
                   산을 보고 또 보아도 더 보고싶고


                   時時聽水聽無厭 (시시청수청무염)
                   물소리는 듣고 또 들어도 싫지 않구나


                   自然耳目皆淸快 (자연이목개청쾌)
                   이러구러 눈귀가 모두 맑아지고


                   聲色中間好養恬 (성색중간호양념)
                   물소리 바람소리에 마음 평온하구나






이 詩는 언젠가 仲秋에 庚金으로 태어난 者가 내게 보내온 것이다. 

仲秋의 庚金은 내게 전설과도 같은데, 
어떤 이는 이를  陽刃이라고 하고 또 어떤 이는 이를 羊刃이라고도 한다. 
어느 쪽이 되었든 중추의 경금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며, 
그 특별함에는 변함이 없다.

어째든 이 시를 그 者가 보내왔을 때,
나는 감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者가 이 시를 알고 있다는 사실도 놀라웠고, 
( 추후에 알게된 사실이지만 그 者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대단했다)
또 내게 보내주었다는 점이 나를 놀라게했다.

그런 그 者를 그만 내가 잘못 건드렸다.
중추의 庚金이 한번 어긋나면
그 얼마나 상대하기 까다롭고 힘이드는지 모르지 않으면서 말이다. 
물론 나의 본의는 그렇지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중추의 庚은 돌이킬 수 없는 존재이다. 
다시 제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견디다 못하면 차라리 부러지고 만다.


나는 부평초와도 같은 사람이지만
그 者는 결코 그렇게 호락호락한 인물이 아니다.
나와는 대척점에 있는 者  라고나 할까....

그 者는 그러나 내가 그 者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잘 모르는듯 하다.

그 者가 내게서는 전혀 느낄 수 없는 
하염없는 신뢰와 공감력을 
사실 나는 그 者에게 가지고 있음을....

그리고 
한 백년쯤,
그 者 곁어서 함께 가부좌를 틀고 싶은 이 마음을 그 者는 알고 있을리가 없다.



일곱 글자로 리듬을 타기가 좋은 이 시를,
늘 가슴 속에 담아 두었던 이 시를,
오늘은 꺼내어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