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뚜깐뎐 ㅣ 푸른도서관 25
이용포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10월
평점 :
제목을 보고 고민을 했다.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 내가 알고 있는 단어중에 뚜깐이라는 말은 없는데 하고 말이다. '뎐'이라는 말은 '전'의 고어라는 것쯤은 알고 있었으니 앞의 두 글자의 의미만 알면 될 텐데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는 거다. 결국 모르는 채 읽기로 했다.
분명 제목은 어떤 과거시대를 배경으로 할 것 같은 분위기였는데 갑자기 미래시대가 펼쳐진다. 이미 영어공용화 정책으로 한글이 거의 쓰이지 않는 가까운 미래다. 2044년이라니까 그다지 멀지도 않다. 사람들은 불편함을 최소로 줄인 첨단시대에 살고 있다. 도대체 그런 생활과 옛날 책 같은 제목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내내 생각하며 읽어야 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이야기가 과거로 들어간다. 사실 미래의 어느 날을 이야기할 때는 마음이 불편하고 읽는 속도가 느렸는데 과거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지자 마음이 편하고 속도도 붙는다. 역시 아직은 첨단을 살 준비가 안 되었나보다.
이 책은 한 마디로 이야기하자면 연산군이 왕위에 있을 때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천방지축 못말리는 말썽꾸러기에 선머슴인 뚜깐의 이야기다.(물론 중반까지만 그런 이야기다.) 그러니까 뚜깐이란 여자 아이의 이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뚜깐의 뜻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똥뚜깐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런 이름을 붙였단다. 양반의 자제였다면 그럴 듯한 이름을 붙였겠지만 어차피 천한 주막집 아이로 태어났으니 아무렇게나 붙였겠지.
남자 아이들을 거느리고 놀러 다니던 뚜깐이 우연히 주막에 손님으로 온 한 무리의 사람들로부터 한글을 배우면서 벌어지는 일이라지만 배우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니라 뚜깐의 내면의 변화와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면서 은근슬쩍 언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말한다. 한 나라의 얼이 담겨있다고 하는 언어. 우리는 그것의 진정한 의미를 깊이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그러기에 지금도 툭하면 영어 공용화가 어쩌고 몰입교육이 어쩌고를 이야기하는 것이겠지. 그렇다고 무조건 영어를 배척하자는 것이 아니다. 배울 건 배우되 적어도 우리 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잊지는 말자는 것이다.
여기 숨어 있는 의도를 알아차렸을 때 저자가 영어에 올인하는 현실에 쓴소리를 하기 위해 쓴 글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작가의 말에서 저자는 단순히 우연의 일치였을 뿐이라고 이야기한다. 오래전에 구상하던 이야기를 지금 끄집어 냈을 뿐이라고. 하지만 어쨌든 지금 현실의 문제와 결부시켜 읽는 것은 독자의 마음 아니겠나.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했을 때 반대하던 사람들의 말이나 지금 영어 몰입교육을 외치는 사람들의 말이 어쩜 이리도 비슷한지... 단지 중국에서 미국으로 대상만 바뀌었을 뿐이다.